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조각 개척자 고명근 개인전 ‘투명한 공간, 사이 거닐기’
입력 2023.08.29 (18:05)
수정 2023.08.29 (1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진과 조각, 건축의 요소들을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도출해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해온 고명근 작가의 개인전 <투명한 공간, 사이 거닐기>가 11월 19일(일)까지 서울시 은평구 사비나미술관에서 열립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고명근 작가의 30여 년 작업 세계를 아우르는 중간 회고전 성격의 개인전으로 사진조각 201점을 선보입니다.
먼저 2층 전시장에는 1980년대 말 작가의 뉴욕 유학 시절 초기 작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건물(Building)> 연작이 배치됐습니다.
뉴욕 브루클린의 불타고 부서진 빈집들을 촬영해 인화한 이미지를 나무 합판의 입방체 구조물에 콜라주 형식으로 붙이고 그 위에 레진을 부어 굳힌 1996년 작품을 비롯한 초기작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00년부터 시도해 현재까지 이어온, 투명성과 가벼움의 개념을 투명 사진 다면체 건축물로 구현한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3층에서는 자연 이미지를 채집해 투명 사진 조각으로 제시한 <자연(Nature)> 연작과 인체 조각상 이미지를 활용한 <몸(Body)> 연작을 소개합니다.
건물, 자연, 몸 연작은 건축, 자연, 인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 관계성과 상호 작용성으로 연결된 총체적 공간개념을 제시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4층 전시장에선 작가가 최근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삼부작(Trilogy)> 연작을 선보입니다.
세 장소에서 포착한, 세 부분으로 나뉜 다양한 사진 이미지가 자유롭게 뒤섞여 하나로 연결되며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명근 작가는 “투명 이미지 자체가 구조물이 되는 나의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보는 행위 그 자체를 느끼도록 만든 것이다. 이미지로 채워진 조각이 텅 비어 있는 투명한 용기에 불과하다는 것은 결국 ‘영원히 실체로 남을 수 있는 것은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는 명제와 맞닿아 있다”면서, “‘투명하고 가벼운 작업’을 통해 우리가 지각하고 믿고 있는 세상의 실체가 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비어 있는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고명근 작가의 30여 년 작업 세계를 아우르는 중간 회고전 성격의 개인전으로 사진조각 201점을 선보입니다.
먼저 2층 전시장에는 1980년대 말 작가의 뉴욕 유학 시절 초기 작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건물(Building)> 연작이 배치됐습니다.
뉴욕 브루클린의 불타고 부서진 빈집들을 촬영해 인화한 이미지를 나무 합판의 입방체 구조물에 콜라주 형식으로 붙이고 그 위에 레진을 부어 굳힌 1996년 작품을 비롯한 초기작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00년부터 시도해 현재까지 이어온, 투명성과 가벼움의 개념을 투명 사진 다면체 건축물로 구현한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3층에서는 자연 이미지를 채집해 투명 사진 조각으로 제시한 <자연(Nature)> 연작과 인체 조각상 이미지를 활용한 <몸(Body)> 연작을 소개합니다.
건물, 자연, 몸 연작은 건축, 자연, 인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 관계성과 상호 작용성으로 연결된 총체적 공간개념을 제시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4층 전시장에선 작가가 최근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삼부작(Trilogy)> 연작을 선보입니다.
세 장소에서 포착한, 세 부분으로 나뉜 다양한 사진 이미지가 자유롭게 뒤섞여 하나로 연결되며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명근 작가는 “투명 이미지 자체가 구조물이 되는 나의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보는 행위 그 자체를 느끼도록 만든 것이다. 이미지로 채워진 조각이 텅 비어 있는 투명한 용기에 불과하다는 것은 결국 ‘영원히 실체로 남을 수 있는 것은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는 명제와 맞닿아 있다”면서, “‘투명하고 가벼운 작업’을 통해 우리가 지각하고 믿고 있는 세상의 실체가 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비어 있는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진조각 개척자 고명근 개인전 ‘투명한 공간, 사이 거닐기’
-
- 입력 2023-08-29 18:05:11
- 수정2023-08-29 18:05:29

사진과 조각, 건축의 요소들을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도출해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해온 고명근 작가의 개인전 <투명한 공간, 사이 거닐기>가 11월 19일(일)까지 서울시 은평구 사비나미술관에서 열립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고명근 작가의 30여 년 작업 세계를 아우르는 중간 회고전 성격의 개인전으로 사진조각 201점을 선보입니다.
