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실질임금 334만4천 원…두달 연속 하락
입력 2023.06.29 (13:12)
수정 2023.06.29 (13: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질임금이 두 달 연속 하락했습니다.
오늘(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70만6천 원으로 작년 동월(358만 원) 대비 2.7% 올랐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335만 원에서 334만4천 원으로 6천 원(0.2%) 떨어졌습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뒤 올해 2월 잠시 반등했던 실질임금이 다시 두 달째 내린 것입니다.
올해 1∼4월 누계 기준 실질임금도 작년보다 7만7천 원(2.1%) 하락한 366만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질임금 감소는 둔화했더라도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80(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7% 오르면서 같은 달 임금상승률 2.7%를 1.0%포인트 상회했습니다.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1년 4월 이후 계속된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종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숙박음식업으로 8만8천 명(8.0%) 늘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 7만9천 명(3.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 4만7천 명(3.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1만2천 명(0.8%), 교육서비스업은 5천 명(0.3%)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70만6천 원으로 작년 동월(358만 원) 대비 2.7% 올랐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335만 원에서 334만4천 원으로 6천 원(0.2%) 떨어졌습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뒤 올해 2월 잠시 반등했던 실질임금이 다시 두 달째 내린 것입니다.
올해 1∼4월 누계 기준 실질임금도 작년보다 7만7천 원(2.1%) 하락한 366만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질임금 감소는 둔화했더라도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80(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7% 오르면서 같은 달 임금상승률 2.7%를 1.0%포인트 상회했습니다.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1년 4월 이후 계속된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종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숙박음식업으로 8만8천 명(8.0%) 늘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 7만9천 명(3.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 4만7천 명(3.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1만2천 명(0.8%), 교육서비스업은 5천 명(0.3%)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월 실질임금 334만4천 원…두달 연속 하락
-
- 입력 2023-06-29 13:12:10
- 수정2023-06-29 13:19:56

실질임금이 두 달 연속 하락했습니다.
오늘(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70만6천 원으로 작년 동월(358만 원) 대비 2.7% 올랐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335만 원에서 334만4천 원으로 6천 원(0.2%) 떨어졌습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뒤 올해 2월 잠시 반등했던 실질임금이 다시 두 달째 내린 것입니다.
올해 1∼4월 누계 기준 실질임금도 작년보다 7만7천 원(2.1%) 하락한 366만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질임금 감소는 둔화했더라도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80(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7% 오르면서 같은 달 임금상승률 2.7%를 1.0%포인트 상회했습니다.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1년 4월 이후 계속된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종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숙박음식업으로 8만8천 명(8.0%) 늘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 7만9천 명(3.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 4만7천 명(3.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1만2천 명(0.8%), 교육서비스업은 5천 명(0.3%)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70만6천 원으로 작년 동월(358만 원) 대비 2.7% 올랐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335만 원에서 334만4천 원으로 6천 원(0.2%) 떨어졌습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뒤 올해 2월 잠시 반등했던 실질임금이 다시 두 달째 내린 것입니다.
올해 1∼4월 누계 기준 실질임금도 작년보다 7만7천 원(2.1%) 하락한 366만5천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실질임금 감소는 둔화했더라도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80(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7% 오르면서 같은 달 임금상승률 2.7%를 1.0%포인트 상회했습니다.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1년 4월 이후 계속된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종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숙박음식업으로 8만8천 명(8.0%) 늘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 7만9천 명(3.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 4만7천 명(3.8%)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1만2천 명(0.8%), 교육서비스업은 5천 명(0.3%) 줄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승준 기자 sailing@kbs.co.kr
이승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