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미국 네바다주, 사막에 쏟아진 폭우에 잠에서 깬 ‘고대 새우’

입력 2023.09.08 (12:27) 수정 2023.09.11 (0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열린 축제가 폭우로 인해 중단되는 일이 있었죠.

그런데 이 축제 현장에서 살아있는 화석 생물이 발견돼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갓 태어난 듯 손가락 마디만한 크기부터 어른 손바닥만 한 크기까지 다양한 생명체의 정체는 '긴꼬리투구새우'와 '요정새우'였습니다.

새우들은 수억 년 전인 고생대 석탄기 화석에서 발견되기도 했고, 외형 역시 약 7천만 년 전부터 거의 변하지 않아 살아있는 화석 생물로 여겨지고 있는데요.

특히 모래알처럼 매우 작고 단단한 알 상태로 극심한 가뭄이나 겨울을 수년간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사막에서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질 때까지 휴면 상태로 있었던 건데,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에 2~3개월간 내리는 양의 비가 한 번에 내리면서 새우들이 부화한 것으로 보인다네요.

영상·사진 출처:X (gxdia, SONICAIDS, MYeldham)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미국 네바다주, 사막에 쏟아진 폭우에 잠에서 깬 ‘고대 새우’
    • 입력 2023-09-08 12:27:36
    • 수정2023-09-11 09:27:37
    뉴스 12
최근 미국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열린 축제가 폭우로 인해 중단되는 일이 있었죠.

그런데 이 축제 현장에서 살아있는 화석 생물이 발견돼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갓 태어난 듯 손가락 마디만한 크기부터 어른 손바닥만 한 크기까지 다양한 생명체의 정체는 '긴꼬리투구새우'와 '요정새우'였습니다.

새우들은 수억 년 전인 고생대 석탄기 화석에서 발견되기도 했고, 외형 역시 약 7천만 년 전부터 거의 변하지 않아 살아있는 화석 생물로 여겨지고 있는데요.

특히 모래알처럼 매우 작고 단단한 알 상태로 극심한 가뭄이나 겨울을 수년간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사막에서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질 때까지 휴면 상태로 있었던 건데,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에 2~3개월간 내리는 양의 비가 한 번에 내리면서 새우들이 부화한 것으로 보인다네요.

영상·사진 출처:X (gxdia, SONICAIDS, MYeldham)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