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베누에 물·탄소 존재…“우리가 찾던 바로 그 물질”
입력 2023.10.12 (03:31)
수정 2023.10.12 (1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45억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 근접 소행성 '베누'에 물과 탄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각 11일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JSC)에서 지난달 24일 귀환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캡슐이 채취한 '베누' 샘플을 공개했습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캡슐에 들어있는) 돌과 먼지에는 물과 많은 양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것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생명체의 기본 요소들을 지구에 전달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첫 번째 분석 결과, 점토 광물 속에 물이 상당히 많이 함유돼 있다"면서 "광물과 유기 분자 모두에 탄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목표했던 60g을 훨씬 초과하는 이 샘플은 지금까지 지구로 돌아온 소행성 샘플 중 가장 탄소가 풍부한 것"이라며 "탄소와 물 분자는 우리가 찾고자 했던 바로 그 물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물질들은 지구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며 "이는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소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탐사선에 탑재된 캡슐은 2016년 9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지 7년 만에 38억6천마일(62억km)에 달하는 대장정 끝에 지난달 귀환했습니다.
이 탐사선은 2020년 10월 지구에서 약 3억3천300만㎞ 떨어진 곳에 있는 베누 표면에서 흙과 자갈 등 샘플 250g을 채취한 뒤 2021년 5월 지구 귀환 길에 올랐습니다.
이 캡슐에는 베누의 흙과 자갈 등이 250g가량 있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미국으로선 첫 번째 소행성 샘플 채취였지만, 앞서 일본이 이토카와(2010년), 류구(2020년) 소행성으로부터 각각 채취한 샘플 1g 미만과 5.4g보다 많습니다.
기상 현상과 지각 변동 등으로 크게 변형된 지구와 달리 베누는 45억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ASA는 존슨우주센터 내 전용 청정실에서 앞으로 2년간 베누의 샘플을 정밀 분석할 예정입니다.
과학자들은 베누가 지금부터 약 160년 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각 11일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JSC)에서 지난달 24일 귀환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캡슐이 채취한 '베누' 샘플을 공개했습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캡슐에 들어있는) 돌과 먼지에는 물과 많은 양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것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생명체의 기본 요소들을 지구에 전달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첫 번째 분석 결과, 점토 광물 속에 물이 상당히 많이 함유돼 있다"면서 "광물과 유기 분자 모두에 탄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목표했던 60g을 훨씬 초과하는 이 샘플은 지금까지 지구로 돌아온 소행성 샘플 중 가장 탄소가 풍부한 것"이라며 "탄소와 물 분자는 우리가 찾고자 했던 바로 그 물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물질들은 지구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며 "이는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소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탐사선에 탑재된 캡슐은 2016년 9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지 7년 만에 38억6천마일(62억km)에 달하는 대장정 끝에 지난달 귀환했습니다.
이 탐사선은 2020년 10월 지구에서 약 3억3천300만㎞ 떨어진 곳에 있는 베누 표면에서 흙과 자갈 등 샘플 250g을 채취한 뒤 2021년 5월 지구 귀환 길에 올랐습니다.
이 캡슐에는 베누의 흙과 자갈 등이 250g가량 있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미국으로선 첫 번째 소행성 샘플 채취였지만, 앞서 일본이 이토카와(2010년), 류구(2020년) 소행성으로부터 각각 채취한 샘플 1g 미만과 5.4g보다 많습니다.
기상 현상과 지각 변동 등으로 크게 변형된 지구와 달리 베누는 45억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ASA는 존슨우주센터 내 전용 청정실에서 앞으로 2년간 베누의 샘플을 정밀 분석할 예정입니다.
과학자들은 베누가 지금부터 약 160년 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NASA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행성 베누에 물·탄소 존재…“우리가 찾던 바로 그 물질”
-
- 입력 2023-10-12 03:31:32
- 수정2023-10-12 10:58:20

45억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 근접 소행성 '베누'에 물과 탄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각 11일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JSC)에서 지난달 24일 귀환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캡슐이 채취한 '베누' 샘플을 공개했습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캡슐에 들어있는) 돌과 먼지에는 물과 많은 양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것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생명체의 기본 요소들을 지구에 전달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첫 번째 분석 결과, 점토 광물 속에 물이 상당히 많이 함유돼 있다"면서 "광물과 유기 분자 모두에 탄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목표했던 60g을 훨씬 초과하는 이 샘플은 지금까지 지구로 돌아온 소행성 샘플 중 가장 탄소가 풍부한 것"이라며 "탄소와 물 분자는 우리가 찾고자 했던 바로 그 물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물질들은 지구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며 "이는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소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탐사선에 탑재된 캡슐은 2016년 9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지 7년 만에 38억6천마일(62억km)에 달하는 대장정 끝에 지난달 귀환했습니다.
이 탐사선은 2020년 10월 지구에서 약 3억3천300만㎞ 떨어진 곳에 있는 베누 표면에서 흙과 자갈 등 샘플 250g을 채취한 뒤 2021년 5월 지구 귀환 길에 올랐습니다.
이 캡슐에는 베누의 흙과 자갈 등이 250g가량 있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미국으로선 첫 번째 소행성 샘플 채취였지만, 앞서 일본이 이토카와(2010년), 류구(2020년) 소행성으로부터 각각 채취한 샘플 1g 미만과 5.4g보다 많습니다.
기상 현상과 지각 변동 등으로 크게 변형된 지구와 달리 베누는 45억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ASA는 존슨우주센터 내 전용 청정실에서 앞으로 2년간 베누의 샘플을 정밀 분석할 예정입니다.
과학자들은 베누가 지금부터 약 160년 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각 11일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JSC)에서 지난달 24일 귀환한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캡슐이 채취한 '베누' 샘플을 공개했습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캡슐에 들어있는) 돌과 먼지에는 물과 많은 양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것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생명체의 기본 요소들을 지구에 전달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첫 번째 분석 결과, 점토 광물 속에 물이 상당히 많이 함유돼 있다"면서 "광물과 유기 분자 모두에 탄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목표했던 60g을 훨씬 초과하는 이 샘플은 지금까지 지구로 돌아온 소행성 샘플 중 가장 탄소가 풍부한 것"이라며 "탄소와 물 분자는 우리가 찾고자 했던 바로 그 물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물질들은 지구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며 "이는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소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탐사선에 탑재된 캡슐은 2016년 9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지 7년 만에 38억6천마일(62억km)에 달하는 대장정 끝에 지난달 귀환했습니다.
이 탐사선은 2020년 10월 지구에서 약 3억3천300만㎞ 떨어진 곳에 있는 베누 표면에서 흙과 자갈 등 샘플 250g을 채취한 뒤 2021년 5월 지구 귀환 길에 올랐습니다.
이 캡슐에는 베누의 흙과 자갈 등이 250g가량 있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미국으로선 첫 번째 소행성 샘플 채취였지만, 앞서 일본이 이토카와(2010년), 류구(2020년) 소행성으로부터 각각 채취한 샘플 1g 미만과 5.4g보다 많습니다.
기상 현상과 지각 변동 등으로 크게 변형된 지구와 달리 베누는 45억년 전 태양계 형성 초기의 물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ASA는 존슨우주센터 내 전용 청정실에서 앞으로 2년간 베누의 샘플을 정밀 분석할 예정입니다.
과학자들은 베누가 지금부터 약 160년 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NASA 제공]
-
-
이재설 기자 record@kbs.co.kr
이재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