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제주의 역사와 문화 연구 ‘제주학’
입력 2023.09.19 (19:35)
수정 2023.09.19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내일부터 제주학 주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그동안 기록해 온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됐는데요.
그간의 연구 내용과 제주학의 의미를 통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내용을 짚어봅니다.
제주연구원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님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담에 앞서 ‘제주학’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앵커]
올해로 네 번째 ‘제주학 주간’이 진행됩니다.
그런데 올해는 다른 해보다 행사 진행 기간이 길어 보이는데요.
어떤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나요?
[앵커]
첫 행사인 ‘전국학술대회’가 내일 제주문학관에서 개최될 예정이죠.
올해 학술대회 주제가 ‘제주의 기억과 기록, 그리고 아카이브’입니다.
지난해 ‘현실과 협력’에 초점을 두셨는데, 올해 ‘기록’에 집중하게 된 이유가 있습니까?
[앵커]
주제발표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을 꼽아주신다면요?
[앵커]
주제발표 이후 제주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센터장님께서 생각하시는 제주학 연구 성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올해 제주학 주간 행사 중 제주학연구센터의 성과를 따라가는 ‘역사탐방’도 눈길이 가는데요.
어떤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앵커]
입도조 비석에 남아있는 비문을 통해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 탐방지에서 볼 수 있는 비문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앵커]
끝으로 제주학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네, 앞으로도 제주학 연구에 힘써 주시고요.
내일부터 진행되는 행사를 통해 도민들에게도 '제주학'을 기록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잘 전달될 수 있길 바랍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내일부터 제주학 주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그동안 기록해 온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됐는데요.
그간의 연구 내용과 제주학의 의미를 통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내용을 짚어봅니다.
제주연구원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님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담에 앞서 ‘제주학’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앵커]
올해로 네 번째 ‘제주학 주간’이 진행됩니다.
그런데 올해는 다른 해보다 행사 진행 기간이 길어 보이는데요.
어떤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나요?
[앵커]
첫 행사인 ‘전국학술대회’가 내일 제주문학관에서 개최될 예정이죠.
올해 학술대회 주제가 ‘제주의 기억과 기록, 그리고 아카이브’입니다.
지난해 ‘현실과 협력’에 초점을 두셨는데, 올해 ‘기록’에 집중하게 된 이유가 있습니까?
[앵커]
주제발표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을 꼽아주신다면요?
[앵커]
주제발표 이후 제주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센터장님께서 생각하시는 제주학 연구 성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올해 제주학 주간 행사 중 제주학연구센터의 성과를 따라가는 ‘역사탐방’도 눈길이 가는데요.
어떤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앵커]
입도조 비석에 남아있는 비문을 통해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 탐방지에서 볼 수 있는 비문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앵커]
끝으로 제주학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네, 앞으로도 제주학 연구에 힘써 주시고요.
내일부터 진행되는 행사를 통해 도민들에게도 '제주학'을 기록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잘 전달될 수 있길 바랍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 제주의 역사와 문화 연구 ‘제주학’
-
- 입력 2023-09-19 19:35:48
- 수정2023-09-19 20:10:05

[앵커]
내일부터 제주학 주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그동안 기록해 온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됐는데요.
그간의 연구 내용과 제주학의 의미를 통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내용을 짚어봅니다.
제주연구원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님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담에 앞서 ‘제주학’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앵커]
올해로 네 번째 ‘제주학 주간’이 진행됩니다.
그런데 올해는 다른 해보다 행사 진행 기간이 길어 보이는데요.
어떤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나요?
[앵커]
첫 행사인 ‘전국학술대회’가 내일 제주문학관에서 개최될 예정이죠.
올해 학술대회 주제가 ‘제주의 기억과 기록, 그리고 아카이브’입니다.
지난해 ‘현실과 협력’에 초점을 두셨는데, 올해 ‘기록’에 집중하게 된 이유가 있습니까?
[앵커]
주제발표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을 꼽아주신다면요?
[앵커]
주제발표 이후 제주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센터장님께서 생각하시는 제주학 연구 성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올해 제주학 주간 행사 중 제주학연구센터의 성과를 따라가는 ‘역사탐방’도 눈길이 가는데요.
어떤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앵커]
입도조 비석에 남아있는 비문을 통해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 탐방지에서 볼 수 있는 비문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앵커]
끝으로 제주학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네, 앞으로도 제주학 연구에 힘써 주시고요.
내일부터 진행되는 행사를 통해 도민들에게도 '제주학'을 기록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잘 전달될 수 있길 바랍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내일부터 제주학 주간을 기념해 다양한 행사가 진행됩니다.
그동안 기록해 온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도 마련됐는데요.
그간의 연구 내용과 제주학의 의미를 통해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내용을 짚어봅니다.
제주연구원 김순자 제주학연구센터장님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담에 앞서 ‘제주학’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앵커]
올해로 네 번째 ‘제주학 주간’이 진행됩니다.
그런데 올해는 다른 해보다 행사 진행 기간이 길어 보이는데요.
어떤 프로그램들이 준비돼 있나요?
[앵커]
첫 행사인 ‘전국학술대회’가 내일 제주문학관에서 개최될 예정이죠.
올해 학술대회 주제가 ‘제주의 기억과 기록, 그리고 아카이브’입니다.
지난해 ‘현실과 협력’에 초점을 두셨는데, 올해 ‘기록’에 집중하게 된 이유가 있습니까?
[앵커]
주제발표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을 꼽아주신다면요?
[앵커]
주제발표 이후 제주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센터장님께서 생각하시는 제주학 연구 성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앵커]
올해 제주학 주간 행사 중 제주학연구센터의 성과를 따라가는 ‘역사탐방’도 눈길이 가는데요.
어떤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앵커]
입도조 비석에 남아있는 비문을 통해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데, 탐방지에서 볼 수 있는 비문 가운데 주목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앵커]
끝으로 제주학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앵커]
네, 앞으로도 제주학 연구에 힘써 주시고요.
내일부터 진행되는 행사를 통해 도민들에게도 '제주학'을 기록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잘 전달될 수 있길 바랍니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