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 막막’ 노동자…명절 앞두고 농성장으로, 거리로
입력 2023.09.22 (10:03)
수정 2023.09.22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밀린 임금을 돌려달라거나, 정당한 교섭을 주장하며 일터 대신 거리로 나선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법마저 비웃는 고용주들의 행태, 언제 개선될까요.
생계 걱정에, 다가오는 명절이 달갑지 않은 노동자들을 안승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장애인의 이동과 안전한 귀가를 돕는 장애인 콜택시.
군산의 콜택시 노동조합원들이 주말에 차를 멈추는 부분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시 보조금을 받아 콜택시를 위탁 운영 중인 사용자 측이 교섭을 사실상 거부해왔기 때문입니다.
[군산시 교통행정과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들이 관여할 사항이 없어요. 사용자와 거기 근무하는 분이 해야 하잖아요. 불법적인 사항이 있으면 이야기하라고…."]
심지어 지방노동위원회가 이를 부당노동행위로 못 박고 성실하게 교섭하라고 판정했지만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습니다.
군산시가 법정 기준보다 15대가량 적게 운영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배차받기가 쉽지 않고, 노동자는 최저 임금을 적용받으려면 특근을 반복해야 합니다.
[최계인/공공운수노조 군산장애인콜택시분회장 : "번번이 위·수탁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고요. 공공성을 요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건 시에서 안정적으로 장애인 이동권을 보호하고…."]
참다 참다 결국 농성 천막을 펼친 택시 노동자들.
밀린 임금을 지급하고 일자리를 돌려달라고 요구합니다.
1심 판결과 이행 권고 결정을 통해 10여 명이 4년 넘게 받지 못한 임금 5억여 원을 지급하라고 법원이 판단한 게 각각 지난 4월과 6월.
임금을 안 준 죄가 인정돼 1심에서 집행유예 2년을 받은 회사 대표는 휴업을 선언하고 택시 30여 대와 회사 자산을 팔아버렸습니다.
[오한경/공공운수노조 정읍택시분회장 : "휴업을 받아주려면 기사가 없다든가, 빚더미에 앉아 운영이 안 되거나 천재지변이나 이런 어려움이 있어야 합니다. 받아준 그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재산을 빼돌리거나 숨기는 것을 막으려 대표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수사 의뢰한 노동자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더 크게 다가오는 생계 걱정에 한숨만 깊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밀린 임금을 돌려달라거나, 정당한 교섭을 주장하며 일터 대신 거리로 나선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법마저 비웃는 고용주들의 행태, 언제 개선될까요.
생계 걱정에, 다가오는 명절이 달갑지 않은 노동자들을 안승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장애인의 이동과 안전한 귀가를 돕는 장애인 콜택시.
군산의 콜택시 노동조합원들이 주말에 차를 멈추는 부분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시 보조금을 받아 콜택시를 위탁 운영 중인 사용자 측이 교섭을 사실상 거부해왔기 때문입니다.
[군산시 교통행정과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들이 관여할 사항이 없어요. 사용자와 거기 근무하는 분이 해야 하잖아요. 불법적인 사항이 있으면 이야기하라고…."]
심지어 지방노동위원회가 이를 부당노동행위로 못 박고 성실하게 교섭하라고 판정했지만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습니다.
군산시가 법정 기준보다 15대가량 적게 운영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배차받기가 쉽지 않고, 노동자는 최저 임금을 적용받으려면 특근을 반복해야 합니다.
[최계인/공공운수노조 군산장애인콜택시분회장 : "번번이 위·수탁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고요. 공공성을 요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건 시에서 안정적으로 장애인 이동권을 보호하고…."]
참다 참다 결국 농성 천막을 펼친 택시 노동자들.
밀린 임금을 지급하고 일자리를 돌려달라고 요구합니다.
1심 판결과 이행 권고 결정을 통해 10여 명이 4년 넘게 받지 못한 임금 5억여 원을 지급하라고 법원이 판단한 게 각각 지난 4월과 6월.
임금을 안 준 죄가 인정돼 1심에서 집행유예 2년을 받은 회사 대표는 휴업을 선언하고 택시 30여 대와 회사 자산을 팔아버렸습니다.
[오한경/공공운수노조 정읍택시분회장 : "휴업을 받아주려면 기사가 없다든가, 빚더미에 앉아 운영이 안 되거나 천재지변이나 이런 어려움이 있어야 합니다. 받아준 그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재산을 빼돌리거나 숨기는 것을 막으려 대표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수사 의뢰한 노동자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더 크게 다가오는 생계 걱정에 한숨만 깊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계 막막’ 노동자…명절 앞두고 농성장으로, 거리로
-
- 입력 2023-09-22 10:03:38
- 수정2023-09-22 11:03:10

[앵커]
밀린 임금을 돌려달라거나, 정당한 교섭을 주장하며 일터 대신 거리로 나선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법마저 비웃는 고용주들의 행태, 언제 개선될까요.
