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유발’ 퇴비 곳곳 야적…수거는 ‘지지부진’

입력 2023.07.12 (08:01) 수정 2023.07.12 (09: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해마다 반복되는 낙동강 녹조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환경부는 하천 주변에 쌓아둔 퇴비 더미를 지목하고, 장마가 시작되기 전 이를 대대적으로 수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장마가 이어지는 지금, 야적 퇴비들은 얼마나 치워졌을까요,

김효경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드넓게 펼쳐진 논 옆으로 푸른 비닐이 덮인 더미가 나옵니다.

국유지에 불법으로 쌓인 퇴비로, 무게만 약 30톤 규모입니다.

낙동강 지류인 계성천과 불과 40여m 떨어져 있습니다.

환경부는 지난달 초 올해 녹조 종합 대책의 첫 단계로 낙동강 주변 퇴비를 대대적으로 수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을 둘러보니, 900여m 떨어진 하천 주변에서도 비슷한 퇴비 더미가 또 발견됩니다.

이 퇴비는 누가 쌓아뒀는지 확인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처리 비용은 최소 50만 원, 고스란히 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합니다.

[최규철/창녕군 환경위생과장 : "소유자 파악에도 시간이 걸리고 현장 가서 어떻게 처리할지, 또 처리할 곳이 있어야 하는데 부지 확보에도 좀 어려움이…."]

낙동강 수계에 쌓인 퇴비는 모두 1,800여 곳, 이 가운데 35%인 640곳은 국유지 등에 불법 적치돼 있습니다.

경남 합천이 130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창녕과 경북 고령, 대구 달성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말까지 수거를 마친 야적 퇴비는 265곳, 40%를 간신히 넘겼습니다.

소유주가 확인되지 않은 야적 퇴비도 170곳이 넘습니다.

환경부가 장마 시작 전 낙동강변 퇴비를 치우겠다고 했지만, 아직 절반도 치우지 못한 것입니다.

[정수근/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모든 퇴비를 일거에 수거하면 모를까, 또 다른 비점 오염원들이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 보여주기식 대책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난해 낙동강 조류경보는 칠서 지점 189일, 물금·매리지점 196일로 최근 3년 가운데 가장 길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녹조 유발’ 퇴비 곳곳 야적…수거는 ‘지지부진’
    • 입력 2023-07-12 08:01:16
    • 수정2023-07-12 09:18:13
    뉴스광장(창원)
[앵커]

해마다 반복되는 낙동강 녹조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환경부는 하천 주변에 쌓아둔 퇴비 더미를 지목하고, 장마가 시작되기 전 이를 대대적으로 수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장마가 이어지는 지금, 야적 퇴비들은 얼마나 치워졌을까요,

김효경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드넓게 펼쳐진 논 옆으로 푸른 비닐이 덮인 더미가 나옵니다.

국유지에 불법으로 쌓인 퇴비로, 무게만 약 30톤 규모입니다.

낙동강 지류인 계성천과 불과 40여m 떨어져 있습니다.

환경부는 지난달 초 올해 녹조 종합 대책의 첫 단계로 낙동강 주변 퇴비를 대대적으로 수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을 둘러보니, 900여m 떨어진 하천 주변에서도 비슷한 퇴비 더미가 또 발견됩니다.

이 퇴비는 누가 쌓아뒀는지 확인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처리 비용은 최소 50만 원, 고스란히 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합니다.

[최규철/창녕군 환경위생과장 : "소유자 파악에도 시간이 걸리고 현장 가서 어떻게 처리할지, 또 처리할 곳이 있어야 하는데 부지 확보에도 좀 어려움이…."]

낙동강 수계에 쌓인 퇴비는 모두 1,800여 곳, 이 가운데 35%인 640곳은 국유지 등에 불법 적치돼 있습니다.

경남 합천이 130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창녕과 경북 고령, 대구 달성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말까지 수거를 마친 야적 퇴비는 265곳, 40%를 간신히 넘겼습니다.

소유주가 확인되지 않은 야적 퇴비도 170곳이 넘습니다.

환경부가 장마 시작 전 낙동강변 퇴비를 치우겠다고 했지만, 아직 절반도 치우지 못한 것입니다.

[정수근/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모든 퇴비를 일거에 수거하면 모를까, 또 다른 비점 오염원들이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 보여주기식 대책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난해 낙동강 조류경보는 칠서 지점 189일, 물금·매리지점 196일로 최근 3년 가운데 가장 길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최현진/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