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늘어도 정책 부족…‘비친족 가구’도 증가

입력 2023.08.28 (07:40) 수정 2023.08.28 (1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에서 혼자 사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족이 아닌 사람들과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도 8년 사이 2배 이상 늘었지만, 이들을 위한 지원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에서 5년째 혼자 살고 있는 한 청년.

당장 결혼 생각이 없는 데다, 일 때문에 독립해서 집을 구해야 했습니다.

서로 의지하려 친구와도 살아봤지만, 정작 큰 도움을 주지 못했습니다.

[이정규/부산 부산진구 : "(친구가) 큰 수술을 해야 되는데 제가 동의를 못하니까, 같이 지내면서도 그쪽 부모님이나 지인들 연락처는 제가 아예 몰랐거든요."]

이처럼 부산에서 혼자 사는 가구는 48만여 명으로, 부산시 전체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가 15만 8천여 명, 70대 이상 노년층도 11만여 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1인 가구에 대한 정책 지원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부산시의 경우 공동체 형성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지원 인원이 2천 명에 그칩니다.

주거 지원도 정부 주도로 원룸형 주택을 제공하는 게 전부고, 매입형 임대주택은 공급량도 적습니다.

서울에서 1인 가구 주택 정비 사업 등을 벌이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김일범/복지법인 우리마을 사무국장 : "정착해서 본인들의 생계와 주거를 함께 할 수 있는 방향의 정책들이 좀 만들어져야 되는데, 단순히 주거만 제공했다고 해서 1인 가구를 지원했다 이거는 조금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누군가와 같이 살아도 가족이 아니면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친족이 아닌 사람과 사는 이른바 '비친족 가구'.

부산의 경우 관련 통계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2배 이상 늘어나 2021년 기준 2만 5천 가구를 웃돕니다.

공공임대주택과 같은 지원 정책도 받을 수 없는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학과 교수 : "어떠한(가족)형태든지 느슨한 연대든 혹은 책임감이 덜할 수 있는 가족 구성 형태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한 지원도 좀 필요하고…."]

다양한 형태의 구성원을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생활동반자법'이 지난 4월 발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상황.

다양한 가족 형태를 고려한 보다 발 빠른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인 가구 늘어도 정책 부족…‘비친족 가구’도 증가
    • 입력 2023-08-28 07:40:53
    • 수정2023-08-28 12:13:58
    뉴스광장(부산)
[앵커]

부산에서 혼자 사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족이 아닌 사람들과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도 8년 사이 2배 이상 늘었지만, 이들을 위한 지원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김아르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부산에서 5년째 혼자 살고 있는 한 청년.

당장 결혼 생각이 없는 데다, 일 때문에 독립해서 집을 구해야 했습니다.

서로 의지하려 친구와도 살아봤지만, 정작 큰 도움을 주지 못했습니다.

[이정규/부산 부산진구 : "(친구가) 큰 수술을 해야 되는데 제가 동의를 못하니까, 같이 지내면서도 그쪽 부모님이나 지인들 연락처는 제가 아예 몰랐거든요."]

이처럼 부산에서 혼자 사는 가구는 48만여 명으로, 부산시 전체 인구의 35%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가 15만 8천여 명, 70대 이상 노년층도 11만여 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1인 가구에 대한 정책 지원은 여전히 부실합니다.

부산시의 경우 공동체 형성 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지원 인원이 2천 명에 그칩니다.

주거 지원도 정부 주도로 원룸형 주택을 제공하는 게 전부고, 매입형 임대주택은 공급량도 적습니다.

서울에서 1인 가구 주택 정비 사업 등을 벌이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김일범/복지법인 우리마을 사무국장 : "정착해서 본인들의 생계와 주거를 함께 할 수 있는 방향의 정책들이 좀 만들어져야 되는데, 단순히 주거만 제공했다고 해서 1인 가구를 지원했다 이거는 조금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누군가와 같이 살아도 가족이 아니면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친족이 아닌 사람과 사는 이른바 '비친족 가구'.

부산의 경우 관련 통계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2배 이상 늘어나 2021년 기준 2만 5천 가구를 웃돕니다.

공공임대주택과 같은 지원 정책도 받을 수 없는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학과 교수 : "어떠한(가족)형태든지 느슨한 연대든 혹은 책임감이 덜할 수 있는 가족 구성 형태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한 지원도 좀 필요하고…."]

다양한 형태의 구성원을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생활동반자법'이 지난 4월 발의됐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상황.

다양한 가족 형태를 고려한 보다 발 빠른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박서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