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사회환원 인색한 외국계 기업

입력 2023.09.11 (07:41) 수정 2023.09.11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에서 영업 중인 주요 외국계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기부금 지출 액수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돈을 많이 버는 상황인데도, 사회공헌 활동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주요 외국기업 100곳의 지난해 영업 이익은 10조 5천억 원입니다.

전년보다 60% 급증한 수치입니다.

그런데 같은 기간 외국계 기업의 기부금은 오히려 22% 정도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도 2021년 1%에서 2022년 0.5%로 축소됐습니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시기 한국 기업의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과 비교해도 1/3 수준에 그칩니다.

기부금 액수가 1억 원에 미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은 41곳에 이르고, 사업보고서에 기부금 내역을 밝히지 않은 곳도 25곳에 이릅니다.

이들 미공개 기업 가운데는 애플과 루이비통, 한국시티은행 같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다국적 기업도 포함돼 있습니다.

[오일선/한국CXO연구소장 : "(일부) 외국계 기업 입장에서는 사회공헌을 굳이 열심히 하지 않더라도 장사는 잘 된다고 하는 인식이 있다 보니까 기부 활동이 조금 인색한 부분도 (있습니다)."]

모든 외국계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에 소극적인 건 아닙니다.

1년에 10억 원 넘게 기부한 외국계 기업도 14곳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한상화/라이나생명 브랜드앤커뮤니케이션부장 : "외국계 기업이지만 저희가 더 지역사회와 가까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 매년 100억 원 이상 금액을 기부하고 있습니다."]

이런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외국계 기업이 벌어들인 돈은 주로 주주에게 흘러갑니다.

지난해 100억 원 이상 배당금을 지급한 외국계 기업 33곳의 평균 배당성향은 99.4%에 달해 국내 기업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주주 이익 극대화에 무게를 두고 있는 외국계 기업들이 지역 사회에 대한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대적으로 사회환원 인색한 외국계 기업
    • 입력 2023-09-11 07:41:39
    • 수정2023-09-11 08:05:23
    뉴스광장
[앵커]

국내에서 영업 중인 주요 외국계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기부금 지출 액수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돈을 많이 버는 상황인데도, 사회공헌 활동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용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주요 외국기업 100곳의 지난해 영업 이익은 10조 5천억 원입니다.

전년보다 60% 급증한 수치입니다.

그런데 같은 기간 외국계 기업의 기부금은 오히려 22% 정도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도 2021년 1%에서 2022년 0.5%로 축소됐습니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시기 한국 기업의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과 비교해도 1/3 수준에 그칩니다.

기부금 액수가 1억 원에 미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은 41곳에 이르고, 사업보고서에 기부금 내역을 밝히지 않은 곳도 25곳에 이릅니다.

이들 미공개 기업 가운데는 애플과 루이비통, 한국시티은행 같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다국적 기업도 포함돼 있습니다.

[오일선/한국CXO연구소장 : "(일부) 외국계 기업 입장에서는 사회공헌을 굳이 열심히 하지 않더라도 장사는 잘 된다고 하는 인식이 있다 보니까 기부 활동이 조금 인색한 부분도 (있습니다)."]

모든 외국계 기업이 사회공헌 활동에 소극적인 건 아닙니다.

1년에 10억 원 넘게 기부한 외국계 기업도 14곳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한상화/라이나생명 브랜드앤커뮤니케이션부장 : "외국계 기업이지만 저희가 더 지역사회와 가까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 매년 100억 원 이상 금액을 기부하고 있습니다."]

이런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외국계 기업이 벌어들인 돈은 주로 주주에게 흘러갑니다.

지난해 100억 원 이상 배당금을 지급한 외국계 기업 33곳의 평균 배당성향은 99.4%에 달해 국내 기업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주주 이익 극대화에 무게를 두고 있는 외국계 기업들이 지역 사회에 대한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