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합시다] 12만 원 빙수·2만 원 햄버거…고물가 속 ‘소비 양극화’ 이유는?
입력 2023.06.29 (18:30)
수정 2023.06.29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합시다 시간입니다.
요즘 직장인들, 점심값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편의점 찾는 분들 적지 않죠.
5천 원짜리 도시락이나 천원 대 컵라면이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편에선 12만 원짜리 과일 빙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국내의 한 호텔이 해마다 여름이면 내놓는 빙수인데, 가격이 12만 6천 원입니다.
지난해 9만 6천 원이었으니까 30% 넘게 오른 건데요.
과시용일까요?
SNS엔 이 빙수를 먹었다는 후기가 5만개 가까이 됩니다.
얼마 전 미국의 유명 수제 버거가 국내에 첫 문을 열었죠.
장대비가 쏟아지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매일 대기 줄이 어마어마합니다.
서너 시간을 기다려야 맛볼 수 있다는데요.
가격은 치즈버거 하나에 1만 4,900원.
감자튀김과 음료를 추가하면 2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이 같은 소비 양극화, 고물가와 경기 둔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꼭 필요한 데만 소비를 하고, 절약한 돈으로 값비싼 상품과 서비스를 아낌없이 구매한다는 겁니다.
소비 성향을 분석하는 학계와 외식 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을 '스몰 럭셔리', '작은 사치'라고 이름 붙인 뒤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요즘 직장인들, 점심값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편의점 찾는 분들 적지 않죠.
5천 원짜리 도시락이나 천원 대 컵라면이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편에선 12만 원짜리 과일 빙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국내의 한 호텔이 해마다 여름이면 내놓는 빙수인데, 가격이 12만 6천 원입니다.
지난해 9만 6천 원이었으니까 30% 넘게 오른 건데요.
과시용일까요?
SNS엔 이 빙수를 먹었다는 후기가 5만개 가까이 됩니다.
얼마 전 미국의 유명 수제 버거가 국내에 첫 문을 열었죠.
장대비가 쏟아지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매일 대기 줄이 어마어마합니다.
서너 시간을 기다려야 맛볼 수 있다는데요.
가격은 치즈버거 하나에 1만 4,900원.
감자튀김과 음료를 추가하면 2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이 같은 소비 양극화, 고물가와 경기 둔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꼭 필요한 데만 소비를 하고, 절약한 돈으로 값비싼 상품과 서비스를 아낌없이 구매한다는 겁니다.
소비 성향을 분석하는 학계와 외식 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을 '스몰 럭셔리', '작은 사치'라고 이름 붙인 뒤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합시다] 12만 원 빙수·2만 원 햄버거…고물가 속 ‘소비 양극화’ 이유는?
-
- 입력 2023-06-29 18:29:59
- 수정2023-06-29 18:37:38

경제합시다 시간입니다.
요즘 직장인들, 점심값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편의점 찾는 분들 적지 않죠.
5천 원짜리 도시락이나 천원 대 컵라면이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편에선 12만 원짜리 과일 빙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국내의 한 호텔이 해마다 여름이면 내놓는 빙수인데, 가격이 12만 6천 원입니다.
지난해 9만 6천 원이었으니까 30% 넘게 오른 건데요.
과시용일까요?
SNS엔 이 빙수를 먹었다는 후기가 5만개 가까이 됩니다.
얼마 전 미국의 유명 수제 버거가 국내에 첫 문을 열었죠.
장대비가 쏟아지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매일 대기 줄이 어마어마합니다.
서너 시간을 기다려야 맛볼 수 있다는데요.
가격은 치즈버거 하나에 1만 4,900원.
감자튀김과 음료를 추가하면 2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이 같은 소비 양극화, 고물가와 경기 둔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꼭 필요한 데만 소비를 하고, 절약한 돈으로 값비싼 상품과 서비스를 아낌없이 구매한다는 겁니다.
소비 성향을 분석하는 학계와 외식 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을 '스몰 럭셔리', '작은 사치'라고 이름 붙인 뒤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요즘 직장인들, 점심값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편의점 찾는 분들 적지 않죠.
5천 원짜리 도시락이나 천원 대 컵라면이 많이 팔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편에선 12만 원짜리 과일 빙수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국내의 한 호텔이 해마다 여름이면 내놓는 빙수인데, 가격이 12만 6천 원입니다.
지난해 9만 6천 원이었으니까 30% 넘게 오른 건데요.
과시용일까요?
SNS엔 이 빙수를 먹었다는 후기가 5만개 가까이 됩니다.
얼마 전 미국의 유명 수제 버거가 국내에 첫 문을 열었죠.
장대비가 쏟아지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매일 대기 줄이 어마어마합니다.
서너 시간을 기다려야 맛볼 수 있다는데요.
가격은 치즈버거 하나에 1만 4,900원.
감자튀김과 음료를 추가하면 2만 원이 훌쩍 넘습니다.
이 같은 소비 양극화, 고물가와 경기 둔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꼭 필요한 데만 소비를 하고, 절약한 돈으로 값비싼 상품과 서비스를 아낌없이 구매한다는 겁니다.
소비 성향을 분석하는 학계와 외식 업계에선 이 같은 현상을 '스몰 럭셔리', '작은 사치'라고 이름 붙인 뒤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아보려 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