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CEO들 美의회서 AI 규제 논의…머스크 “전담부서 있어야”

입력 2023.09.14 (07:41) 수정 2023.09.14 (07: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최고경영자(CEO)들이 현지 시각 13일 이례적으로 미 의회 회의 석상에 모였습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가 인공지능(AI) 규제를 논의하기 위해 의회에서 비공개로 개최한 AI 인사이트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미국에서 AI 산업을 주도하는 핵심 인물들이 자리를 함께했습니다.

또 격투기 대결을 벌일지를 두고 신경전을 이어온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도 참석했고,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MS 공동창업자와 사티아 나델라 CEO 등도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머스크는 이날 회의에서 AI를 “양날의 칼”이라고 부르며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문명에 대한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 참석자를 인용해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걱정할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인공지능’(deeper AI)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우려를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AI가 컴퓨터가 인간의 뇌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가르치는 딥 러닝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머스크는 이날 오전 회의를 마치고 의회를 나오면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AI 규제를 위한 연방 정부 차원의 ”AI 담당 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AI가 잘못될 경우 결과는 심각하기 때문에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대응을 해야 한다“며 연방 AI 담당 부서가 연방항공청(FAA)이나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유사하게 운영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빅테크 CEO들 美의회서 AI 규제 논의…머스크 “전담부서 있어야”
    • 입력 2023-09-14 07:41:50
    • 수정2023-09-14 07:46:25
    국제
미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최고경영자(CEO)들이 현지 시각 13일 이례적으로 미 의회 회의 석상에 모였습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가 인공지능(AI) 규제를 논의하기 위해 의회에서 비공개로 개최한 AI 인사이트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미국에서 AI 산업을 주도하는 핵심 인물들이 자리를 함께했습니다.

또 격투기 대결을 벌일지를 두고 신경전을 이어온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도 참석했고,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MS 공동창업자와 사티아 나델라 CEO 등도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머스크는 이날 회의에서 AI를 “양날의 칼”이라고 부르며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문명에 대한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 참석자를 인용해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어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걱정할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인공지능’(deeper AI)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우려를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AI가 컴퓨터가 인간의 뇌를 모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가르치는 딥 러닝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머스크는 이날 오전 회의를 마치고 의회를 나오면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AI 규제를 위한 연방 정부 차원의 ”AI 담당 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AI가 잘못될 경우 결과는 심각하기 때문에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 대응을 해야 한다“며 연방 AI 담당 부서가 연방항공청(FAA)이나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유사하게 운영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