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습폭우 늘어나는데…배수장·저류시설 용량 태부족
입력 2023.06.22 (07:47)
수정 2023.06.23 (1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8월, 물바다가 된 서울 도심 기억나시죠?
시간당 140mm가 넘는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짧은 시간, 좁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를 대비해, 배수장과 빗물 저류시설이 있는데요.
일부 시설은 아직 과거 설계 기준에 맞춰져 있어 처리 용량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모내기를 끝낸 논이 온통 물바다가 됐습니다.
주변에 배수장 2곳이 있지만 시간당 38㎜의 강한 비가 내리면서 미처 물을 빼내지 못했습니다.
시간당 20mm 정도만 감당하는 20년 빈도 확률 강수량 기준으로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배수장 한 곳을 더 만들었지만 해마다 수해를 입어온터라 주민들의 걱정은 여전합니다.
[조한호/경남 밀양시 초동면 : "우리가 손으로 할 수도 없고 (농어촌공사에서) 빨리 처리해주는 거 그런 거 밖에 바랄 수밖에 없죠."]
시간당 50㎜가 넘는 비로 도로와 상가가 침수됐던 창원 도심.
2015년 3만여 톤 규모의 빗물 저류시설이 들어섰지만, 침수 피해를 막지 못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빗물 저류시설의 설계 기준을 '50년 빈도 확률 강우량'으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의 27%인 29곳이 이 기준에 못미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9곳,경남 6곳,전남 5곳 등입니다.
문제는 예산입니다.
전국 29곳의 시설을 정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선 4천 5백억 원이 필요하지만 확보한 예산은 9백억 원이 모자라 처리 용량을 줄여야 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단기간에 수해 대비 시설을 늘리는게 쉽지 않아 다른 대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상훈/경남 창원시 자연재난팀장 : "우수관로·배수처리 방법·빗물을 모을 수 있는 기능, 이런 것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타당성 용역을 거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시간당 5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진날은 한 해 평균 21일, 40년 전 12일보다 9일 더 늘었습니다.
미래를 대비하는 치수 대책이 시급한 이윱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편집:안진영
지난해 8월, 물바다가 된 서울 도심 기억나시죠?
시간당 140mm가 넘는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짧은 시간, 좁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를 대비해, 배수장과 빗물 저류시설이 있는데요.
일부 시설은 아직 과거 설계 기준에 맞춰져 있어 처리 용량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모내기를 끝낸 논이 온통 물바다가 됐습니다.
주변에 배수장 2곳이 있지만 시간당 38㎜의 강한 비가 내리면서 미처 물을 빼내지 못했습니다.
시간당 20mm 정도만 감당하는 20년 빈도 확률 강수량 기준으로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배수장 한 곳을 더 만들었지만 해마다 수해를 입어온터라 주민들의 걱정은 여전합니다.
[조한호/경남 밀양시 초동면 : "우리가 손으로 할 수도 없고 (농어촌공사에서) 빨리 처리해주는 거 그런 거 밖에 바랄 수밖에 없죠."]
시간당 50㎜가 넘는 비로 도로와 상가가 침수됐던 창원 도심.
2015년 3만여 톤 규모의 빗물 저류시설이 들어섰지만, 침수 피해를 막지 못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빗물 저류시설의 설계 기준을 '50년 빈도 확률 강우량'으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의 27%인 29곳이 이 기준에 못미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9곳,경남 6곳,전남 5곳 등입니다.
문제는 예산입니다.
전국 29곳의 시설을 정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선 4천 5백억 원이 필요하지만 확보한 예산은 9백억 원이 모자라 처리 용량을 줄여야 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단기간에 수해 대비 시설을 늘리는게 쉽지 않아 다른 대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상훈/경남 창원시 자연재난팀장 : "우수관로·배수처리 방법·빗물을 모을 수 있는 기능, 이런 것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타당성 용역을 거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시간당 5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진날은 한 해 평균 21일, 40년 전 12일보다 9일 더 늘었습니다.
미래를 대비하는 치수 대책이 시급한 이윱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편집:안진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습폭우 늘어나는데…배수장·저류시설 용량 태부족
-
- 입력 2023-06-22 07:47:42
- 수정2023-06-23 10:17:41
[앵커]
지난해 8월, 물바다가 된 서울 도심 기억나시죠?
