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대상 재택치료 늘린다”…전국 12개 지자체 시범사업
입력 2023.06.28 (14:02)
수정 2023.06.28 (14: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2025년 노인 인구가 1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노인 대상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통합 지원하는 시범사업이 전국 10여 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됩니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오늘(28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출범식을 열고 관련 정책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시범사업은 기존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의료와 돌봄서비스를 연계하는 동시에 노인들이 병원이나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 대상은 요양병원 등 시설 입원의 경계에 놓인 75세 이상 노인들로 장기요양 재가급여자나 요양병원 퇴원환자, 일시적으로 의료 수요가 발생한 노인 등이 해당됩니다.
시범사업은 전국에서 모두 12개 지자체가 시행하는데, 각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의료 서비스 계획을 마련해 다음달 1일부터 오는 2025년까지 2년 6개월 동안 이를 시행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의료접근성 강화를 위한 재가의료 서비스를 늘리는 방안이 담겼는데 각 지자체는 지역 내 의료기관과 보건소 등과 함께 방문의료 지원팀 등을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75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와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며 병원이나 시설보다 집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75세 이상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본인이나 가족이 주민센터를 통해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며 “이와 별개로 건보공단을 통하거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대상자를 확인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신청이 되면 주민센터에서 가정을 찾아 개인별로 필요한 돌봄과 의료서비스를 파악한 다음 각 지자체별로 전담팀에서 개별 사례를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까지 선도사업을 통해 의료서비스 부분에 대한 수요를 많이 확인했다”며 “향후에도 재가의료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오늘(28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출범식을 열고 관련 정책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시범사업은 기존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의료와 돌봄서비스를 연계하는 동시에 노인들이 병원이나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 대상은 요양병원 등 시설 입원의 경계에 놓인 75세 이상 노인들로 장기요양 재가급여자나 요양병원 퇴원환자, 일시적으로 의료 수요가 발생한 노인 등이 해당됩니다.
시범사업은 전국에서 모두 12개 지자체가 시행하는데, 각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의료 서비스 계획을 마련해 다음달 1일부터 오는 2025년까지 2년 6개월 동안 이를 시행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의료접근성 강화를 위한 재가의료 서비스를 늘리는 방안이 담겼는데 각 지자체는 지역 내 의료기관과 보건소 등과 함께 방문의료 지원팀 등을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75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와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며 병원이나 시설보다 집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75세 이상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본인이나 가족이 주민센터를 통해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며 “이와 별개로 건보공단을 통하거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대상자를 확인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신청이 되면 주민센터에서 가정을 찾아 개인별로 필요한 돌봄과 의료서비스를 파악한 다음 각 지자체별로 전담팀에서 개별 사례를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까지 선도사업을 통해 의료서비스 부분에 대한 수요를 많이 확인했다”며 “향후에도 재가의료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대상 재택치료 늘린다”…전국 12개 지자체 시범사업
-
- 입력 2023-06-28 14:02:36
- 수정2023-06-28 14:09:42

오는 2025년 노인 인구가 1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노인 대상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통합 지원하는 시범사업이 전국 10여 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됩니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오늘(28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출범식을 열고 관련 정책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시범사업은 기존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의료와 돌봄서비스를 연계하는 동시에 노인들이 병원이나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 대상은 요양병원 등 시설 입원의 경계에 놓인 75세 이상 노인들로 장기요양 재가급여자나 요양병원 퇴원환자, 일시적으로 의료 수요가 발생한 노인 등이 해당됩니다.
시범사업은 전국에서 모두 12개 지자체가 시행하는데, 각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의료 서비스 계획을 마련해 다음달 1일부터 오는 2025년까지 2년 6개월 동안 이를 시행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의료접근성 강화를 위한 재가의료 서비스를 늘리는 방안이 담겼는데 각 지자체는 지역 내 의료기관과 보건소 등과 함께 방문의료 지원팀 등을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75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와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며 병원이나 시설보다 집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75세 이상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본인이나 가족이 주민센터를 통해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며 “이와 별개로 건보공단을 통하거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대상자를 확인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신청이 되면 주민센터에서 가정을 찾아 개인별로 필요한 돌봄과 의료서비스를 파악한 다음 각 지자체별로 전담팀에서 개별 사례를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까지 선도사업을 통해 의료서비스 부분에 대한 수요를 많이 확인했다”며 “향후에도 재가의료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오늘(28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출범식을 열고 관련 정책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시범사업은 기존에 정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의료와 돌봄서비스를 연계하는 동시에 노인들이 병원이나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 대상은 요양병원 등 시설 입원의 경계에 놓인 75세 이상 노인들로 장기요양 재가급여자나 요양병원 퇴원환자, 일시적으로 의료 수요가 발생한 노인 등이 해당됩니다.
시범사업은 전국에서 모두 12개 지자체가 시행하는데, 각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의료 서비스 계획을 마련해 다음달 1일부터 오는 2025년까지 2년 6개월 동안 이를 시행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의료접근성 강화를 위한 재가의료 서비스를 늘리는 방안이 담겼는데 각 지자체는 지역 내 의료기관과 보건소 등과 함께 방문의료 지원팀 등을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75세 이상 노인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75세 이상 후기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와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며 병원이나 시설보다 집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복지부는 “75세 이상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본인이나 가족이 주민센터를 통해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며 “이와 별개로 건보공단을 통하거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대상자를 확인해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신청이 되면 주민센터에서 가정을 찾아 개인별로 필요한 돌봄과 의료서비스를 파악한 다음 각 지자체별로 전담팀에서 개별 사례를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서 지난해까지 선도사업을 통해 의료서비스 부분에 대한 수요를 많이 확인했다”며 “향후에도 재가의료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