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시행에 금감원, 금융불편 상담센터 운영
입력 2023.06.28 (10:50)
수정 2023.06.28 (1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만 나이 통일법’ 시행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운영합니다.
금감원은 콜센터(1332) 내 설치된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통해 만 나이 관련 금융불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해 안내하거나 금감원 소관 부서나 금융사로 소비자를 연계하겠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금융법령의 연령 관련 규제 현황을 점검한 결과, 만 나이를 명시하거나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만 나이로 해석하고 있어 금융권 업무나 금융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65세 이상을 고령 소비자로 정의한다’는 은행권 고령금융소비자 보호 지침과 ‘고령금융소비자는 65세 이상 금융소비자를 원칙으로 한다’는 은행권 내부통제 모범규준은 모두 만 나이를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등도 이미 상품 가입 기준에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어 앞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역모기지론의 경우 만 55세 이상∼74세 이하, 청년 전세대출은 만 34세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34세 이하 등 이미 만 나이를 기준으로 가입 대상이 설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업계도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미성년자가 가입할 수 있는 체크카드를 만 나이 기준으로 발급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보험업권의 경우 만 나이와 별도로 ‘보험 나이’를 적용해 보험상품 가입 시 주의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생명보험과 장기손해보험에서 적용되는 보험 나이는 보험료 산출, 가입 나이 계산, 만기시점 확정 등에 활용됩니다.
보험 나이는 계약일 당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 끝수는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법규에서 나이를 특정하거나 개별약관에서 나이를 별도로 정하는 경우는 보험 나이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이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금감원은 중장기적으로 보험 나이를 만 나이로 일원화하는 방안에 대해 필요한 경우 검토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감원은 콜센터(1332) 내 설치된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통해 만 나이 관련 금융불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해 안내하거나 금감원 소관 부서나 금융사로 소비자를 연계하겠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금융법령의 연령 관련 규제 현황을 점검한 결과, 만 나이를 명시하거나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만 나이로 해석하고 있어 금융권 업무나 금융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65세 이상을 고령 소비자로 정의한다’는 은행권 고령금융소비자 보호 지침과 ‘고령금융소비자는 65세 이상 금융소비자를 원칙으로 한다’는 은행권 내부통제 모범규준은 모두 만 나이를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등도 이미 상품 가입 기준에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어 앞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역모기지론의 경우 만 55세 이상∼74세 이하, 청년 전세대출은 만 34세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34세 이하 등 이미 만 나이를 기준으로 가입 대상이 설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업계도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미성년자가 가입할 수 있는 체크카드를 만 나이 기준으로 발급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보험업권의 경우 만 나이와 별도로 ‘보험 나이’를 적용해 보험상품 가입 시 주의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생명보험과 장기손해보험에서 적용되는 보험 나이는 보험료 산출, 가입 나이 계산, 만기시점 확정 등에 활용됩니다.
보험 나이는 계약일 당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 끝수는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법규에서 나이를 특정하거나 개별약관에서 나이를 별도로 정하는 경우는 보험 나이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이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금감원은 중장기적으로 보험 나이를 만 나이로 일원화하는 방안에 대해 필요한 경우 검토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 나이’ 시행에 금감원, 금융불편 상담센터 운영
-
- 입력 2023-06-28 10:50:36
- 수정2023-06-28 10:53:59

금융감독원이 ‘만 나이 통일법’ 시행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해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운영합니다.
금감원은 콜센터(1332) 내 설치된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통해 만 나이 관련 금융불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해 안내하거나 금감원 소관 부서나 금융사로 소비자를 연계하겠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금융법령의 연령 관련 규제 현황을 점검한 결과, 만 나이를 명시하거나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만 나이로 해석하고 있어 금융권 업무나 금융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65세 이상을 고령 소비자로 정의한다’는 은행권 고령금융소비자 보호 지침과 ‘고령금융소비자는 65세 이상 금융소비자를 원칙으로 한다’는 은행권 내부통제 모범규준은 모두 만 나이를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등도 이미 상품 가입 기준에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어 앞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역모기지론의 경우 만 55세 이상∼74세 이하, 청년 전세대출은 만 34세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34세 이하 등 이미 만 나이를 기준으로 가입 대상이 설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업계도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미성년자가 가입할 수 있는 체크카드를 만 나이 기준으로 발급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보험업권의 경우 만 나이와 별도로 ‘보험 나이’를 적용해 보험상품 가입 시 주의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생명보험과 장기손해보험에서 적용되는 보험 나이는 보험료 산출, 가입 나이 계산, 만기시점 확정 등에 활용됩니다.
보험 나이는 계약일 당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 끝수는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법규에서 나이를 특정하거나 개별약관에서 나이를 별도로 정하는 경우는 보험 나이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이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금감원은 중장기적으로 보험 나이를 만 나이로 일원화하는 방안에 대해 필요한 경우 검토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감원은 콜센터(1332) 내 설치된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통해 만 나이 관련 금융불편이 접수되면 이에 대해 안내하거나 금감원 소관 부서나 금융사로 소비자를 연계하겠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금융법령의 연령 관련 규제 현황을 점검한 결과, 만 나이를 명시하거나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만 나이로 해석하고 있어 금융권 업무나 금융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65세 이상을 고령 소비자로 정의한다’는 은행권 고령금융소비자 보호 지침과 ‘고령금융소비자는 65세 이상 금융소비자를 원칙으로 한다’는 은행권 내부통제 모범규준은 모두 만 나이를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주요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 등도 이미 상품 가입 기준에 만 나이를 적용하고 있어 앞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역모기지론의 경우 만 55세 이상∼74세 이하, 청년 전세대출은 만 34세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34세 이하 등 이미 만 나이를 기준으로 가입 대상이 설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업계도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미성년자가 가입할 수 있는 체크카드를 만 나이 기준으로 발급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보험업권의 경우 만 나이와 별도로 ‘보험 나이’를 적용해 보험상품 가입 시 주의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생명보험과 장기손해보험에서 적용되는 보험 나이는 보험료 산출, 가입 나이 계산, 만기시점 확정 등에 활용됩니다.
보험 나이는 계약일 당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 끝수는 버리고 6개월 이상 끝수는 1년으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법규에서 나이를 특정하거나 개별약관에서 나이를 별도로 정하는 경우는 보험 나이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이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금감원은 중장기적으로 보험 나이를 만 나이로 일원화하는 방안에 대해 필요한 경우 검토할 예정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윤우 기자 yw@kbs.co.kr
이윤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