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사태는 국민 능멸” vs “‘편파진행방지법’ 추진”

입력 2023.10.10 (19:27) 수정 2023.10.10 (1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파행 사태와 관련해 여야가 네 탓 공방을 벌이며 관련 법 추진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이 이른바 '김행 방지법'을 발의하기로 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에 맞서 상임위원장의 중립을 의무화하는 '상습파행 방지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파행 사퇴에 대해 여야는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이 인사청문제도를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심각한 국회·국민 능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장관직을 수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이미 부적격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지금 여당이 해야 할 일은 인사청문제도 무력화가 아니라 대통령의 부적격 인사에 대한 지명 철회 요구입니다."]

민주당은 공직 후보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청문회에 불참하거나 중도 퇴장한 경우 후보자 사퇴로 간주하는 내용의 인사청문회법 개정안도 발의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청문회 중단의 이유는 민주당 소속 권인숙 여가위원장의 사퇴 막말 때문이라고 맞받았습니다.

상임위원장의 중립 의무를 명문화하고 차수 변경 절차를 보완하는 내용의 '상습파행 방지법'을 이번 주 안에 발의하기로 했습니다.

국민의힘 소속 여가위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권 위원장의 즉각 사퇴도 촉구했습니다.

[정경희/국회 여가위 간사/국민의힘 : "위원장의 권한을 망나니 칼부림하듯 휘둘러 상임위 뿐 아니라 장관후보자 청문회에 이르기까지 상습 파행을 초래했습니다."]

하지만 여당 내에선 지도부와 다른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하나의 길일 수 있다"며 자진 사퇴를 압박했고, 하태경 의원은 "여가부는 폐지할 부처이기 때문에 장관을 임명 안 하는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영상편집:김형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행 사태는 국민 능멸” vs “‘편파진행방지법’ 추진”
    • 입력 2023-10-10 19:27:51
    • 수정2023-10-10 19:34:07
    뉴스7(대구)
[앵커]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파행 사태와 관련해 여야가 네 탓 공방을 벌이며 관련 법 추진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이 이른바 '김행 방지법'을 발의하기로 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에 맞서 상임위원장의 중립을 의무화하는 '상습파행 방지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홍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파행 사퇴에 대해 여야는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이 인사청문제도를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심각한 국회·국민 능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장관직을 수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이미 부적격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홍익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지금 여당이 해야 할 일은 인사청문제도 무력화가 아니라 대통령의 부적격 인사에 대한 지명 철회 요구입니다."]

민주당은 공직 후보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청문회에 불참하거나 중도 퇴장한 경우 후보자 사퇴로 간주하는 내용의 인사청문회법 개정안도 발의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청문회 중단의 이유는 민주당 소속 권인숙 여가위원장의 사퇴 막말 때문이라고 맞받았습니다.

상임위원장의 중립 의무를 명문화하고 차수 변경 절차를 보완하는 내용의 '상습파행 방지법'을 이번 주 안에 발의하기로 했습니다.

국민의힘 소속 여가위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권 위원장의 즉각 사퇴도 촉구했습니다.

[정경희/국회 여가위 간사/국민의힘 : "위원장의 권한을 망나니 칼부림하듯 휘둘러 상임위 뿐 아니라 장관후보자 청문회에 이르기까지 상습 파행을 초래했습니다."]

하지만 여당 내에선 지도부와 다른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하나의 길일 수 있다"며 자진 사퇴를 압박했고, 하태경 의원은 "여가부는 폐지할 부처이기 때문에 장관을 임명 안 하는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홍진아입니다.

영상편집:김형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