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우상혁·‘주니어 2위’ 최진우, 항저우AG 동반 출전
입력 2023.06.29 (10: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높이뛰기 2023시즌 '세계 랭킹 1위' 우상혁(27·용인시청)과 '20세 미만 공동 2위' 최진우(18·울산스포츠과학고)가 올해 9월 개막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함께 출전한다.
한국 육상의 빛나는 이정표를 여러 개 세운 우상혁과 유망주 최진우가 함께 경기를 치르는 건 이번 아시안게임이 처음이다.
대한육상연맹은 28일 홈페이지에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42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남자 높이뛰기에는 우상혁과 최진우가 함께 출전한다.
우상혁은 고교 재학 중이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쳤지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는 2m28로 은메달을 따냈다.
3번째 출전하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노린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올림픽(2m35로 4위)을 기점으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4), 실외 세계선수권 2위(2m35) 등 한국 육상의 새 역사를 썼다.
현재는 랭킹 포인트(1천376점) 단독 1위, 2023년 기록 공동 1위(2m33)다.
실외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현역 최고 점퍼'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 의사를 밝혀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는 '세계선수권급'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우상혁이 항저우에서 바르심을 넘어서면 한국 육상은 이진택(1998년 방콕·2002년 부산 대회 우승) 이후 21년 만에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금메달 손에 넣는다.
최진우는 2023년 20세 미만 남자 높이뛰기 기록(2m20)과 랭킹 포인트(1천90점) 모두 공동 2위를 달린다.
지난해 18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우승(2m21), 올해 20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2위(2m20)에 오른 최진우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성인 국제대회'에 데뷔한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육상은 금메달 1개(여자 100m 허들 정혜림), 은 1개(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동 4개(여자 장대높이뛰기 임은지, 여자 창던지기 김경애, 남자 50㎞ 경보 주현명, 여자 마라톤 최경선)를 얻었다.
최경선은 당시에서는 4위로 레이스를 마쳤지만, 3위였던 김혜성(북한)이 '추적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3위로 승격했다.
지난 대회 메달리스트 중에는 우상혁, 김경애, 최경선만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뽑혔다.
한국 육상은 항저우 대회에서도 지난 대회와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 육상의 빛나는 이정표를 여러 개 세운 우상혁과 유망주 최진우가 함께 경기를 치르는 건 이번 아시안게임이 처음이다.
대한육상연맹은 28일 홈페이지에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42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남자 높이뛰기에는 우상혁과 최진우가 함께 출전한다.
우상혁은 고교 재학 중이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쳤지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는 2m28로 은메달을 따냈다.
3번째 출전하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노린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올림픽(2m35로 4위)을 기점으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4), 실외 세계선수권 2위(2m35) 등 한국 육상의 새 역사를 썼다.
현재는 랭킹 포인트(1천376점) 단독 1위, 2023년 기록 공동 1위(2m33)다.
실외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현역 최고 점퍼'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 의사를 밝혀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는 '세계선수권급'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우상혁이 항저우에서 바르심을 넘어서면 한국 육상은 이진택(1998년 방콕·2002년 부산 대회 우승) 이후 21년 만에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금메달 손에 넣는다.
최진우는 2023년 20세 미만 남자 높이뛰기 기록(2m20)과 랭킹 포인트(1천90점) 모두 공동 2위를 달린다.
지난해 18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우승(2m21), 올해 20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2위(2m20)에 오른 최진우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성인 국제대회'에 데뷔한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육상은 금메달 1개(여자 100m 허들 정혜림), 은 1개(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동 4개(여자 장대높이뛰기 임은지, 여자 창던지기 김경애, 남자 50㎞ 경보 주현명, 여자 마라톤 최경선)를 얻었다.
최경선은 당시에서는 4위로 레이스를 마쳤지만, 3위였던 김혜성(북한)이 '추적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3위로 승격했다.
지난 대회 메달리스트 중에는 우상혁, 김경애, 최경선만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뽑혔다.
