파래의 습격…악취로 뒤덮인 해수욕장

입력 2023.06.13 (19:26) 수정 2023.06.13 (1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정 제주 해안이 밀려드는 파래로 뒤덮여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해마다 반복되는 파래 습격에 제주도는 방파제 철거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고민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수욕장 백사장이 녹조가 퍼진 것처럼 온통 초록 빛깔입니다.

하늘에서 바라보면 파래로 가득찬 바다는 마치 풀밭처럼 짙은 녹색으로 보입니다.

제주 해변의 불청객 구멍 갈파래입니다.

이틀째 중장비를 동원해 치우고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문대헌/파래 수거 작업자 : "답답해요. 진짜 동네 주민으로서는 볼 때마다 진짜 안타깝죠. 자고 일어나면 다시 밀려 오니까 할 짓이 아니지."]

파래가 오래 방치되면서 하얗게 썩고 있는데요.

겉은 하얗게 말라보이지만 뒤집어보면 축축하고 벌레와 함께 악취가 진동합니다.

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들도 발길을 돌릴 정도입니다.

[이명신/관광객 : "아이들이랑 여기 와서 재밌게 놀려고 좋은 상상을 하고 왔어요. 근데 막상 와보니까 여기 파래가 너무 많고 냄새가 자꾸 올라와서..."]

해안으로 들어온 바닷물의 흐름을 막는 인공 구조물인 방파제, 여기에 양식장의 배출수가 유입되고, 고수온 현상까지 겹치면서 파래가 크게 번식하는 겁니다.

[손영백/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특성연구센터장 : "양식장에 나온 물들을 물 밖으로 빼는 문제가 있고 그 다음에 순환이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 항의 구조 변경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결국, 제주도가 방파제 철거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지만, 문제는 이곳뿐만이 아닙니다.

비슷한 이유로 함덕과 구좌 성산 등 제주 동부 지역 해안에서도 해마다 몰려드는 파래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도에서 수거한 파래만 2만 3천 톤, 별다른 대책을 찾지 못한 채 해마다 1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그래픽:조하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파래의 습격…악취로 뒤덮인 해수욕장
    • 입력 2023-06-13 19:26:41
    • 수정2023-06-13 19:37:19
    뉴스 7
[앵커]

청정 제주 해안이 밀려드는 파래로 뒤덮여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해마다 반복되는 파래 습격에 제주도는 방파제 철거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고민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수욕장 백사장이 녹조가 퍼진 것처럼 온통 초록 빛깔입니다.

하늘에서 바라보면 파래로 가득찬 바다는 마치 풀밭처럼 짙은 녹색으로 보입니다.

제주 해변의 불청객 구멍 갈파래입니다.

이틀째 중장비를 동원해 치우고 치워도 끝이 없습니다.

[문대헌/파래 수거 작업자 : "답답해요. 진짜 동네 주민으로서는 볼 때마다 진짜 안타깝죠. 자고 일어나면 다시 밀려 오니까 할 짓이 아니지."]

파래가 오래 방치되면서 하얗게 썩고 있는데요.

겉은 하얗게 말라보이지만 뒤집어보면 축축하고 벌레와 함께 악취가 진동합니다.

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들도 발길을 돌릴 정도입니다.

[이명신/관광객 : "아이들이랑 여기 와서 재밌게 놀려고 좋은 상상을 하고 왔어요. 근데 막상 와보니까 여기 파래가 너무 많고 냄새가 자꾸 올라와서..."]

해안으로 들어온 바닷물의 흐름을 막는 인공 구조물인 방파제, 여기에 양식장의 배출수가 유입되고, 고수온 현상까지 겹치면서 파래가 크게 번식하는 겁니다.

[손영백/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특성연구센터장 : "양식장에 나온 물들을 물 밖으로 빼는 문제가 있고 그 다음에 순환이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 항의 구조 변경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결국, 제주도가 방파제 철거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지만, 문제는 이곳뿐만이 아닙니다.

비슷한 이유로 함덕과 구좌 성산 등 제주 동부 지역 해안에서도 해마다 몰려드는 파래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도에서 수거한 파래만 2만 3천 톤, 별다른 대책을 찾지 못한 채 해마다 1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민주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그래픽:조하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