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2개월 연속 흑자…수입액 25% 감소 영향

입력 2023.08.01 (19:29) 수정 2023.08.01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무역수지가 1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수출이 잘 돼서가 아니라, 수입액이 많이 준 영향이 커보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 수출액은 503억 달러입니다.

600억 달러가 넘었던 1년전 같은달보다 16.5% 감소했습니다.

업황 부진과 단가 하락으로 반도체 수출액은 34% 감소했고,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제품도 각각 42%와 25% 줄었습니다.

다만, 자동차와 일반기계, 가전 등의 품목은 수출액이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6대 주요 수출지역의 수출액이 모두 줄었는데, 특히 중국과 아세안으로 향하는 수출이 20% 넘게 감소했습니다.

[김완기/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중국, 베트남의 수출 부진이, 중간재 수입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우리 수출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대중국 무역수지는 올해 3월을 기점으로 해서 개선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지난달 수입액은 487억 달러로 전년 같은달보다 25% 넘게 줄었습니다.

유가 하락 등에 따라, 주요 에너지 수입액이 절반 가까이 준 영향이 큽니다.

원유 수입액은 이번에 46% 줄었고 가스는 51%, 석탄도 46%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 무역수지는 16억 3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역 수지는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오다, 6월 들어 흑자로 전환한 뒤 두 달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 등으로 무역수지 흑자 기조 유지가 가시화 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수출 부진 장기화와 함께, 대중국 수출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어 이런 기조가 얼마만큼 유지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역수지 2개월 연속 흑자…수입액 25% 감소 영향
    • 입력 2023-08-01 19:29:07
    • 수정2023-08-01 19:42:13
    뉴스 7
[앵커]

지난달 무역수지가 1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수출이 잘 돼서가 아니라, 수입액이 많이 준 영향이 커보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 수출액은 503억 달러입니다.

600억 달러가 넘었던 1년전 같은달보다 16.5% 감소했습니다.

업황 부진과 단가 하락으로 반도체 수출액은 34% 감소했고,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제품도 각각 42%와 25% 줄었습니다.

다만, 자동차와 일반기계, 가전 등의 품목은 수출액이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6대 주요 수출지역의 수출액이 모두 줄었는데, 특히 중국과 아세안으로 향하는 수출이 20% 넘게 감소했습니다.

[김완기/산업부 무역투자실장 : "중국, 베트남의 수출 부진이, 중간재 수입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우리 수출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대중국 무역수지는 올해 3월을 기점으로 해서 개선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지난달 수입액은 487억 달러로 전년 같은달보다 25% 넘게 줄었습니다.

유가 하락 등에 따라, 주요 에너지 수입액이 절반 가까이 준 영향이 큽니다.

원유 수입액은 이번에 46% 줄었고 가스는 51%, 석탄도 46%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 무역수지는 16억 3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무역 수지는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오다, 6월 들어 흑자로 전환한 뒤 두 달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 등으로 무역수지 흑자 기조 유지가 가시화 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수출 부진 장기화와 함께, 대중국 수출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어 이런 기조가 얼마만큼 유지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김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