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이송 자제 요청까지…정부 “단호한 대응”

입력 2023.07.14 (06:48) 수정 2023.07.14 (07: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건의료노조가 의료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이틀째 파업을 이어가면서 일부 의료 기관의 진료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정당한 쟁의 행위를 벗어나 국민 생명에 위해를 끼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최대 규모의 중증외상환자 전담 병상을 운영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간호사와 의료기사 등 500여 명이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응급실은 정상 운영 중이지만 외래 환자는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엊그제부터는 가슴이 답답하신 거죠? 어제부터 심해지고?"]

국립중앙의료원은 소방청에 공문을 보내 다음 주 월요일 오전까지 환자 이송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당장 큰 혼란은 없었지만 입원 환자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정서윤/입원 환자 : "5층에서 있다가 파업한다고 해서 6층으로 다 같이 이동했거든요. 원래 있던 환자들 중에 걸을 수 있거나 괜찮은 환자들을 싹 다 퇴원시키고..."]

병원 측은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에 필수인력을 배치해 환자 불편과 진료 차질을 최소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총파업 참여 추정 인원은 전국 145곳 의료기관 소속 4만 5천여 명, 폭우 속 열린 집회에서 정부에 날을 세웠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인력 문제 해결하라, 국민 생명을 살려낸 공공병원 살려내라, 이것을 정치파업이라고 한다면 이런 정치파업은 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정부는 필요시 업무 복귀명령을 검토하겠다며 압박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노동 쟁의로 인해서 국민들의 건강과 생명에 크나큰 지장을 줄 경우에는 정부가 불가피하게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또 보건의료재난위기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한 단계 올리며 대응 수위를 높였습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 강현경/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자 이송 자제 요청까지…정부 “단호한 대응”
    • 입력 2023-07-14 06:48:52
    • 수정2023-07-14 07:02:57
    뉴스광장 1부
[앵커]

보건의료노조가 의료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이틀째 파업을 이어가면서 일부 의료 기관의 진료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정당한 쟁의 행위를 벗어나 국민 생명에 위해를 끼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최대 규모의 중증외상환자 전담 병상을 운영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간호사와 의료기사 등 500여 명이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응급실은 정상 운영 중이지만 외래 환자는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엊그제부터는 가슴이 답답하신 거죠? 어제부터 심해지고?"]

국립중앙의료원은 소방청에 공문을 보내 다음 주 월요일 오전까지 환자 이송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당장 큰 혼란은 없었지만 입원 환자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정서윤/입원 환자 : "5층에서 있다가 파업한다고 해서 6층으로 다 같이 이동했거든요. 원래 있던 환자들 중에 걸을 수 있거나 괜찮은 환자들을 싹 다 퇴원시키고..."]

병원 측은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에 필수인력을 배치해 환자 불편과 진료 차질을 최소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총파업 참여 추정 인원은 전국 145곳 의료기관 소속 4만 5천여 명, 폭우 속 열린 집회에서 정부에 날을 세웠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인력 문제 해결하라, 국민 생명을 살려낸 공공병원 살려내라, 이것을 정치파업이라고 한다면 이런 정치파업은 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정부는 필요시 업무 복귀명령을 검토하겠다며 압박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노동 쟁의로 인해서 국민들의 건강과 생명에 크나큰 지장을 줄 경우에는 정부가 불가피하게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또 보건의료재난위기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한 단계 올리며 대응 수위를 높였습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 강현경/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강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