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측정기 사고 안심표지 붙이고…상인들 자구책 고심

입력 2023.09.05 (19:32) 수정 2023.09.05 (1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죠.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상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나주에서 초밥집을 운영하는 심은일 씨.

장사에 쓸 활어가 도착하자 소형 장비를 꺼내듭니다.

휴대용 방사능 측정깁니다.

식재료를 납품받을 때는 물론 음식을 내갈때마다 작동시켜 손님들을 안심시키고 있습니다.

[심은일/초밥집 운영 : "저희 가게는 일본산 수산물을 사용하지 않거든요. 하지만 요즘 이슈 때문에 손님들 중 일부가 불안해하시더라고요. 그래서 불안감을 좀 잠재우고자 (방사능 측정기를 구매했습니다.)"]

호남지역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인 광주 양동시장.

["(진짜 먹어도 되는 거예요? 어때요?) 걱정마세요. 저희는 다 국내산이고..."]

손님과 상인의 대화에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묻어납니다.

점포마다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고 일본산 수산물은 취급하지 않는다는 표지판을 내놓았습니다.

자신의 이름도 적었습니다.

[한상희/수산물 판매상 : "상호하고 판매자 성명을 내걸고 장사를 하면 소비자들이 더 믿음을 갖고 시장에 나오셔서 수산물을 구매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이 참치회·초밥 전문점은 점심 장사를 시작하며 카레와 돈까스를 새 메뉴로 내놓았습니다.

최근 매출이 평소의 절반도 되지 않을 정도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노현주/참치회·초밥 전문점 운영 : "월세라든지 인건비라든지 부담을 해야 하는데 도저히 저녁만 믿고 있을 수 없어서, 점심 메뉴를 개발해서 상관 없는 것이라도 판매해볼까 싶어서..."]

수산물 취급 상인들은 공공기관 회식 캠페인과 상품권 환급 등 수산물 소비 촉진 행사는 물론 실효성 있는 정부 지원책이 나와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영상편집:이두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능 측정기 사고 안심표지 붙이고…상인들 자구책 고심
    • 입력 2023-09-05 19:32:59
    • 수정2023-09-05 19:55:47
    뉴스 7
[앵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죠.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상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나주에서 초밥집을 운영하는 심은일 씨.

장사에 쓸 활어가 도착하자 소형 장비를 꺼내듭니다.

휴대용 방사능 측정깁니다.

식재료를 납품받을 때는 물론 음식을 내갈때마다 작동시켜 손님들을 안심시키고 있습니다.

[심은일/초밥집 운영 : "저희 가게는 일본산 수산물을 사용하지 않거든요. 하지만 요즘 이슈 때문에 손님들 중 일부가 불안해하시더라고요. 그래서 불안감을 좀 잠재우고자 (방사능 측정기를 구매했습니다.)"]

호남지역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인 광주 양동시장.

["(진짜 먹어도 되는 거예요? 어때요?) 걱정마세요. 저희는 다 국내산이고..."]

손님과 상인의 대화에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묻어납니다.

점포마다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고 일본산 수산물은 취급하지 않는다는 표지판을 내놓았습니다.

자신의 이름도 적었습니다.

[한상희/수산물 판매상 : "상호하고 판매자 성명을 내걸고 장사를 하면 소비자들이 더 믿음을 갖고 시장에 나오셔서 수산물을 구매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이 참치회·초밥 전문점은 점심 장사를 시작하며 카레와 돈까스를 새 메뉴로 내놓았습니다.

최근 매출이 평소의 절반도 되지 않을 정도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노현주/참치회·초밥 전문점 운영 : "월세라든지 인건비라든지 부담을 해야 하는데 도저히 저녁만 믿고 있을 수 없어서, 점심 메뉴를 개발해서 상관 없는 것이라도 판매해볼까 싶어서..."]

수산물 취급 상인들은 공공기관 회식 캠페인과 상품권 환급 등 수산물 소비 촉진 행사는 물론 실효성 있는 정부 지원책이 나와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영상편집:이두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