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혜택, 청년은 ‘갸우뚱’…“5년 너무 길다”

입력 2023.06.13 (21:34) 수정 2023.06.14 (18: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년들이 매달 최대 70만 원씩을 내면 5년 뒤 이자와 정부지원금을 합해 5천만 원 정도를 만들어 준다는 청년도약계좌.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회 초년생이 목돈을 쥘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모레(15일)부터 11개 은행이 상품을 내놓는데, 관심사는 금리 수준입니다.

5천만 원을 모으려면 금리가 적어도 6%는 돼야 하지만, 지난주 발표된 1차 금리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금융 당국이 '사회적 공헌'을 강조하며 은행들에게 재검토를 촉구한 상황, 내일(14일) 최종금리 발표를 앞두고 은행들은 저마다 눈치 보기 중입니다.

보도에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은행들은 지난 8일 청년도약계좌 1차 금리를 공개했습니다.

기본금리를 보면 기업은행만 4.5%, 나머지는 대부분 3.5%입니다.

저축은행 적금 평균 금리보다 낮습니다.

[권산/서울시 서대문구 : "저는 안 할 것 같아요. 지금 예금 이자가 한 5% 정도로 알고 있는데, 이자율의 차이도 없고…"]

대신 은행들은 1.5~2%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시했는데 까다로운 조건이 붙습니다.

매달 일정액 이상의 카드 사용 실적에 급여 이체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연봉 2,400만 원 이하면 받는 우대금리까지 받아야 겨우 6%를 채웁니다.

일부 은행의 경우, 월 소득 200만 원 이하인 청년에게 매달 최대 70만 원을 저축하고 신용카드로 월 30만 원 넘게 쓰라고 요구하는 셈입니다.

여기에 5년 납입 기간을 못 채우면 이자나 지원금 혜택도 없습니다.

[박혜림/경기도 광명시 : "막상 돈이 필요할 때 적금을 해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요) 이율이 높아서… 사실 그렇게까지 뭔가 와닿지는 않는 것 같아요."]

이런 지적에 대해 3년 이상 6% 수준의 고정 이자를 지급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다는 게 은행들 입장입니다.

바꿔 말하면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을 없애고 기본금리를 올리면 청년들 입장에선 괜찮은 상품이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금융위원장과 금감원장은 은행권을 상대로 사회 공헌에 나서 달라, 제도 안착을 기대한다는 뜻을 잇따라 전했습니다.

기본 금리를 최소 4% 수준까지 인상하는 안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은행들은 내일(14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최종금리를 발표합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훈 김현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리 혜택, 청년은 ‘갸우뚱’…“5년 너무 길다”
    • 입력 2023-06-13 21:34:32
    • 수정2023-06-14 18:40:00
    뉴스 9
[앵커]

청년들이 매달 최대 70만 원씩을 내면 5년 뒤 이자와 정부지원금을 합해 5천만 원 정도를 만들어 준다는 청년도약계좌.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회 초년생이 목돈을 쥘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입니다.

모레(15일)부터 11개 은행이 상품을 내놓는데, 관심사는 금리 수준입니다.

5천만 원을 모으려면 금리가 적어도 6%는 돼야 하지만, 지난주 발표된 1차 금리는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금융 당국이 '사회적 공헌'을 강조하며 은행들에게 재검토를 촉구한 상황, 내일(14일) 최종금리 발표를 앞두고 은행들은 저마다 눈치 보기 중입니다.

보도에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은행들은 지난 8일 청년도약계좌 1차 금리를 공개했습니다.

기본금리를 보면 기업은행만 4.5%, 나머지는 대부분 3.5%입니다.

저축은행 적금 평균 금리보다 낮습니다.

[권산/서울시 서대문구 : "저는 안 할 것 같아요. 지금 예금 이자가 한 5% 정도로 알고 있는데, 이자율의 차이도 없고…"]

대신 은행들은 1.5~2%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시했는데 까다로운 조건이 붙습니다.

매달 일정액 이상의 카드 사용 실적에 급여 이체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연봉 2,400만 원 이하면 받는 우대금리까지 받아야 겨우 6%를 채웁니다.

일부 은행의 경우, 월 소득 200만 원 이하인 청년에게 매달 최대 70만 원을 저축하고 신용카드로 월 30만 원 넘게 쓰라고 요구하는 셈입니다.

여기에 5년 납입 기간을 못 채우면 이자나 지원금 혜택도 없습니다.

[박혜림/경기도 광명시 : "막상 돈이 필요할 때 적금을 해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요) 이율이 높아서… 사실 그렇게까지 뭔가 와닿지는 않는 것 같아요."]

이런 지적에 대해 3년 이상 6% 수준의 고정 이자를 지급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다는 게 은행들 입장입니다.

바꿔 말하면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을 없애고 기본금리를 올리면 청년들 입장에선 괜찮은 상품이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금융위원장과 금감원장은 은행권을 상대로 사회 공헌에 나서 달라, 제도 안착을 기대한다는 뜻을 잇따라 전했습니다.

기본 금리를 최소 4% 수준까지 인상하는 안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은행들은 내일(14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최종금리를 발표합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훈 김현갑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