먼저 2층 전시장에는 1980년대 말 작가의 뉴욕 유학 시절 초기 작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건물(Building)> 연작이 배치됐습니다.
뉴욕 브루클린의 불타고 부서진 빈집들을 촬영해 인화한 이미지를 나무 합판의 입방체 구조물에 콜라주 형식으로 붙이고 그 위에 레진을 부어 굳힌 1996년 작품을 비롯한 초기작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00년부터 시도해 현재까지 이어온, 투명성과 가벼움의 개념을 투명 사진 다면체 건축물로 구현한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3층에서는 자연 이미지를 채집해 투명 사진 조각으로 제시한 <자연(Nature)> 연작과 인체 조각상 이미지를 활용한 <몸(Body)> 연작을 소개합니다.
건물, 자연, 몸 연작은 건축, 자연, 인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 관계성과 상호 작용성으로 연결된 총체적 공간개념을 제시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4층 전시장에선 작가가 최근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삼부작(Trilogy)> 연작을 선보입니다.
세 장소에서 포착한, 세 부분으로 나뉜 다양한 사진 이미지가 자유롭게 뒤섞여 하나로 연결되며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명근 작가는 “투명 이미지 자체가 구조물이 되는 나의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보는 행위 그 자체를 느끼도록 만든 것이다. 이미지로 채워진 조각이 텅 비어 있는 투명한 용기에 불과하다는 것은 결국 ‘영원히 실체로 남을 수 있는 것은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는 명제와 맞닿아 있다”면서, “‘투명하고 가벼운 작업’을 통해 우리가 지각하고 믿고 있는 세상의 실체가 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비어 있는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고명근 작가의 30여 년 작업 세계를 아우르는 중간 회고전 성격의 개인전으로 사진조각 201점을 선보입니다.
먼저 2층 전시장에는 1980년대 말 작가의 뉴욕 유학 시절 초기 작품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건물(Building)> 연작이 배치됐습니다.
뉴욕 브루클린의 불타고 부서진 빈집들을 촬영해 인화한 이미지를 나무 합판의 입방체 구조물에 콜라주 형식으로 붙이고 그 위에 레진을 부어 굳힌 1996년 작품을 비롯한 초기작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2000년부터 시도해 현재까지 이어온, 투명성과 가벼움의 개념을 투명 사진 다면체 건축물로 구현한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3층에서는 자연 이미지를 채집해 투명 사진 조각으로 제시한 <자연(Nature)> 연작과 인체 조각상 이미지를 활용한 <몸(Body)> 연작을 소개합니다.
건물, 자연, 몸 연작은 건축, 자연, 인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상호 관계성과 상호 작용성으로 연결된 총체적 공간개념을 제시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4층 전시장에선 작가가 최근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삼부작(Trilogy)> 연작을 선보입니다.
세 장소에서 포착한, 세 부분으로 나뉜 다양한 사진 이미지가 자유롭게 뒤섞여 하나로 연결되며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고명근 작가는 “투명 이미지 자체가 구조물이 되는 나의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보는 행위 그 자체를 느끼도록 만든 것이다. 이미지로 채워진 조각이 텅 비어 있는 투명한 용기에 불과하다는 것은 결국 ‘영원히 실체로 남을 수 있는 것은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는 명제와 맞닿아 있다”면서, “‘투명하고 가벼운 작업’을 통해 우리가 지각하고 믿고 있는 세상의 실체가 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비어 있는 대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