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현직 대통령 최초 노조 파업시위 ‘동참’…트럼프도 가세

입력 2023.09.27 (22:05) 수정 2023.09.27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노동자들의 파업 현장을 찾아 지지 연설을 하는 흔치 않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미국 현직 대통령으로선 처음 있은 일인데, 내년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관측입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뭘 원하지? 협약! 언제? 당장!"]

미국 자동차 노조원들의 파업 시위 현장을 찾은 바이든 대통령, 노동자들과 어깨동무를 하고 주먹을 불끈 쥡니다.

열흘 넘게 파업 중인 참가자들은 대통령을 열렬히 반깁니다.

[숀 페인/미 자동차노조 위원장 : "대통령님! 고맙습니다. 파업 대열 동참에 감사드립니다."]

메가폰을 넘겨받은 바이든 대통령은 4년에 걸친 40% 임금인상 등 파업 노조원들 요구를 전폭 지지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여러분, 계속 요구하세요. 임금 대폭 인상을 비롯한 여러 혜택을 요구할 자격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잃은 걸 되찾읍시다."]

백악관은 현직 미국 대통령이 노조 파업 시위에 참여한 건 처음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바이든 스스로 "미국 역사상 가장 노조 친화적 대통령"이라고 여러 차례 규정했는데 이를 실천에 옮겼다는 겁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내년 대선 맞대결이 유력한 트럼프 전 대통령에 크게 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파업 현장 방문은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핵심 지지층인 노동계 결집이 절실한 데다 방문지인 미시간 주는 대표적 경합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현지시각 27일엔 트럼프 전 대통령도 현지 방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치적 배경이 깔린 행보가 자동차 노조원들의 파업을 조속히 해결하는 데 실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황보현평/자료조사:이세영 이은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 현직 대통령 최초 노조 파업시위 ‘동참’…트럼프도 가세
    • 입력 2023-09-27 22:05:37
    • 수정2023-09-27 22:20:01
    뉴스 9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노동자들의 파업 현장을 찾아 지지 연설을 하는 흔치 않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미국 현직 대통령으로선 처음 있은 일인데, 내년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관측입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뭘 원하지? 협약! 언제? 당장!"]

미국 자동차 노조원들의 파업 시위 현장을 찾은 바이든 대통령, 노동자들과 어깨동무를 하고 주먹을 불끈 쥡니다.

열흘 넘게 파업 중인 참가자들은 대통령을 열렬히 반깁니다.

[숀 페인/미 자동차노조 위원장 : "대통령님! 고맙습니다. 파업 대열 동참에 감사드립니다."]

메가폰을 넘겨받은 바이든 대통령은 4년에 걸친 40% 임금인상 등 파업 노조원들 요구를 전폭 지지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여러분, 계속 요구하세요. 임금 대폭 인상을 비롯한 여러 혜택을 요구할 자격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잃은 걸 되찾읍시다."]

백악관은 현직 미국 대통령이 노조 파업 시위에 참여한 건 처음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바이든 스스로 "미국 역사상 가장 노조 친화적 대통령"이라고 여러 차례 규정했는데 이를 실천에 옮겼다는 겁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내년 대선 맞대결이 유력한 트럼프 전 대통령에 크게 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파업 현장 방문은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핵심 지지층인 노동계 결집이 절실한 데다 방문지인 미시간 주는 대표적 경합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현지시각 27일엔 트럼프 전 대통령도 현지 방문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치적 배경이 깔린 행보가 자동차 노조원들의 파업을 조속히 해결하는 데 실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황보현평/자료조사:이세영 이은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