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계 자치세력 “인종청소 피해 본국으로 떠날 것”

입력 2023.09.24 (19:00) 수정 2023.09.24 (19: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영토 분쟁이 재발한 가운데 분쟁지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사는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아르메니아계 자치세력 지도자인 삼벨 샤흐라마니안 측의 다비드 바바얀 고문은 현지시간 24일, 로이터 통신에 “우리 국민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로 살기를 원하지 않고 인종 청소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아르메니아로 떠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은 국제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영토로 인정되지만, 아르메니아계 주민이 대거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사는 12만명에 달하는 아르메니아계 주민은 ‘아르차흐 공화국’이라는 국가를 세우고 아르메니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요구해왔습니다.

양국이 이곳을 둘러싸고 두 차례 전쟁을 벌여 ‘캅카스의 화약고’로 꼽힙니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지난 19일 지뢰 폭발로 자국 민간인이 사망한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고, 나고르노-카라바흐 일대를 공격해 하루 만인 20일 자치세력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습니다.

이후 양측은 휴전 상태로 지역 재통합 협상에 나섰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지역을 통합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바바얀 고문은 주민들이 본국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바얀 고문은 “우리 국민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로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 99.9%가 우리의 역사적인 땅을 떠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는 “언제 이주할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이번 공격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서는 10명의 민간인을 포함해 최소 200명이 사망하고 400명이 다쳤지만, 아르메니아의 유일한 안보 후원자인 러시아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르메니아계 자치세력 “인종청소 피해 본국으로 떠날 것”
    • 입력 2023-09-24 19:00:44
    • 수정2023-09-24 19:02:00
    국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영토 분쟁이 재발한 가운데 분쟁지인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사는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본국으로 돌아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아르메니아계 자치세력 지도자인 삼벨 샤흐라마니안 측의 다비드 바바얀 고문은 현지시간 24일, 로이터 통신에 “우리 국민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로 살기를 원하지 않고 인종 청소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아르메니아로 떠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은 국제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영토로 인정되지만, 아르메니아계 주민이 대거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사는 12만명에 달하는 아르메니아계 주민은 ‘아르차흐 공화국’이라는 국가를 세우고 아르메니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요구해왔습니다.

양국이 이곳을 둘러싸고 두 차례 전쟁을 벌여 ‘캅카스의 화약고’로 꼽힙니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지난 19일 지뢰 폭발로 자국 민간인이 사망한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고, 나고르노-카라바흐 일대를 공격해 하루 만인 20일 자치세력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습니다.

이후 양측은 휴전 상태로 지역 재통합 협상에 나섰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지역을 통합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바바얀 고문은 주민들이 본국으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바얀 고문은 “우리 국민은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로 살기를 원하지 않는다. 99.9%가 우리의 역사적인 땅을 떠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는 “언제 이주할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이번 공격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서는 10명의 민간인을 포함해 최소 200명이 사망하고 400명이 다쳤지만, 아르메니아의 유일한 안보 후원자인 러시아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