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나면 생기는 중국 원전…우리나라 괜찮을까? [세계엔]
입력 2023.06.17 (08:01)
수정 2023.06.17 (11: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파로 전세계적으로 발전 단가가 오르고 있습니다. '전력 확보'는 전 세계 국가들의 고민거리가 됐는데요.
올해 5%대 경제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에서는 산업 생산을 떠받치기 위한 전력 확보가 주요 과제입니다. 중국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8조 킬로와트 정도 됩니다. 우리나라 전력 소비량의 약 10배가량 될 정도로 막대한 양입니다.
현재까지 중국은 이 발전량의 70%를 화력 발전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석탄을 때서 전기를 생산하다 보니 발전 단가도 높을뿐더러 대기 환경 오염도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 중국이 선택한 것이 '원자력 발전'입니다.
■ 자고 나면 생기는 '중국 원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중국이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현재 모두 55기입니다. 여기에 21기가 건설에 들어갔거나 계획 단계인데요. 원전이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으로 96기, 프랑스가 56기, 중국이 3위입니다.
중국이 현재 짓고 있는 21기의 원전이 완공되면 중국의 원자력 발전량은 단숨에 세계 2위로 올라서게 됩니다.
중국은 현재 55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계획하는 21기가 완공되면 원전 규모 면에서 세계 2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을 선언하면서 원전 건설 속도는 더 빨라졌는데요.
중국과학원 소속 핵물리학자 잔원롱 박사는 "2060년 이전에 중국이 탄소 중립을 달성하게 되면, 전력 생산의 기본량을 원자력이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지난 5월 중국을 방문한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은 몇 년 뒤면 중국이 원자력 발전량으로는 세계 1위로 올라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991년 처음 원자로를 설치한 이래로 중국의 원자력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입니다. 2030년이면 중국이 원자력 설치 용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IAEA 사무총장 |
■ 중국 동남해안 따라 원전 '빽빽'
그런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이 중국 원전들의 들어선 위치를 눈여겨봐야 합니다.
중국 동남해안에 원전 55기가 우리 서해안과 가깝게 배치돼 있는데요 . 중국 산둥성 원전의 경우 인천과 350 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중국 동남해안은 공장들이 모여 있는 '산업 벨트'입니다. 전력 수요가 밀집돼 있습니다. 게다가 바닷물을 원자력 발전의 '냉각수'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니 중국 원자력 발전소도 동남해안으로 모여들게 된 겁니다.
중국이 계획하는 21기의 원전도 동남해안을 따라 들어설 예정입니다.
중국 원전 분포도. 빨간색은 운영 중인 원전, 초록색은 건설 중, 노란색은 계획을 표시한다. (자료: 세계원자력협회)
이에 더해 중국은 '해상 원전'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는데요.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선박 위에 올려 해상에서 원자력 발전을 하는 겁니다.
이런 해상 원전은 원전 건설이 어려운 지역에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서해와 가까운 중국 랴오닝성 보하이에 해상 원전이 건설 중입니다.
■ 원전 사고 나면 곧바로 알려줄까?
그런 일은 없어야겠지만, 원전 사고가 나면 우리나라에도 곧바로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시뮬레이션 결과 서울과 직선거리 970㎞인 중국 장쑤성 톈완(田灣)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3일 안에 방사능 오염 물질이 한반도 상공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중국과 한반도가 위치한 위도가 편서풍대인 만큼 만약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동쪽에 자리 잡은 한국이 방사능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원전과 관련해 인접 국가인 한·중·일 협의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입니다.
현재 협의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 규제자회의(TSM)가 정례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2015년 서울에서 열린 ‘8차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 규제자회의(TSM)’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하지만 각 국의 규제 상황 등 공개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에 가까워서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하거나,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한·중·일 3국이 INES(국제원자력 사건등급) 2등급 이상 사건에 대해서는 조사 분석보고서를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INES 2등급은 사고를 일으키거나 확대시킬 가능성은 없지만, '안전계통의 재평가가 필요한 고장'을 뜻합니다.
하지만 원전 사고가 일어난 뒤 사후 보고서를 공유하다 보니 사고 발생 즉시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유출 상태 등을 주변국이 즉각적으로 알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각 국의 원자력 발전 규제 기관끼리 실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규제기관 협의체'를 꾸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이번 후쿠시마 원전의 경우에도 한·중·일 규제 기관들의 협력이 잘 됐다면 우리나라 원안위가 어려운 과정을 거쳐서 시찰을 가지 않아도 됐을 것"이라며 " 어디를 감독해야 하고, 어디를 감시해야 하고... 가장 적정한 방법을 상호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기관 협의체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 ‘해양환경 방사능 감시’ 페이지에 들어가면, 우리나라 해양 방사능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현재 우리 해역 감시정점 40곳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해 삼중수소와 세슘137 등 방사능 농도를 분석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바다의 방사능 농도가 궁금하신 분들은 네이버 등 포털에서 <원자력 안전정보공개센터>검색해 접속한 뒤 '해양 환경방사능 감시' 메뉴를 클릭하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고나면 생기는 중국 원전…우리나라 괜찮을까? [세계엔]
-
- 입력 2023-06-17 08:01:12
- 수정2023-06-17 11:15:05
우크라이나 전쟁 등 여파로 전세계적으로 발전 단가가 오르고 있습니다. '전력 확보'는 전 세계 국가들의 고민거리가 됐는데요.