시간당 140mm가 넘는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짧은 시간, 좁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를 대비해, 배수장과 빗물 저류시설이 있는데요.
일부 시설은 아직 과거 설계 기준에 맞춰져 있어 처리 용량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모내기를 끝낸 논이 온통 물바다가 됐습니다.
주변에 배수장 2곳이 있지만 시간당 38㎜의 강한 비가 내리면서 미처 물을 빼내지 못했습니다.
시간당 20mm 정도만 감당하는 20년 빈도 확률 강수량 기준으로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배수장 한 곳을 더 만들었지만 해마다 수해를 입어온터라 주민들의 걱정은 여전합니다.
[조한호/경남 밀양시 초동면 : "우리가 손으로 할 수도 없고 (농어촌공사에서) 빨리 처리해주는 거 그런 거 밖에 바랄 수밖에 없죠."]
시간당 50㎜가 넘는 비로 도로와 상가가 침수됐던 창원 도심.
2015년 3만여 톤 규모의 빗물 저류시설이 들어섰지만, 침수 피해를 막지 못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빗물 저류시설의 설계 기준을 '50년 빈도 확률 강우량'으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의 27%인 29곳이 이 기준에 못미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9곳,경남 6곳,전남 5곳 등입니다.
문제는 예산입니다.
전국 29곳의 시설을 정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선 4천 5백억 원이 필요하지만 확보한 예산은 9백억 원이 모자라 처리 용량을 줄여야 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단기간에 수해 대비 시설을 늘리는게 쉽지 않아 다른 대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상훈/경남 창원시 자연재난팀장 : "우수관로·배수처리 방법·빗물을 모을 수 있는 기능, 이런 것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타당성 용역을 거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시간당 5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진날은 한 해 평균 21일, 40년 전 12일보다 9일 더 늘었습니다.
미래를 대비하는 치수 대책이 시급한 이윱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편집:안진영
지난해 8월, 물바다가 된 서울 도심 기억나시죠?
시간당 140mm가 넘는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짧은 시간, 좁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를 대비해, 배수장과 빗물 저류시설이 있는데요.
일부 시설은 아직 과거 설계 기준에 맞춰져 있어 처리 용량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모내기를 끝낸 논이 온통 물바다가 됐습니다.
주변에 배수장 2곳이 있지만 시간당 38㎜의 강한 비가 내리면서 미처 물을 빼내지 못했습니다.
시간당 20mm 정도만 감당하는 20년 빈도 확률 강수량 기준으로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배수장 한 곳을 더 만들었지만 해마다 수해를 입어온터라 주민들의 걱정은 여전합니다.
[조한호/경남 밀양시 초동면 : "우리가 손으로 할 수도 없고 (농어촌공사에서) 빨리 처리해주는 거 그런 거 밖에 바랄 수밖에 없죠."]
시간당 50㎜가 넘는 비로 도로와 상가가 침수됐던 창원 도심.
2015년 3만여 톤 규모의 빗물 저류시설이 들어섰지만, 침수 피해를 막지 못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빗물 저류시설의 설계 기준을 '50년 빈도 확률 강우량'으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의 27%인 29곳이 이 기준에 못미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9곳,경남 6곳,전남 5곳 등입니다.
문제는 예산입니다.
전국 29곳의 시설을 정부 기준에 맞추기 위해선 4천 5백억 원이 필요하지만 확보한 예산은 9백억 원이 모자라 처리 용량을 줄여야 했습니다.
자치단체들은 단기간에 수해 대비 시설을 늘리는게 쉽지 않아 다른 대책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상훈/경남 창원시 자연재난팀장 : "우수관로·배수처리 방법·빗물을 모을 수 있는 기능, 이런 것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타당성 용역을 거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시간당 50㎜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진날은 한 해 평균 21일, 40년 전 12일보다 9일 더 늘었습니다.
미래를 대비하는 치수 대책이 시급한 이윱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영상편집:안진영
-
-
김효경 기자 tellme@kbs.co.kr
김효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