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에 치매 예방까지…‘사회적 농업’ 농촌 미래 될까?

입력 2023.08.21 (07:43) 수정 2023.08.21 (08: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소멸 위기에 놓인 농촌의 대안으로 '사회적 농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령자나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영농 활동을 하며 치유, 돌봄, 교육 등을 제공하는 사업인데요,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이 소식은 대구총국 오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장애 어린이집 아이들이 텃밭에 모였습니다.

고사리손으로 무씨를 뿌린 뒤 흙을 덮고 물도 줍니다.

이 농장에서는 장애 아동들이 영농과 승마 체험을 하며 운동 능력은 물론 사회성도 키웁니다.

[박형근/경북 거점 사회적 농장 대표 : "강사비, 재료비 등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원해 줍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장애 아동) 친구들이 정서적으로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농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북에서도 2018년부터 꾸준히 늘어 현재 11개 농장과 협동조합에서 발달 장애인 영농 재활이나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자치단체가 주는 시설비와 운영비는 최대 5년뿐.

대부분 영세 농가인 데다 수익성도 낮아, 자생력을 키우기에는 짧은 기간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 때문에 사회적 농업을 복지서비스와 연계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조문수/대구대 원예학과 명예교수 : "(유럽에서는) 정부의 큰 부처 간 협력이 잘 돼 있어요. 농림·수산부라든가 보건복지부가 굉장히 협업해서 상당수 예산을 따로 마련해서 이런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농가에 상당히 지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회적 농업 육성을 의무화하는 '농촌사회서비스법'이 내년 시행을 앞둔 상황.

사회적 농업이 비어가는 농촌에 활력을 채우고,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복지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오아영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활에 치매 예방까지…‘사회적 농업’ 농촌 미래 될까?
    • 입력 2023-08-21 07:43:55
    • 수정2023-08-21 08:39:54
    뉴스광장(전주)
[앵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소멸 위기에 놓인 농촌의 대안으로 '사회적 농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령자나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영농 활동을 하며 치유, 돌봄, 교육 등을 제공하는 사업인데요,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이 소식은 대구총국 오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장애 어린이집 아이들이 텃밭에 모였습니다.

고사리손으로 무씨를 뿌린 뒤 흙을 덮고 물도 줍니다.

이 농장에서는 장애 아동들이 영농과 승마 체험을 하며 운동 능력은 물론 사회성도 키웁니다.

[박형근/경북 거점 사회적 농장 대표 : "강사비, 재료비 등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원해 줍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장애 아동) 친구들이 정서적으로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농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북에서도 2018년부터 꾸준히 늘어 현재 11개 농장과 협동조합에서 발달 장애인 영농 재활이나 노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자치단체가 주는 시설비와 운영비는 최대 5년뿐.

대부분 영세 농가인 데다 수익성도 낮아, 자생력을 키우기에는 짧은 기간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 때문에 사회적 농업을 복지서비스와 연계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조문수/대구대 원예학과 명예교수 : "(유럽에서는) 정부의 큰 부처 간 협력이 잘 돼 있어요. 농림·수산부라든가 보건복지부가 굉장히 협업해서 상당수 예산을 따로 마련해서 이런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농가에 상당히 지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회적 농업 육성을 의무화하는 '농촌사회서비스법'이 내년 시행을 앞둔 상황.

사회적 농업이 비어가는 농촌에 활력을 채우고,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복지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오아영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