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추념사로 명예훼손”…문재인에 소송 낸 이승만사업회 패소
입력 2023.06.29 (10:48)
수정 2023.06.29 (16: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4·3 추념사를 문제 삼아 손해배상 소송을 낸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와 경찰 유족이 1심에서 패소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31부(부장판사 김상우)는 오늘(29일) 이승만사업회와 경찰 유족 A 씨가 문 전 대통령을 상대로 낸 위자료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가 추념사에서 원고들과 관련된 사실을 적시하거나 이승만·피해 경찰관의 사회적 평가를 침해할 정도의 구체적 표현을 한 사실이 없어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사업회 측은 2021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군과 경찰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했다며 같은 해 8월 소송을 냈습니다. 4·3 사건 당시 남로당 습격을 받아 살해된 제주 함덕지서 경찰관의 유족도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완전한 독립을 꿈꾸며 분단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국가 권력은 제주도민에게 빨갱이·폭동·반란의 이름을 뒤집어씌워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중앙지법 민사31부(부장판사 김상우)는 오늘(29일) 이승만사업회와 경찰 유족 A 씨가 문 전 대통령을 상대로 낸 위자료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가 추념사에서 원고들과 관련된 사실을 적시하거나 이승만·피해 경찰관의 사회적 평가를 침해할 정도의 구체적 표현을 한 사실이 없어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사업회 측은 2021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군과 경찰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했다며 같은 해 8월 소송을 냈습니다. 4·3 사건 당시 남로당 습격을 받아 살해된 제주 함덕지서 경찰관의 유족도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완전한 독립을 꿈꾸며 분단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국가 권력은 제주도민에게 빨갱이·폭동·반란의 이름을 뒤집어씌워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3 추념사로 명예훼손”…문재인에 소송 낸 이승만사업회 패소
-
- 입력 2023-06-29 10:48:44
- 수정2023-06-29 16:09:15

문재인 전 대통령의 4·3 추념사를 문제 삼아 손해배상 소송을 낸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와 경찰 유족이 1심에서 패소했습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31부(부장판사 김상우)는 오늘(29일) 이승만사업회와 경찰 유족 A 씨가 문 전 대통령을 상대로 낸 위자료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가 추념사에서 원고들과 관련된 사실을 적시하거나 이승만·피해 경찰관의 사회적 평가를 침해할 정도의 구체적 표현을 한 사실이 없어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사업회 측은 2021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군과 경찰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했다며 같은 해 8월 소송을 냈습니다. 4·3 사건 당시 남로당 습격을 받아 살해된 제주 함덕지서 경찰관의 유족도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완전한 독립을 꿈꾸며 분단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국가 권력은 제주도민에게 빨갱이·폭동·반란의 이름을 뒤집어씌워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중앙지법 민사31부(부장판사 김상우)는 오늘(29일) 이승만사업회와 경찰 유족 A 씨가 문 전 대통령을 상대로 낸 위자료 청구를 모두 기각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가 추념사에서 원고들과 관련된 사실을 적시하거나 이승만·피해 경찰관의 사회적 평가를 침해할 정도의 구체적 표현을 한 사실이 없어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사업회 측은 2021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문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군과 경찰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했다며 같은 해 8월 소송을 냈습니다. 4·3 사건 당시 남로당 습격을 받아 살해된 제주 함덕지서 경찰관의 유족도 소송에 참여했습니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완전한 독립을 꿈꾸며 분단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국가 권력은 제주도민에게 빨갱이·폭동·반란의 이름을 뒤집어씌워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죽음으로 몰고 갔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진선민 기자 jsm@kbs.co.kr
진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