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 헝다’, 미국서 파산 보호 신청…“중 국영 건설사 절반이 잠정 손실”

입력 2023.08.18 (19:30) 수정 2023.08.18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채무불이행에 빠져 중국 부동산업계 위기를 불러 온 헝다 그룹이 결국 미국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 국영 건설사 절반 가까이가 올 상반기 잠정 손실 상태라는 외신 보도가 나오는 등 중국 부동산 시장에 경고음이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 이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 중 하나였던 헝다가 현지 시간 17일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파산법 15조'에 근거했는데, 이는 다른 국가에서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제적인 지급 불능 상태를 다루는 절차입니다.

헝다는 2021년 12월 처음으로 우리 돈 약 30조 4천억 원 규모의 역외 채권을 갚지 못해 채무불이행에 빠진 뒤 몇 년 동안 유동성 위기를 겪어왔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총 부채만 3천300억 달러, 우리 돈 약 442조 원에 달합니다.

여기에 헝다 그룹은 정보 공개 의무와 관련해 중국 증권 당국의 조사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상하이TV 보도 : "헝다 부동산은 회사가 정보 공개 위법 협의로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회사를 입안 조사하기로 결정했다고 선전증권거래소에 공고를 발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오늘 중국 본토와 홍콩에 상장된 중국 국영 건설사 38개 가운데 18개가 올해 상반기 잠정 손실 상태라고 보도했습니다.

7월 신규 주택 가격도 올해 처음 하락했는데, 실제 상황은 더 나쁘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여파는 이미 중룽 국제 신탁 등 금융시장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게리 응/나틱시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 "(부동산) 개발자들의 현금 유동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그림자 금융권 곳곳에서 이런 신용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중국은 부동산 시장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이상으로, 경제 성장의 부동산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비구이위안의 채무불이행 위기에 헝다의 이번 악재까지 더해져 부동산발 위기가 실물 경기로까지 확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랑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조영은/그래픽제작: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폴트 헝다’, 미국서 파산 보호 신청…“중 국영 건설사 절반이 잠정 손실”
    • 입력 2023-08-18 19:30:24
    • 수정2023-08-18 19:47:05
    뉴스 7
[앵커]

채무불이행에 빠져 중국 부동산업계 위기를 불러 온 헝다 그룹이 결국 미국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 국영 건설사 절반 가까이가 올 상반기 잠정 손실 상태라는 외신 보도가 나오는 등 중국 부동산 시장에 경고음이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 이랑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 중 하나였던 헝다가 현지 시간 17일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파산법 15조'에 근거했는데, 이는 다른 국가에서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동안 미국 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하는, 국제적인 지급 불능 상태를 다루는 절차입니다.

헝다는 2021년 12월 처음으로 우리 돈 약 30조 4천억 원 규모의 역외 채권을 갚지 못해 채무불이행에 빠진 뒤 몇 년 동안 유동성 위기를 겪어왔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총 부채만 3천300억 달러, 우리 돈 약 442조 원에 달합니다.

여기에 헝다 그룹은 정보 공개 의무와 관련해 중국 증권 당국의 조사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상하이TV 보도 : "헝다 부동산은 회사가 정보 공개 위법 협의로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회사를 입안 조사하기로 결정했다고 선전증권거래소에 공고를 발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오늘 중국 본토와 홍콩에 상장된 중국 국영 건설사 38개 가운데 18개가 올해 상반기 잠정 손실 상태라고 보도했습니다.

7월 신규 주택 가격도 올해 처음 하락했는데, 실제 상황은 더 나쁘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여파는 이미 중룽 국제 신탁 등 금융시장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게리 응/나틱시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 "(부동산) 개발자들의 현금 유동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그림자 금융권 곳곳에서 이런 신용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중국은 부동산 시장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이상으로, 경제 성장의 부동산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비구이위안의 채무불이행 위기에 헝다의 이번 악재까지 더해져 부동산발 위기가 실물 경기로까지 확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랑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조영은/그래픽제작: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