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독재자 시진핑’ 발언 논란에 “미국과 차이점 솔직히 말한 것”

입력 2023.06.22 (05:15) 수정 2023.06.22 (05: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라고 불러 중국의 반발을 야기한 데 대해 미중 간 차이점을 솔직히 말한 것이라며 해명의 필요성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현지시간 21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장관은 미중 관계를 책임감 있게 계속 관리하고 열린 소통선을 유지하겠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며 "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차이점에 대해 솔직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뜻하진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파텔 부대변인은 "우린 민주주의와 독재정치에 관한 명확한 차이를 포함해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 매우 분명히 하고 있다"며 "또 우리의 가치를 주저 없이 옹호할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동의하지 않는 영역이나 일부 차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언급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언급이 더 이상 해명되거나 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그는 "중요한 것은 미중이 차이점과 불일치가 있다는 게 놀랄만한 일이 아니라는 점"이라고 강조하고, "바이든 대통령과 블링컨 장관은 이번 장관의 방중이 추가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오판을 피하고 오해를 풀기 위해 긴장을 관리하는 책임감 있는 방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의 방중으로 미중 관계에 물꼬를 튼 지 하루 만에 바이든 대통령의 독재자 발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양국 관계에 찬물을 끼얹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민주주의와 독재'라는 미국과 중국의 근본적인 차이와 관련한 바이든 대통령의 언급은 전혀 잘못되거나 실언이 아니라는 설명인 셈입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모금 행사에서 중국 정찰풍선 격추 사태에 대해 "시진핑이 매우 언짢았던 까닭은 그것이 거기 있는 사실을 그가 몰랐기 때문"이라며 "무엇이 벌어졌는지 모르는 것은 독재자들에게는 큰 창피"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시 주석을 독재자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동일시한 것으로, 중국 정부는 곧바로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독재자 시진핑’ 발언 논란에 “미국과 차이점 솔직히 말한 것”
    • 입력 2023-06-22 05:15:51
    • 수정2023-06-22 05:38:35
    국제
미국 정부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라고 불러 중국의 반발을 야기한 데 대해 미중 간 차이점을 솔직히 말한 것이라며 해명의 필요성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현지시간 21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장관은 미중 관계를 책임감 있게 계속 관리하고 열린 소통선을 유지하겠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다"며 "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차이점에 대해 솔직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뜻하진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파텔 부대변인은 "우린 민주주의와 독재정치에 관한 명확한 차이를 포함해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 매우 분명히 하고 있다"며 "또 우리의 가치를 주저 없이 옹호할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동의하지 않는 영역이나 일부 차이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언급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언급이 더 이상 해명되거나 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그는 "중요한 것은 미중이 차이점과 불일치가 있다는 게 놀랄만한 일이 아니라는 점"이라고 강조하고, "바이든 대통령과 블링컨 장관은 이번 장관의 방중이 추가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오판을 피하고 오해를 풀기 위해 긴장을 관리하는 책임감 있는 방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블링컨 장관의 방중으로 미중 관계에 물꼬를 튼 지 하루 만에 바이든 대통령의 독재자 발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양국 관계에 찬물을 끼얹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민주주의와 독재'라는 미국과 중국의 근본적인 차이와 관련한 바이든 대통령의 언급은 전혀 잘못되거나 실언이 아니라는 설명인 셈입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모금 행사에서 중국 정찰풍선 격추 사태에 대해 "시진핑이 매우 언짢았던 까닭은 그것이 거기 있는 사실을 그가 몰랐기 때문"이라며 "무엇이 벌어졌는지 모르는 것은 독재자들에게는 큰 창피"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시 주석을 독재자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동일시한 것으로, 중국 정부는 곧바로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