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교육활동 보장 대책안 발표…교사노조 지지

입력 2023.07.24 (19:07) 수정 2023.07.24 (2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뒤 교권 확보를 위한 교사들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부산시교육청도 오늘, 교육 활동 보장을 위한 대책안을 발표했습니다.

교육 활동을 침해하면 곧바로 강력한 법적 대응과 함께 치료를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겼는데요,

교사 노조도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부산의 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이 담임 여교사 A 씨의 복부와 얼굴 등을 때려 상처를 입혔습니다.

수업시간에 시끄럽게 하는 학생을 A 교사가 제지하는 중에 일어난 일입니다.

A 교사는 입원 치료를 받고 병가를 신청했지만, 교권보호위원회 개최는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초등학교 교장/음성변조 : "학교에서 적극 권유를 해가지고 이제 병원에 다니기 시작했고 학교에서도 지금 치료를 시작할 거고 이런 가능성을 봐서 이제 자기는 (교권보호위원회 신청을) 안 하기로 한거죠."]

올해 상반기 부산시교육청에 보고된 교육활동 침해 사례는 모두 68건으로, 한 달에 10건이 넘습니다.

피해 교사 10명 중 4명은 특별휴가를 받는 것으로 대신했고, 법률지원을 받은 경우는 단 한 차례도 없습니다.

부산시교육청은 오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활동 보호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윤수/부산시교육감 : "앞으로 학교장은 교권 침해 사항을 교육청에 반드시 신고하고, 선생님의 의사와 관계없이 교권보호위원회도 의무적으로 개최해야 합니다."]

교육청은 전담 지원단을 구성해 법률지원을 하고, 악성 민원에 대해서는 교육청이 직접 수사기관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교원에 대한 치료비 지원 확대와 함께 가해 학생의 정신적 치유를 위한 정신건강증진센터도 건립하기로 했습니다.

교사노조도 이번 개선안에 지지 의사를 밝히고, 법 개정도 촉구했습니다.

[최용준/부산교사노조 수석부위원장 : "선생님들이 정당한 교육을 위해서 활동을 했는데 그게 아동학대로 신고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부산시교육청은 서울 초등학교 교사 추모관 운영을 오는 28일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시교육청, 교육활동 보장 대책안 발표…교사노조 지지
    • 입력 2023-07-24 19:07:29
    • 수정2023-07-24 20:20:35
    뉴스7(부산)
[앵커]

서울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뒤 교권 확보를 위한 교사들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부산시교육청도 오늘, 교육 활동 보장을 위한 대책안을 발표했습니다.

교육 활동을 침해하면 곧바로 강력한 법적 대응과 함께 치료를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겼는데요,

교사 노조도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부산의 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이 담임 여교사 A 씨의 복부와 얼굴 등을 때려 상처를 입혔습니다.

수업시간에 시끄럽게 하는 학생을 A 교사가 제지하는 중에 일어난 일입니다.

A 교사는 입원 치료를 받고 병가를 신청했지만, 교권보호위원회 개최는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초등학교 교장/음성변조 : "학교에서 적극 권유를 해가지고 이제 병원에 다니기 시작했고 학교에서도 지금 치료를 시작할 거고 이런 가능성을 봐서 이제 자기는 (교권보호위원회 신청을) 안 하기로 한거죠."]

올해 상반기 부산시교육청에 보고된 교육활동 침해 사례는 모두 68건으로, 한 달에 10건이 넘습니다.

피해 교사 10명 중 4명은 특별휴가를 받는 것으로 대신했고, 법률지원을 받은 경우는 단 한 차례도 없습니다.

부산시교육청은 오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활동 보호 개선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윤수/부산시교육감 : "앞으로 학교장은 교권 침해 사항을 교육청에 반드시 신고하고, 선생님의 의사와 관계없이 교권보호위원회도 의무적으로 개최해야 합니다."]

교육청은 전담 지원단을 구성해 법률지원을 하고, 악성 민원에 대해서는 교육청이 직접 수사기관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교원에 대한 치료비 지원 확대와 함께 가해 학생의 정신적 치유를 위한 정신건강증진센터도 건립하기로 했습니다.

교사노조도 이번 개선안에 지지 의사를 밝히고, 법 개정도 촉구했습니다.

[최용준/부산교사노조 수석부위원장 : "선생님들이 정당한 교육을 위해서 활동을 했는데 그게 아동학대로 신고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부산시교육청은 서울 초등학교 교사 추모관 운영을 오는 28일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