생계 걱정에, 다가오는 명절이 달갑지 않은 노동자들을 안승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장애인의 이동과 안전한 귀가를 돕는 장애인 콜택시.
군산의 콜택시 노동조합원들이 주말에 차를 멈추는 부분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시 보조금을 받아 콜택시를 위탁 운영 중인 사용자 측이 교섭을 사실상 거부해왔기 때문입니다.
[군산시 교통행정과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들이 관여할 사항이 없어요. 사용자와 거기 근무하는 분이 해야 하잖아요. 불법적인 사항이 있으면 이야기하라고…."]
심지어 지방노동위원회가 이를 부당노동행위로 못 박고 성실하게 교섭하라고 판정했지만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습니다.
군산시가 법정 기준보다 15대가량 적게 운영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배차받기가 쉽지 않고, 노동자는 최저 임금을 적용받으려면 특근을 반복해야 합니다.
[최계인/공공운수노조 군산장애인콜택시분회장 : "번번이 위·수탁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고요. 공공성을 요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건 시에서 안정적으로 장애인 이동권을 보호하고…."]
참다 참다 결국 농성 천막을 펼친 택시 노동자들.
밀린 임금을 지급하고 일자리를 돌려달라고 요구합니다.
1심 판결과 이행 권고 결정을 통해 10여 명이 4년 넘게 받지 못한 임금 5억여 원을 지급하라고 법원이 판단한 게 각각 지난 4월과 6월.
임금을 안 준 죄가 인정돼 1심에서 집행유예 2년을 받은 회사 대표는 휴업을 선언하고 택시 30여 대와 회사 자산을 팔아버렸습니다.
[오한경/공공운수노조 정읍택시분회장 : "휴업을 받아주려면 기사가 없다든가, 빚더미에 앉아 운영이 안 되거나 천재지변이나 이런 어려움이 있어야 합니다. 받아준 그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재산을 빼돌리거나 숨기는 것을 막으려 대표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수사 의뢰한 노동자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더 크게 다가오는 생계 걱정에 한숨만 깊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밀린 임금을 돌려달라거나, 정당한 교섭을 주장하며 일터 대신 거리로 나선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법마저 비웃는 고용주들의 행태, 언제 개선될까요.
생계 걱정에, 다가오는 명절이 달갑지 않은 노동자들을 안승길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장애인의 이동과 안전한 귀가를 돕는 장애인 콜택시.
군산의 콜택시 노동조합원들이 주말에 차를 멈추는 부분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시 보조금을 받아 콜택시를 위탁 운영 중인 사용자 측이 교섭을 사실상 거부해왔기 때문입니다.
[군산시 교통행정과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들이 관여할 사항이 없어요. 사용자와 거기 근무하는 분이 해야 하잖아요. 불법적인 사항이 있으면 이야기하라고…."]
심지어 지방노동위원회가 이를 부당노동행위로 못 박고 성실하게 교섭하라고 판정했지만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습니다.
군산시가 법정 기준보다 15대가량 적게 운영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배차받기가 쉽지 않고, 노동자는 최저 임금을 적용받으려면 특근을 반복해야 합니다.
[최계인/공공운수노조 군산장애인콜택시분회장 : "번번이 위·수탁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고요. 공공성을 요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건 시에서 안정적으로 장애인 이동권을 보호하고…."]
참다 참다 결국 농성 천막을 펼친 택시 노동자들.
밀린 임금을 지급하고 일자리를 돌려달라고 요구합니다.
1심 판결과 이행 권고 결정을 통해 10여 명이 4년 넘게 받지 못한 임금 5억여 원을 지급하라고 법원이 판단한 게 각각 지난 4월과 6월.
임금을 안 준 죄가 인정돼 1심에서 집행유예 2년을 받은 회사 대표는 휴업을 선언하고 택시 30여 대와 회사 자산을 팔아버렸습니다.
[오한경/공공운수노조 정읍택시분회장 : "휴업을 받아주려면 기사가 없다든가, 빚더미에 앉아 운영이 안 되거나 천재지변이나 이런 어려움이 있어야 합니다. 받아준 그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재산을 빼돌리거나 숨기는 것을 막으려 대표를 강제집행면탈 혐의로 수사 의뢰한 노동자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더 크게 다가오는 생계 걱정에 한숨만 깊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정성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