한국 육상은 항저우 대회에서도 지난 대회와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1위’ 우상혁·‘주니어 2위’ 최진우, 항저우AG 동반 출전
-
- 입력 2023-06-29 10:52:19

남자 높이뛰기 2023시즌 '세계 랭킹 1위' 우상혁(27·용인시청)과 '20세 미만 공동 2위' 최진우(18·울산스포츠과학고)가 올해 9월 개막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함께 출전한다.
한국 육상의 빛나는 이정표를 여러 개 세운 우상혁과 유망주 최진우가 함께 경기를 치르는 건 이번 아시안게임이 처음이다.
대한육상연맹은 28일 홈페이지에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42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남자 높이뛰기에는 우상혁과 최진우가 함께 출전한다.
우상혁은 고교 재학 중이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쳤지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는 2m28로 은메달을 따냈다.
3번째 출전하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노린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올림픽(2m35로 4위)을 기점으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4), 실외 세계선수권 2위(2m35) 등 한국 육상의 새 역사를 썼다.
현재는 랭킹 포인트(1천376점) 단독 1위, 2023년 기록 공동 1위(2m33)다.
실외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현역 최고 점퍼'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 의사를 밝혀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는 '세계선수권급'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우상혁이 항저우에서 바르심을 넘어서면 한국 육상은 이진택(1998년 방콕·2002년 부산 대회 우승) 이후 21년 만에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금메달 손에 넣는다.
최진우는 2023년 20세 미만 남자 높이뛰기 기록(2m20)과 랭킹 포인트(1천90점) 모두 공동 2위를 달린다.
지난해 18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우승(2m21), 올해 20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2위(2m20)에 오른 최진우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성인 국제대회'에 데뷔한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육상은 금메달 1개(여자 100m 허들 정혜림), 은 1개(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동 4개(여자 장대높이뛰기 임은지, 여자 창던지기 김경애, 남자 50㎞ 경보 주현명, 여자 마라톤 최경선)를 얻었다.
최경선은 당시에서는 4위로 레이스를 마쳤지만, 3위였던 김혜성(북한)이 '추적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3위로 승격했다.
지난 대회 메달리스트 중에는 우상혁, 김경애, 최경선만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뽑혔다.
한국 육상은 항저우 대회에서도 지난 대회와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 육상의 빛나는 이정표를 여러 개 세운 우상혁과 유망주 최진우가 함께 경기를 치르는 건 이번 아시안게임이 처음이다.
대한육상연맹은 28일 홈페이지에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42명의 이름을 공개했다.
남자 높이뛰기에는 우상혁과 최진우가 함께 출전한다.
우상혁은 고교 재학 중이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쳤지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는 2m28로 은메달을 따냈다.
3번째 출전하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노린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올림픽(2m35로 4위)을 기점으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한 우상혁은 지난해 세계실내선수권 우승(2m34), 실외 세계선수권 2위(2m35) 등 한국 육상의 새 역사를 썼다.
현재는 랭킹 포인트(1천376점) 단독 1위, 2023년 기록 공동 1위(2m33)다.
실외 세계선수권 3연패를 달성한 '현역 최고 점퍼'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출전 의사를 밝혀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는 '세계선수권급'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우상혁이 항저우에서 바르심을 넘어서면 한국 육상은 이진택(1998년 방콕·2002년 부산 대회 우승) 이후 21년 만에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금메달 손에 넣는다.
최진우는 2023년 20세 미만 남자 높이뛰기 기록(2m20)과 랭킹 포인트(1천90점) 모두 공동 2위를 달린다.
지난해 18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우승(2m21), 올해 20세 미만 아시아선수권 2위(2m20)에 오른 최진우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성인 국제대회'에 데뷔한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육상은 금메달 1개(여자 100m 허들 정혜림), 은 1개(남자 높이뛰기 우상혁), 동 4개(여자 장대높이뛰기 임은지, 여자 창던지기 김경애, 남자 50㎞ 경보 주현명, 여자 마라톤 최경선)를 얻었다.
최경선은 당시에서는 4위로 레이스를 마쳤지만, 3위였던 김혜성(북한)이 '추적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3위로 승격했다.
지난 대회 메달리스트 중에는 우상혁, 김경애, 최경선만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뽑혔다.
한국 육상은 항저우 대회에서도 지난 대회와 비슷한 수준의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