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선관위 전산망 취약…해킹 땐 개표 조작 우려”

입력 2023.10.10 (19:17) 수정 2023.10.10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가정보원이 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 관련 시스템을 점검한 결과, 해킹 공격에 뚫릴 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정원은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선관위 내부망으로 침투할 수 있어, 투표 여부나 개표 결괏값까지 바꿀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합동 점검은 '가상의 해커'가 선관위의 전산망에 침투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모든 기술적 가능성을 두고 시스템의 취약점을 점검했는데, 그 결과 투표와 개표 등 시스템 전반에 걸쳐 언제든 북한 등 외부의 침투가 가능한 상태였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먼저 선거인명부관리시스템은 해킹으로 유령 유권자를 등록하는 등 선거인 명부나 투표 여부까지 바꿀 수 있었습니다.

또 날인 파일을 도용해 사전투표용지도 무단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철저히 관리돼야 할 투표지 분류기에 USB를 무단 연결해 해킹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개표 결괏값을 바꾸는 것도 가능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습니다.

이미 발생한 해킹 사고도 국정원이 통보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등 사고 대응도 미흡했습니다.

특히 2021년 4월엔 선관위의 한 인터넷 PC가 북한 해킹조직 '킴수키'의 악성코드에 감염돼, 대외비 문건 등이 유출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다만 선거망 등 내부망에 대한 직접적인 해킹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국정원은 "선거의 제도적 통제는 고려하지 않고 기술적 취약점만을 점검한 것으로, 과거 제기된 선거 관련 의혹과 연결짓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점검 결과에 선관위는 "실제 부정선거로 이어지려면, 내부 조력자가 다수 가담해 투표지를 바꿔치기해야 한다"며, 기술적 가능성만으로 조작 가능성을 언급하는 건, 선거 불복을 조장해 사회 통합을 저해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정원 “선관위 전산망 취약…해킹 땐 개표 조작 우려”
    • 입력 2023-10-10 19:17:35
    • 수정2023-10-10 22:02:18
    뉴스 7
[앵커]

국가정보원이 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 관련 시스템을 점검한 결과, 해킹 공격에 뚫릴 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정원은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선관위 내부망으로 침투할 수 있어, 투표 여부나 개표 결괏값까지 바꿀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양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합동 점검은 '가상의 해커'가 선관위의 전산망에 침투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모든 기술적 가능성을 두고 시스템의 취약점을 점검했는데, 그 결과 투표와 개표 등 시스템 전반에 걸쳐 언제든 북한 등 외부의 침투가 가능한 상태였다는 게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먼저 선거인명부관리시스템은 해킹으로 유령 유권자를 등록하는 등 선거인 명부나 투표 여부까지 바꿀 수 있었습니다.

또 날인 파일을 도용해 사전투표용지도 무단 인쇄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철저히 관리돼야 할 투표지 분류기에 USB를 무단 연결해 해킹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개표 결괏값을 바꾸는 것도 가능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습니다.

이미 발생한 해킹 사고도 국정원이 통보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하는 등 사고 대응도 미흡했습니다.

특히 2021년 4월엔 선관위의 한 인터넷 PC가 북한 해킹조직 '킴수키'의 악성코드에 감염돼, 대외비 문건 등이 유출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다만 선거망 등 내부망에 대한 직접적인 해킹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국정원은 "선거의 제도적 통제는 고려하지 않고 기술적 취약점만을 점검한 것으로, 과거 제기된 선거 관련 의혹과 연결짓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점검 결과에 선관위는 "실제 부정선거로 이어지려면, 내부 조력자가 다수 가담해 투표지를 바꿔치기해야 한다"며, 기술적 가능성만으로 조작 가능성을 언급하는 건, 선거 불복을 조장해 사회 통합을 저해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양민철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