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과격 환경단체에 ‘비합법화’ 철퇴

입력 2023.06.22 (16:00) 수정 2023.06.22 (16: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정부가 과격 시위를 주도해 온 환경단체를 비합법 단체로 지정했습니다.

현지 시각 21일 미국 정치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이날 ‘지구의 봉기’라는 단체를 비합법화했습니다.

2017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집권 이후 33개 시민단체가 비합법화됐지만, 환경단체가 제재 대상이 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전날엔 과격 시위에 가담한 혐의로 단체 회원 18명을 전국에서 체포하기도 했습니다.

제랄드 다르마냉 프랑스 내무장관은 “어떤 명분으로도 이 단체가 도발한 수많은 폭력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2021년 설립된 ‘지구의 봉기’는 현재 11만 5천 명 이상의 지지자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저수지나 고속도로, 산업형 농업시설을 목표로 급진적 행동을 취해왔습니다.

가장 최근 사례로 이들은 지난 17일 프랑스 리옹과 이탈리아 토리노 간 고속철도 건설을 막기 위해 당국의 집회·시위 금지 통고에도 불구하고 알프스산맥 터널 공사 현장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해 12명의 경찰관이 다쳤습니다. 시위 주최 측도 50여 명의 회원이 다쳤다고 주장했습니다.

단체는 지난 4월 카스트르와 툴루즈 간 고속도로 건설 반대 시위를 벌인 데 이어 지난달에는 루앙 인근의 고속도로 분기점 반대 시위, 이번 달엔 모래 광산 반대 시위에 잇따라 나섰습니다. 건설 예정지 인근의 숲이나 농지가 훼손된다는 이유에서입니다.

특히 지난 3월 프랑스 서부 생트 솔린의 댐 반대 시위에선 경찰과 시위대 간 격렬한 충돌이 발생해 수백 명이 다치고 2명이 혼수상태에 빠지는 피해를 낳았습니다.

정부가 실제 제재에 나서자 단체는 성명을 내 “표현의 자유에 재갈을 물리려는 용납할 수 없는 시도”라고 반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설 뜻을 밝혔습니다.

좌파 정치인들도 정부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녹색당 마리 투생 의원은 “생태 위기의 한가운데서 정부는 지구의 생명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을 범죄화하기로 결정했다”며 “민주주의의 부조리”라고 비판했습니다.

극좌 성향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의 장뤼크 멜랑숑 대표도 정부가 활동가들 말에 귀 기울여야 한다면서 “그들을 테러리스트처럼 탄압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올리비에 베랑 정부 대변인은 그러나 “문제가 되는 건 표현의 자유나 시위의 자유가 아니라 재산과 사람에 대한 반복적 폭력 사용”이라며 “법치 국가에서 폭력을 사용하는 건 정당하지 않다”고 반박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프랑스, 과격 환경단체에 ‘비합법화’ 철퇴
    • 입력 2023-06-22 16:00:52
    • 수정2023-06-22 16:05:52
    국제
프랑스 정부가 과격 시위를 주도해 온 환경단체를 비합법 단체로 지정했습니다.

현지 시각 21일 미국 정치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이날 ‘지구의 봉기’라는 단체를 비합법화했습니다.

2017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집권 이후 33개 시민단체가 비합법화됐지만, 환경단체가 제재 대상이 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전날엔 과격 시위에 가담한 혐의로 단체 회원 18명을 전국에서 체포하기도 했습니다.

제랄드 다르마냉 프랑스 내무장관은 “어떤 명분으로도 이 단체가 도발한 수많은 폭력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2021년 설립된 ‘지구의 봉기’는 현재 11만 5천 명 이상의 지지자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저수지나 고속도로, 산업형 농업시설을 목표로 급진적 행동을 취해왔습니다.

가장 최근 사례로 이들은 지난 17일 프랑스 리옹과 이탈리아 토리노 간 고속철도 건설을 막기 위해 당국의 집회·시위 금지 통고에도 불구하고 알프스산맥 터널 공사 현장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해 12명의 경찰관이 다쳤습니다. 시위 주최 측도 50여 명의 회원이 다쳤다고 주장했습니다.

단체는 지난 4월 카스트르와 툴루즈 간 고속도로 건설 반대 시위를 벌인 데 이어 지난달에는 루앙 인근의 고속도로 분기점 반대 시위, 이번 달엔 모래 광산 반대 시위에 잇따라 나섰습니다. 건설 예정지 인근의 숲이나 농지가 훼손된다는 이유에서입니다.

특히 지난 3월 프랑스 서부 생트 솔린의 댐 반대 시위에선 경찰과 시위대 간 격렬한 충돌이 발생해 수백 명이 다치고 2명이 혼수상태에 빠지는 피해를 낳았습니다.

정부가 실제 제재에 나서자 단체는 성명을 내 “표현의 자유에 재갈을 물리려는 용납할 수 없는 시도”라고 반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설 뜻을 밝혔습니다.

좌파 정치인들도 정부 결정을 비판했습니다.

녹색당 마리 투생 의원은 “생태 위기의 한가운데서 정부는 지구의 생명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을 범죄화하기로 결정했다”며 “민주주의의 부조리”라고 비판했습니다.

극좌 성향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의 장뤼크 멜랑숑 대표도 정부가 활동가들 말에 귀 기울여야 한다면서 “그들을 테러리스트처럼 탄압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올리비에 베랑 정부 대변인은 그러나 “문제가 되는 건 표현의 자유나 시위의 자유가 아니라 재산과 사람에 대한 반복적 폭력 사용”이라며 “법치 국가에서 폭력을 사용하는 건 정당하지 않다”고 반박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