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설·보 만으로는 한계”…자연기반 홍수 대책 ‘모색’

입력 2023.08.18 (21:40) 수정 2023.08.18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복되는 홍수 위기 극복을 위해 환경 전문가들이 모여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인위적인 구조물이나 준설 대신 하천 본연의 기능을 복원해 재난 대응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습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 여름 집중호우로 전북에서 발생한 피해액만 6백50억 원.

반복되는 물난리에 정부가 4대강 사업을 다시 추진할 거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환경 전문가들이 모여 하천의 자연적 복구를 통한 재난 대응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최근 보를 철거한 대전 갑천처럼 구조물을 들어내 물흐름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재해 예방 효과를 키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경호/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보 자체가 사실 홍수를 유발하는 시설이거든요. 유발 시설 자체를 없앰으로써 흐름도 개선하고 재해 예방에도 도움이 되고 생태계 자체의 연속성도 확보되는…."]

정부가 전국적인 하천 준설을 예고한데 이어 삼천 등 전북의 하천 역시 올 하반기부터 공사가 이뤄질 예정.

강바닥을 파내고 하천변 나무를 잘라 물그릇을 키우겠단 건데, 생태 파괴는 가속화 하는 반면 홍수 대비 효과는 낮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4대강 준설이 이뤄진 뒤 5년 만에 파낸 토사의 4분의 1 넘게 다시 쌓인 사실이 감사원 감사로 드러난 데다, 전주시도 하천 기본계획에 인위적인 준설은 지양해야 한다는 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문지현/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과학적인 근거를 갖고 준설이든 나무 벌목이든 했으면 좋겠단 의미고요. 홍수 저감 대책으로 봤을 때 일시적인 방법이니 근본적인 대책을 먼저 마련한 다음…."]

결국 댐과 보로 유량을 관리하는 기존 방식을 넘어, 제방 폭을 넓혀 홍수위를 낮추고 습지와 굽이치는 하천 본연의 물길을 보존해 홍수 복원력을 높여야 한다는 겁니다.

[신재은/풀씨행동연구소 캠페이너 : "자연기반 해법은 기후변화 협약이나 생물 다양성 협약 양쪽에서 연결되는 지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지형적 특성, 유량의 특성, 기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하천의 모양이나 배후 지역의 영향을 고려해서 그 유역 안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을 찾아야 하거든요."]

또 홍수 위험 지역 정보를 도시 계획에 통합하고, 유역 전체를 활용해 홍수 위험을 줄이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준설·보 만으로는 한계”…자연기반 홍수 대책 ‘모색’
    • 입력 2023-08-18 21:40:45
    • 수정2023-08-18 22:12:13
    뉴스9(전주)
[앵커]

반복되는 홍수 위기 극복을 위해 환경 전문가들이 모여 해법을 모색했습니다.

인위적인 구조물이나 준설 대신 하천 본연의 기능을 복원해 재난 대응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습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 여름 집중호우로 전북에서 발생한 피해액만 6백50억 원.

반복되는 물난리에 정부가 4대강 사업을 다시 추진할 거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환경 전문가들이 모여 하천의 자연적 복구를 통한 재난 대응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최근 보를 철거한 대전 갑천처럼 구조물을 들어내 물흐름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재해 예방 효과를 키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경호/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보 자체가 사실 홍수를 유발하는 시설이거든요. 유발 시설 자체를 없앰으로써 흐름도 개선하고 재해 예방에도 도움이 되고 생태계 자체의 연속성도 확보되는…."]

정부가 전국적인 하천 준설을 예고한데 이어 삼천 등 전북의 하천 역시 올 하반기부터 공사가 이뤄질 예정.

강바닥을 파내고 하천변 나무를 잘라 물그릇을 키우겠단 건데, 생태 파괴는 가속화 하는 반면 홍수 대비 효과는 낮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4대강 준설이 이뤄진 뒤 5년 만에 파낸 토사의 4분의 1 넘게 다시 쌓인 사실이 감사원 감사로 드러난 데다, 전주시도 하천 기본계획에 인위적인 준설은 지양해야 한다는 방향을 담고 있습니다.

[문지현/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과학적인 근거를 갖고 준설이든 나무 벌목이든 했으면 좋겠단 의미고요. 홍수 저감 대책으로 봤을 때 일시적인 방법이니 근본적인 대책을 먼저 마련한 다음…."]

결국 댐과 보로 유량을 관리하는 기존 방식을 넘어, 제방 폭을 넓혀 홍수위를 낮추고 습지와 굽이치는 하천 본연의 물길을 보존해 홍수 복원력을 높여야 한다는 겁니다.

[신재은/풀씨행동연구소 캠페이너 : "자연기반 해법은 기후변화 협약이나 생물 다양성 협약 양쪽에서 연결되는 지점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지형적 특성, 유량의 특성, 기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하천의 모양이나 배후 지역의 영향을 고려해서 그 유역 안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을 찾아야 하거든요."]

또 홍수 위험 지역 정보를 도시 계획에 통합하고, 유역 전체를 활용해 홍수 위험을 줄이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