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 보도연맹 희생자 57명 73년 만에 진실규명

입력 2023.08.21 (21:52) 수정 2023.08.21 (22: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6.25 전쟁 당시 충북 곳곳에서는 민간인 희생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가운데 충북지역 114명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들에 대한 진실 규명이 70여 년 만에 추가로 이뤄졌습니다.

보도에 민수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도연맹 학살 사건으로 1,000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주시 남일면 분터골.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7년부터 2년 동안 이곳에서 300구가 넘는 유해를 찾았습니다.

충주에서도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이 올해부터 시작되는 등 충북 곳곳에서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는 5,000명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가운데 강내면 탑연리와 미원면 일대 등 청주·청원지역 희생자 57명에 대한 진실 규명이 73년 만에 이뤄졌습니다.

1기 진실화해위원회 시절 500여 명에 이어 2기 위원회 출범 이후 옥천과 충주, 청주·청원까지 충북에서만 114명 희생자에 대한 추가 진실 규명이 이뤄졌습니다.

[장풍차/청주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 유족 : "'빨갱이 동네다' 모르는 사람들은 그렇게 소문이 났었어요. 어쨌든 다행스럽게 보는 거지. 거의 한 60년 이상을 빨갱이 오명에 살다가."]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들 희생자들이 1950년 7월 경찰에 의해 집단 살해된 것으로 봤습니다.

또 민간인에 대한 불법살해의 책임은 군인과 경찰을 관리해야 할 국가에 있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공식적인 사과, 추모사업 지원 등을 권고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정을 반기는 한편 지속적인 조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박만순/충북역사문화연대 대표 : "(전체의) 10% 정도밖에 아직도 안 된 거예요. 남은 기간 진화위에서 신청자뿐만이 아니라 미신청자에 대해서도 최대한 조사를 해서..."]

이번 결정으로 일부 희생자와 유족들은 억울한 누명을 벗게 됐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수많은 희생자들의 넋은 73년 전 그 자리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영상편집:오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주·청원 보도연맹 희생자 57명 73년 만에 진실규명
    • 입력 2023-08-21 21:52:21
    • 수정2023-08-21 22:19:35
    뉴스9(청주)
[앵커]

6.25 전쟁 당시 충북 곳곳에서는 민간인 희생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가운데 충북지역 114명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들에 대한 진실 규명이 70여 년 만에 추가로 이뤄졌습니다.

보도에 민수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도연맹 학살 사건으로 1,000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주시 남일면 분터골.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7년부터 2년 동안 이곳에서 300구가 넘는 유해를 찾았습니다.

충주에서도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이 올해부터 시작되는 등 충북 곳곳에서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는 5,000명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가운데 강내면 탑연리와 미원면 일대 등 청주·청원지역 희생자 57명에 대한 진실 규명이 73년 만에 이뤄졌습니다.

1기 진실화해위원회 시절 500여 명에 이어 2기 위원회 출범 이후 옥천과 충주, 청주·청원까지 충북에서만 114명 희생자에 대한 추가 진실 규명이 이뤄졌습니다.

[장풍차/청주 보도연맹 사건 희생자 유족 : "'빨갱이 동네다' 모르는 사람들은 그렇게 소문이 났었어요. 어쨌든 다행스럽게 보는 거지. 거의 한 60년 이상을 빨갱이 오명에 살다가."]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들 희생자들이 1950년 7월 경찰에 의해 집단 살해된 것으로 봤습니다.

또 민간인에 대한 불법살해의 책임은 군인과 경찰을 관리해야 할 국가에 있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공식적인 사과, 추모사업 지원 등을 권고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정을 반기는 한편 지속적인 조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박만순/충북역사문화연대 대표 : "(전체의) 10% 정도밖에 아직도 안 된 거예요. 남은 기간 진화위에서 신청자뿐만이 아니라 미신청자에 대해서도 최대한 조사를 해서..."]

이번 결정으로 일부 희생자와 유족들은 억울한 누명을 벗게 됐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수많은 희생자들의 넋은 73년 전 그 자리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영상편집:오진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