올해 5%대 경제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에서는 산업 생산을 떠받치기 위한 전력 확보가 주요 과제입니다. 중국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8조 킬로와트 정도 됩니다. 우리나라 전력 소비량의 약 10배가량 될 정도로 막대한 양입니다.
현재까지 중국은 이 발전량의 70%를 화력 발전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석탄을 때서 전기를 생산하다 보니 발전 단가도 높을뿐더러 대기 환경 오염도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 중국이 선택한 것이 '원자력 발전'입니다.
■ 자고 나면 생기는 '중국 원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중국이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는 현재 모두 55기입니다. 여기에 21기가 건설에 들어갔거나 계획 단계인데요. 원전이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으로 96기, 프랑스가 56기, 중국이 3위입니다.
중국이 현재 짓고 있는 21기의 원전이 완공되면 중국의 원자력 발전량은 단숨에 세계 2위로 올라서게 됩니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을 선언하면서 원전 건설 속도는 더 빨라졌는데요.
중국과학원 소속 핵물리학자 잔원롱 박사는 "2060년 이전에 중국이 탄소 중립을 달성하게 되면, 전력 생산의 기본량을 원자력이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지난 5월 중국을 방문한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은 몇 년 뒤면 중국이 원자력 발전량으로는 세계 1위로 올라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1991년 처음 원자로를 설치한 이래로 중국의 원자력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입니다. 2030년이면 중국이 원자력 설치 용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라파엘 마리아노 그로시/IAEA 사무총장 |
■ 중국 동남해안 따라 원전 '빽빽'
그런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이 중국 원전들의 들어선 위치를 눈여겨봐야 합니다.
중국 동남해안에 원전 55기가 우리 서해안과 가깝게 배치돼 있는데요 . 중국 산둥성 원전의 경우 인천과 350 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중국 동남해안은 공장들이 모여 있는 '산업 벨트'입니다. 전력 수요가 밀집돼 있습니다. 게다가 바닷물을 원자력 발전의 '냉각수'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니 중국 원자력 발전소도 동남해안으로 모여들게 된 겁니다.
중국이 계획하는 21기의 원전도 동남해안을 따라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에 더해 중국은 '해상 원전' 개발에도 열을 올리고 있는데요.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선박 위에 올려 해상에서 원자력 발전을 하는 겁니다.
이런 해상 원전은 원전 건설이 어려운 지역에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서해와 가까운 중국 랴오닝성 보하이에 해상 원전이 건설 중입니다.
■ 원전 사고 나면 곧바로 알려줄까?
그런 일은 없어야겠지만, 원전 사고가 나면 우리나라에도 곧바로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시뮬레이션 결과 서울과 직선거리 970㎞인 중국 장쑤성 톈완(田灣)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3일 안에 방사능 오염 물질이 한반도 상공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는데요.
중국과 한반도가 위치한 위도가 편서풍대인 만큼 만약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동쪽에 자리 잡은 한국이 방사능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원전과 관련해 인접 국가인 한·중·일 협의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부분입니다.
현재 협의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 규제자회의(TSM)가 정례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국의 규제 상황 등 공개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에 가까워서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하거나,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한·중·일 3국이 INES(국제원자력 사건등급) 2등급 이상 사건에 대해서는 조사 분석보고서를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INES 2등급은 사고를 일으키거나 확대시킬 가능성은 없지만, '안전계통의 재평가가 필요한 고장'을 뜻합니다.
하지만 원전 사고가 일어난 뒤 사후 보고서를 공유하다 보니 사고 발생 즉시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유출 상태 등을 주변국이 즉각적으로 알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각 국의 원자력 발전 규제 기관끼리 실시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규제기관 협의체'를 꾸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이번 후쿠시마 원전의 경우에도 한·중·일 규제 기관들의 협력이 잘 됐다면 우리나라 원안위가 어려운 과정을 거쳐서 시찰을 가지 않아도 됐을 것"이라며 " 어디를 감독해야 하고, 어디를 감시해야 하고... 가장 적정한 방법을 상호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기관 협의체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현재 우리 해역 감시정점 40곳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해 삼중수소와 세슘137 등 방사능 농도를 분석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바다의 방사능 농도가 궁금하신 분들은 네이버 등 포털에서 <원자력 안전정보공개센터>검색해 접속한 뒤 '해양 환경방사능 감시' 메뉴를 클릭하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
김효신 기자 shiny33@kbs.co.kr
김효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