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홍콩 총영사관들에 “현지고용직원 정보 제공하라” 첫 요구
입력 2023.09.19 (18:33)
수정 2023.09.19 (18: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콩의 중국화’가 빠르게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현지 고용 직원의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는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홍콩에 있는 모든 외국 영사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홍콩 명보와 홍콩프리프레스는 중국 외교부의 홍콩 사무소인 주홍콩 특파원공서가 홍콩 주재 모든 외국 총영사관에 다음 달 18일까지 현지 고용 직원들의 직함과 거주지, 국적과 신분증 번호, 여권과 비자 정보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두 매체는 홍콩 정부가 특파원공서 요청으로 각국 총영사관에 보낸 서한을 입수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해당 서한이 유럽연합 EU 대표 사무소를 포함해 홍콩 주재 모든 총영사관에 발송됐으나, 중국 측은 해당 정보 요구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주홍콩 한국총영사관도 해당 서한을 받았으며, 현재 내용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홍콩과 관련한 외교 업무는 중국이 담당하지만, 표면상 일국양제를 유지하고 있는 홍콩에서 중국 당국이 각국 영사관에 이같은 정보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콩에는 63곳의 총영사관과 53곳의 명예영사관이 있습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에는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홍콩 내에서 사용 중인 모든 부동산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는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홍콩에 있는 모든 외국 영사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홍콩 명보와 홍콩프리프레스는 중국 외교부의 홍콩 사무소인 주홍콩 특파원공서가 홍콩 주재 모든 외국 총영사관에 다음 달 18일까지 현지 고용 직원들의 직함과 거주지, 국적과 신분증 번호, 여권과 비자 정보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두 매체는 홍콩 정부가 특파원공서 요청으로 각국 총영사관에 보낸 서한을 입수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해당 서한이 유럽연합 EU 대표 사무소를 포함해 홍콩 주재 모든 총영사관에 발송됐으나, 중국 측은 해당 정보 요구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주홍콩 한국총영사관도 해당 서한을 받았으며, 현재 내용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홍콩과 관련한 외교 업무는 중국이 담당하지만, 표면상 일국양제를 유지하고 있는 홍콩에서 중국 당국이 각국 영사관에 이같은 정보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콩에는 63곳의 총영사관과 53곳의 명예영사관이 있습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에는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홍콩 내에서 사용 중인 모든 부동산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주홍콩 총영사관들에 “현지고용직원 정보 제공하라” 첫 요구
-
- 입력 2023-09-19 18:33:30
- 수정2023-09-19 18:33:46

‘홍콩의 중국화’가 빠르게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현지 고용 직원의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는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홍콩에 있는 모든 외국 영사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홍콩 명보와 홍콩프리프레스는 중국 외교부의 홍콩 사무소인 주홍콩 특파원공서가 홍콩 주재 모든 외국 총영사관에 다음 달 18일까지 현지 고용 직원들의 직함과 거주지, 국적과 신분증 번호, 여권과 비자 정보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두 매체는 홍콩 정부가 특파원공서 요청으로 각국 총영사관에 보낸 서한을 입수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해당 서한이 유럽연합 EU 대표 사무소를 포함해 홍콩 주재 모든 총영사관에 발송됐으나, 중국 측은 해당 정보 요구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주홍콩 한국총영사관도 해당 서한을 받았으며, 현재 내용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홍콩과 관련한 외교 업무는 중국이 담당하지만, 표면상 일국양제를 유지하고 있는 홍콩에서 중국 당국이 각국 영사관에 이같은 정보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콩에는 63곳의 총영사관과 53곳의 명예영사관이 있습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에는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홍콩 내에서 사용 중인 모든 부동산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는 중국 본토와 마찬가지로 홍콩에 있는 모든 외국 영사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홍콩 명보와 홍콩프리프레스는 중국 외교부의 홍콩 사무소인 주홍콩 특파원공서가 홍콩 주재 모든 외국 총영사관에 다음 달 18일까지 현지 고용 직원들의 직함과 거주지, 국적과 신분증 번호, 여권과 비자 정보 등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두 매체는 홍콩 정부가 특파원공서 요청으로 각국 총영사관에 보낸 서한을 입수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해당 서한이 유럽연합 EU 대표 사무소를 포함해 홍콩 주재 모든 총영사관에 발송됐으나, 중국 측은 해당 정보 요구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주홍콩 한국총영사관도 해당 서한을 받았으며, 현재 내용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홍콩과 관련한 외교 업무는 중국이 담당하지만, 표면상 일국양제를 유지하고 있는 홍콩에서 중국 당국이 각국 영사관에 이같은 정보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콩에는 63곳의 총영사관과 53곳의 명예영사관이 있습니다.
중국은 앞서 지난해에는 홍콩 주재 각국 총영사관에 홍콩 내에서 사용 중인 모든 부동산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