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멍 드는 교사들 ‘울분’…주말 도심 집회 예고

입력 2023.07.21 (21:29) 수정 2023.07.21 (2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교권 침해를 겪은 교사들은 법과 제도를 빨리 정비해달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교사를 보호하는 장치가 없는 게 큰 문제라고 말하는데요,

교육 당국은 부랴부랴 대책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김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고인을 기리는 동료 교사들의 발길은 계속됐습니다.

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교권 침해와 연관됐다는 의혹에 교사들은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초등학교 교사 A : "정말 화가 많이 나는 일입니다. 학생의 인권도 분명히 있지만, 교사도 교권이라는 것이 있고…"]

[초등학교 교사 B/음성변조 : "(악성)민원을 받았을 때도 그 누구에게도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교권을 세우기 위해 노력했지만 참담한 결과에 몸 둘 바를 모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조희연/서울시교육감 : "민원 제기 과정에서의 (학부모의) 갑질적인 행태들이 좀 있어서 (이번에도) 그 부분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은 저희가 사실확인을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초등학교 교사 60명 전원에 대한 경찰의 참고인 조사도 예고된 상태.

사망 경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교사들이 분노하는 건 누구나 교권 침해를 겪어봤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교사노동조합연맹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았다고 응답한 교사가 27%, 3천 명이 넘었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교사의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한 법 개정안에 정부가 힘을 싣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주호/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교사분들이 걱정하고 또 제안하는 부분들이 입법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그렇게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교사 집회가 내일(22일) 서울에서 예고된 가운데,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 등은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한 합동조사단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에는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에 대해선 책임을 묻지 않는 등의 교권 보호 관련 법안이 8건 발의돼 있지만, 논의는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서다은/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피멍 드는 교사들 ‘울분’…주말 도심 집회 예고
    • 입력 2023-07-21 21:29:52
    • 수정2023-07-21 21:43:51
    뉴스 9
[앵커]

교권 침해를 겪은 교사들은 법과 제도를 빨리 정비해달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교사를 보호하는 장치가 없는 게 큰 문제라고 말하는데요,

교육 당국은 부랴부랴 대책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계속해서 김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고인을 기리는 동료 교사들의 발길은 계속됐습니다.

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이 교권 침해와 연관됐다는 의혹에 교사들은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초등학교 교사 A : "정말 화가 많이 나는 일입니다. 학생의 인권도 분명히 있지만, 교사도 교권이라는 것이 있고…"]

[초등학교 교사 B/음성변조 : "(악성)민원을 받았을 때도 그 누구에게도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교권을 세우기 위해 노력했지만 참담한 결과에 몸 둘 바를 모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조희연/서울시교육감 : "민원 제기 과정에서의 (학부모의) 갑질적인 행태들이 좀 있어서 (이번에도) 그 부분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은 저희가 사실확인을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초등학교 교사 60명 전원에 대한 경찰의 참고인 조사도 예고된 상태.

사망 경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교사들이 분노하는 건 누구나 교권 침해를 겪어봤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교사노동조합연맹 조사 결과, 최근 5년간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았다고 응답한 교사가 27%, 3천 명이 넘었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교사의 '교육 활동 보호'를 위한 법 개정안에 정부가 힘을 싣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주호/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교사분들이 걱정하고 또 제안하는 부분들이 입법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그렇게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교사 집회가 내일(22일) 서울에서 예고된 가운데,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 등은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한 합동조사단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국회에는 교사의 정당한 생활지도에 대해선 책임을 묻지 않는 등의 교권 보호 관련 법안이 8건 발의돼 있지만, 논의는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서다은/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