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이용 1억 4천만 건 ‘따릉이’…디지털 취약층 불편은 여전
입력 2023.10.04 (07:42)
수정 2023.10.04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10년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누적 대여 건수가 1억 4천만 건을 넘길 정도로 인기입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대여 방식을 도입한 뒤로는 고령층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는데요.
김성수 기자가 자세한 사연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르신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입니다.
인근에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가 있지만 이용하는 어르신은 거의 없습니다.
[김영국/서울 양천구 : "자전거 원래 잘 타는데, 이거 뭐 돈 주고 타는 건지 (결제 방법을) 모르니까 못 타는 거지…"]
2020년부터 따릉이를 타려면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고 이용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결제는 스마트폰이나 PC로만 가능한데, 내년 도입 예정인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을 구매해도, 지금 같은 QR 코드 방식으로 대여해야 합니다.
[김우현/서울 종로구 : "나이 먹은 사람들은 저 자전거 안 타려고 그래요. (요금을) 현찰로 준다고 하면 많이 타겠지. 그런데 핸드폰을 갖다 대려 해도 할 줄도 모르고…"]
지난해 따릉이 이용자를 연령별로 보면,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20대~40대 비율이 70%가 넘습니다.
60대 이상은 불과 3% 정도에 그쳤습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동권을 넓히기 위해 기존 교통 카드나 현금 등 쓰기 쉬운 결제 수단을 추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 교수 : "나이 드신 분들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에 취약하니까 이미 가지고 있는 카드를 통해서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도 일반 교통 카드로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소를 교체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
다만 따릉이 사업이 지난해에만 90억 원 넘는 적자를 낸 상황에서, 결제 수단 다변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에 대한 재원 마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성일
2010년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누적 대여 건수가 1억 4천만 건을 넘길 정도로 인기입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대여 방식을 도입한 뒤로는 고령층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는데요.
김성수 기자가 자세한 사연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르신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입니다.
인근에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가 있지만 이용하는 어르신은 거의 없습니다.
[김영국/서울 양천구 : "자전거 원래 잘 타는데, 이거 뭐 돈 주고 타는 건지 (결제 방법을) 모르니까 못 타는 거지…"]
2020년부터 따릉이를 타려면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고 이용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결제는 스마트폰이나 PC로만 가능한데, 내년 도입 예정인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을 구매해도, 지금 같은 QR 코드 방식으로 대여해야 합니다.
[김우현/서울 종로구 : "나이 먹은 사람들은 저 자전거 안 타려고 그래요. (요금을) 현찰로 준다고 하면 많이 타겠지. 그런데 핸드폰을 갖다 대려 해도 할 줄도 모르고…"]
지난해 따릉이 이용자를 연령별로 보면,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20대~40대 비율이 70%가 넘습니다.
60대 이상은 불과 3% 정도에 그쳤습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동권을 넓히기 위해 기존 교통 카드나 현금 등 쓰기 쉬운 결제 수단을 추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 교수 : "나이 드신 분들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에 취약하니까 이미 가지고 있는 카드를 통해서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도 일반 교통 카드로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소를 교체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
다만 따릉이 사업이 지난해에만 90억 원 넘는 적자를 낸 상황에서, 결제 수단 다변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에 대한 재원 마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누적 이용 1억 4천만 건 ‘따릉이’…디지털 취약층 불편은 여전
-
- 입력 2023-10-04 07:42:38
- 수정2023-10-04 07:47:00
[앵커]
2010년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누적 대여 건수가 1억 4천만 건을 넘길 정도로 인기입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대여 방식을 도입한 뒤로는 고령층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는데요.
김성수 기자가 자세한 사연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르신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입니다.
인근에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가 있지만 이용하는 어르신은 거의 없습니다.
[김영국/서울 양천구 : "자전거 원래 잘 타는데, 이거 뭐 돈 주고 타는 건지 (결제 방법을) 모르니까 못 타는 거지…"]
2020년부터 따릉이를 타려면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고 이용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결제는 스마트폰이나 PC로만 가능한데, 내년 도입 예정인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을 구매해도, 지금 같은 QR 코드 방식으로 대여해야 합니다.
[김우현/서울 종로구 : "나이 먹은 사람들은 저 자전거 안 타려고 그래요. (요금을) 현찰로 준다고 하면 많이 타겠지. 그런데 핸드폰을 갖다 대려 해도 할 줄도 모르고…"]
지난해 따릉이 이용자를 연령별로 보면,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20대~40대 비율이 70%가 넘습니다.
60대 이상은 불과 3% 정도에 그쳤습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동권을 넓히기 위해 기존 교통 카드나 현금 등 쓰기 쉬운 결제 수단을 추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 교수 : "나이 드신 분들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에 취약하니까 이미 가지고 있는 카드를 통해서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도 일반 교통 카드로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소를 교체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
다만 따릉이 사업이 지난해에만 90억 원 넘는 적자를 낸 상황에서, 결제 수단 다변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에 대한 재원 마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성일
2010년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누적 대여 건수가 1억 4천만 건을 넘길 정도로 인기입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대여 방식을 도입한 뒤로는 고령층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는데요.
김성수 기자가 자세한 사연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르신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입니다.
인근에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가 있지만 이용하는 어르신은 거의 없습니다.
[김영국/서울 양천구 : "자전거 원래 잘 타는데, 이거 뭐 돈 주고 타는 건지 (결제 방법을) 모르니까 못 타는 거지…"]
2020년부터 따릉이를 타려면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고 이용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결제는 스마트폰이나 PC로만 가능한데, 내년 도입 예정인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을 구매해도, 지금 같은 QR 코드 방식으로 대여해야 합니다.
[김우현/서울 종로구 : "나이 먹은 사람들은 저 자전거 안 타려고 그래요. (요금을) 현찰로 준다고 하면 많이 타겠지. 그런데 핸드폰을 갖다 대려 해도 할 줄도 모르고…"]
지난해 따릉이 이용자를 연령별로 보면,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20대~40대 비율이 70%가 넘습니다.
60대 이상은 불과 3% 정도에 그쳤습니다.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동권을 넓히기 위해 기존 교통 카드나 현금 등 쓰기 쉬운 결제 수단을 추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유정훈/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 교수 : "나이 드신 분들 같은 경우에는 디지털에 취약하니까 이미 가지고 있는 카드를 통해서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도 일반 교통 카드로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여소를 교체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
다만 따릉이 사업이 지난해에만 90억 원 넘는 적자를 낸 상황에서, 결제 수단 다변화를 위한 시스템 개편 등에 대한 재원 마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성수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성일
-
-
김성수 기자 ssoo@kbs.co.kr
김성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