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세~49세 남성 절반가량은 미혼”

입력 2023.07.11 (18:18) 수정 2023.07.11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흔히 결혼 연령대로 보는 25세에서 49세 남성 가운데 절반 정도는 혼인 경험이 아예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며 20년 전보다 미혼 남성 비율은 2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인구의 날을 맞아 출산과 혼인 관련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를 보면 지난 2020년 기준 25세에서 49세 사이 남성 가운데 혼인 경험이 있는 비율은 52.9%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47.1%, 약 절반은 사별과 이혼을 포함해 혼인 경험이 전혀 없었습니다.

이 연령대 남성 미혼 비율은 1990년 19%에서 2000년 24%로 늘었고 20년 새 2배로 증가했습니다.

25세에서 49세 여성 가운데 미혼 비율은 2020년 기준 33%로 나타났습니다.

남성보다는 비율이 다소 낮지만 여성 역시 미혼의 비율이 증가 추세입니다.

통계청은 결혼 연령대가 늦어지고 있는 데다 결혼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등 결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 2천 건으로, 1970년보다 10만 건 넘게 감소했습니다.

인구 천 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습니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2022년 54.6%가 됐습니다.

고용률은 같은 기간 50.1%에서 60.0%까지 올랐습니다.

다만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 문제는 통계로도 뚜렷이 드러났습니다.

15세에서 54세 사이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17.2%로,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여성이 일을 쉬는 사례가 많은 특성상 여성 고용률 그래프는 가운데가 푹 꺼지는 엠자 형인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형태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5세~49세 남성 절반가량은 미혼”
    • 입력 2023-07-11 18:18:51
    • 수정2023-07-11 22:15:22
    뉴스 6
[앵커]

흔히 결혼 연령대로 보는 25세에서 49세 남성 가운데 절반 정도는 혼인 경험이 아예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며 20년 전보다 미혼 남성 비율은 2배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인구의 날을 맞아 출산과 혼인 관련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를 보면 지난 2020년 기준 25세에서 49세 사이 남성 가운데 혼인 경험이 있는 비율은 52.9%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47.1%, 약 절반은 사별과 이혼을 포함해 혼인 경험이 전혀 없었습니다.

이 연령대 남성 미혼 비율은 1990년 19%에서 2000년 24%로 늘었고 20년 새 2배로 증가했습니다.

25세에서 49세 여성 가운데 미혼 비율은 2020년 기준 33%로 나타났습니다.

남성보다는 비율이 다소 낮지만 여성 역시 미혼의 비율이 증가 추세입니다.

통계청은 결혼 연령대가 늦어지고 있는 데다 결혼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등 결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 2천 건으로, 1970년보다 10만 건 넘게 감소했습니다.

인구 천 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습니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2022년 54.6%가 됐습니다.

고용률은 같은 기간 50.1%에서 60.0%까지 올랐습니다.

다만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 문제는 통계로도 뚜렷이 드러났습니다.

15세에서 54세 사이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17.2%로,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여성이 일을 쉬는 사례가 많은 특성상 여성 고용률 그래프는 가운데가 푹 꺼지는 엠자 형인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형태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