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참사 상황 추가 공개…“명백한 중대시민재해”

입력 2023.08.17 (10:56) 수정 2023.08.17 (11: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4명의 사상자를 낸 오송 참사 당시 영상이 생존자들에 의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이들은 한 달이 넘도록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지지부진하다며 지하차도 관리·통제 책임자를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센 흙탕물에 순식간에 뒤로 밀려나는 승용차.

시내버스 역시 더는 나아가지 못하고 멈춰 서고, 뒤따르던 대형 화물차가 막아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차량 썬루프를 통해 가까스로 몸을 빼내고, 중앙분리대를 붙잡고 지하차도 밖으로 빠져나옵니다.

119에 신고했지만 상황은 이미 걷잡을 수 없던 때여서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습니다.

[119 종합상황실 : "119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생존자 : "네, 여기 물이 범람해서 버스하고 사람들이 다 갇혔어요. 여기."]

[119 종합상황실 : "잠시만요. 잠시만요. 궁평2지하차도요?"]

[생존자 : "지금 여기 지하차도."]

[119 종합상황실 : "선생님 지금 블루투스에요? 블루투스?"]

[생존자 : "지금."]

[119 종합상황실 : "선생님, 잘 안 들려요. 블루투스 꺼보고 그냥 전화해보세요."]

스스로의 힘만으로 지하차도를 빠져나온 이들이 당시 처절했던 상황을 알리며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심리적 외상에 생활고까지 겪는 이들도 있지만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분노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 "똑같은 시민으로서 안전할 권리, 피해자로서 온전하게 일상으로 돌아갈 권리를 보장받고 싶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10여 명은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는 더디기만 하다며 생존자협의회를 꾸렸습니다.

이들은 충북지사와 청주시장, 행복청장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충북소방본부장 직무대리와 충북경찰청장, 청주 흥덕경찰서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 "제대로 된 사과나 피해 보전 없이 말단 직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이리저리 빠져나가기 위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이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존자 협의회는 또 지하차도 자동 통제 시설 설치 등 사고 재발 방지책과 재난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도 함께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송 참사 상황 추가 공개…“명백한 중대시민재해”
    • 입력 2023-08-17 10:56:30
    • 수정2023-08-17 11:20:20
    930뉴스(청주)
[앵커]

24명의 사상자를 낸 오송 참사 당시 영상이 생존자들에 의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이들은 한 달이 넘도록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지지부진하다며 지하차도 관리·통제 책임자를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보도에 이유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센 흙탕물에 순식간에 뒤로 밀려나는 승용차.

시내버스 역시 더는 나아가지 못하고 멈춰 서고, 뒤따르던 대형 화물차가 막아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차량 썬루프를 통해 가까스로 몸을 빼내고, 중앙분리대를 붙잡고 지하차도 밖으로 빠져나옵니다.

119에 신고했지만 상황은 이미 걷잡을 수 없던 때여서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습니다.

[119 종합상황실 : "119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생존자 : "네, 여기 물이 범람해서 버스하고 사람들이 다 갇혔어요. 여기."]

[119 종합상황실 : "잠시만요. 잠시만요. 궁평2지하차도요?"]

[생존자 : "지금 여기 지하차도."]

[119 종합상황실 : "선생님 지금 블루투스에요? 블루투스?"]

[생존자 : "지금."]

[119 종합상황실 : "선생님, 잘 안 들려요. 블루투스 꺼보고 그냥 전화해보세요."]

스스로의 힘만으로 지하차도를 빠져나온 이들이 당시 처절했던 상황을 알리며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심리적 외상에 생활고까지 겪는 이들도 있지만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분노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 "똑같은 시민으로서 안전할 권리, 피해자로서 온전하게 일상으로 돌아갈 권리를 보장받고 싶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10여 명은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는 더디기만 하다며 생존자협의회를 꾸렸습니다.

이들은 충북지사와 청주시장, 행복청장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충북소방본부장 직무대리와 충북경찰청장, 청주 흥덕경찰서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습니다.

[오송 참사 생존자 : "제대로 된 사과나 피해 보전 없이 말단 직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이리저리 빠져나가기 위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이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존자 협의회는 또 지하차도 자동 통제 시설 설치 등 사고 재발 방지책과 재난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도 함께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그래픽:김선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