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판 전 방사능 검사는 현장에서…우리는 천차만별?

입력 2023.08.25 (21:17) 수정 2023.08.25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소비자들 얘기했듯이 오염수 방류 뒤 우리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가 궁금한 분들, 많습니다.

제주 나종훈 기자가 당일 잡아 온 수산물을 얼마나 신속하게 검사하고 있는지, 또 일본 후쿠시마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조업을 마친 어선들이 제주항으로 들어온 이른 새벽, 방사능 검사 시료 채취 요원이 갓 잡아 온 생선을 수거합니다.

이 시료는 4km 정도 떨어진 검사 기관으로 옮겨집니다.

시료 채취부터 방사능 검사, 결과 통보까지 걸린 시간은 1시간 20분 남짓.

하지만 이런 신속한 검사가 제주 전역에서 가능한 건 아닙니다.

제주지역 방사능 검사 기관은 제주해양수산연구원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2곳뿐.

모두 제주시에 있습니다.

제주 남부의 서귀포수협은 매일 새벽 53km 거리를, 서부와 동부 지역 수협은 최대 30km 거리를 가야 합니다.

어선들은 방사능 검사를 위해 그만큼 항구 복귀를 서둘러야 합니다.

[한종관/서귀포수협 상무이사 : "(검사가 오래 걸리면) 경매 시간이 늦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수산물 신선도 (하락)에 따른 가격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것입니다."]

일본 후쿠시마현은 어떻게 할까?

원전 사고 뒤인 2013년부터 방사능 검사를 시작해 지금은 조합 위판장 안에 검사 장비를 갖췄습니다.

우리나라처럼 검사 기관까지 가지 않아 그만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흔미/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장 : "(검사 장비를) 한 대 추가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설치 장소는 현재 여러 장소를 검토 중이고, 최적의 장소를 물색하고 있는 중입니다."]

지자체마다 방사능 검사 확대를 강조하고 있지만, 강원도의 경우 검사결과가 나오기까지 최대 6시간이 걸리는 게 현실.

어획한 수산물을 유통하기에 앞서 모든 방사능 검사를 마치기 위해서는 검사 거점과 장비 확충이 선결돼야 합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서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판 전 방사능 검사는 현장에서…우리는 천차만별?
    • 입력 2023-08-25 21:17:23
    • 수정2023-08-25 22:04:12
    뉴스 9
[앵커]

앞서 소비자들 얘기했듯이 오염수 방류 뒤 우리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가 궁금한 분들, 많습니다.

제주 나종훈 기자가 당일 잡아 온 수산물을 얼마나 신속하게 검사하고 있는지, 또 일본 후쿠시마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조업을 마친 어선들이 제주항으로 들어온 이른 새벽, 방사능 검사 시료 채취 요원이 갓 잡아 온 생선을 수거합니다.

이 시료는 4km 정도 떨어진 검사 기관으로 옮겨집니다.

시료 채취부터 방사능 검사, 결과 통보까지 걸린 시간은 1시간 20분 남짓.

하지만 이런 신속한 검사가 제주 전역에서 가능한 건 아닙니다.

제주지역 방사능 검사 기관은 제주해양수산연구원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2곳뿐.

모두 제주시에 있습니다.

제주 남부의 서귀포수협은 매일 새벽 53km 거리를, 서부와 동부 지역 수협은 최대 30km 거리를 가야 합니다.

어선들은 방사능 검사를 위해 그만큼 항구 복귀를 서둘러야 합니다.

[한종관/서귀포수협 상무이사 : "(검사가 오래 걸리면) 경매 시간이 늦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수산물 신선도 (하락)에 따른 가격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것입니다."]

일본 후쿠시마현은 어떻게 할까?

원전 사고 뒤인 2013년부터 방사능 검사를 시작해 지금은 조합 위판장 안에 검사 장비를 갖췄습니다.

우리나라처럼 검사 기관까지 가지 않아 그만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흔미/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장 : "(검사 장비를) 한 대 추가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설치 장소는 현재 여러 장소를 검토 중이고, 최적의 장소를 물색하고 있는 중입니다."]

지자체마다 방사능 검사 확대를 강조하고 있지만, 강원도의 경우 검사결과가 나오기까지 최대 6시간이 걸리는 게 현실.

어획한 수산물을 유통하기에 앞서 모든 방사능 검사를 마치기 위해서는 검사 거점과 장비 확충이 선결돼야 합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서경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