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창은 사회문제’…“치료제·간병비 보험 적용해야”
입력 2023.10.12 (06:38)
수정 2023.10.21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BS가 집중 보도한 욕창 문제가 조명됐는데요.
욕창 치료와 간병을 위한 건강보험 혜택이 부실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닥에 닿는 신체 부위를 두 시간마다 바꿔줘야 하는 질병, 욕창.
24시간 돌봄 노동이 필수지만,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간병비는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 가정에도 큰 부담입니다.
[욕창 환자 가족 : "간병비에서 죽어나는 거예요. 하루에 15만 원이니까. (한 달) 450만 원 하고 하면 돈이 700만 원 돈 아닙니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욕창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욕창 환자의 90%는 60대 이상으로, 이대로 두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간병비 본인 부담률을 현행 100%에서 30% 이하로 줄이는 등 적극적인 재정지원 필요성이 언급됐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건강보험 재정 문제를 고려함과 동시에 욕창에 한정해서라도 간병비 일부를 지원한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좀 논의할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또 욕창 치료제와 예방기구가 건강보험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가 많아, 고령 환자의 빈곤율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주변에도 많습니다. 그런 분들. 아픔을 굉장히 호소합니다. 보건복지위원님들 뭐하냐. 제가 많은 질타를 받습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욕창 환자의 간병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연구 용역과 시범 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어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BS가 집중 보도한 욕창 문제가 조명됐는데요.
욕창 치료와 간병을 위한 건강보험 혜택이 부실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닥에 닿는 신체 부위를 두 시간마다 바꿔줘야 하는 질병, 욕창.
24시간 돌봄 노동이 필수지만,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간병비는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 가정에도 큰 부담입니다.
[욕창 환자 가족 : "간병비에서 죽어나는 거예요. 하루에 15만 원이니까. (한 달) 450만 원 하고 하면 돈이 700만 원 돈 아닙니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욕창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욕창 환자의 90%는 60대 이상으로, 이대로 두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간병비 본인 부담률을 현행 100%에서 30% 이하로 줄이는 등 적극적인 재정지원 필요성이 언급됐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건강보험 재정 문제를 고려함과 동시에 욕창에 한정해서라도 간병비 일부를 지원한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좀 논의할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또 욕창 치료제와 예방기구가 건강보험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가 많아, 고령 환자의 빈곤율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주변에도 많습니다. 그런 분들. 아픔을 굉장히 호소합니다. 보건복지위원님들 뭐하냐. 제가 많은 질타를 받습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욕창 환자의 간병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연구 용역과 시범 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욕창은 사회문제’…“치료제·간병비 보험 적용해야”
-
- 입력 2023-10-12 06:38:48
- 수정2023-10-21 09:09:38

[앵커]
어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BS가 집중 보도한 욕창 문제가 조명됐는데요.
욕창 치료와 간병을 위한 건강보험 혜택이 부실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닥에 닿는 신체 부위를 두 시간마다 바꿔줘야 하는 질병, 욕창.
24시간 돌봄 노동이 필수지만,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간병비는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 가정에도 큰 부담입니다.
[욕창 환자 가족 : "간병비에서 죽어나는 거예요. 하루에 15만 원이니까. (한 달) 450만 원 하고 하면 돈이 700만 원 돈 아닙니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욕창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욕창 환자의 90%는 60대 이상으로, 이대로 두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간병비 본인 부담률을 현행 100%에서 30% 이하로 줄이는 등 적극적인 재정지원 필요성이 언급됐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건강보험 재정 문제를 고려함과 동시에 욕창에 한정해서라도 간병비 일부를 지원한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좀 논의할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또 욕창 치료제와 예방기구가 건강보험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가 많아, 고령 환자의 빈곤율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주변에도 많습니다. 그런 분들. 아픔을 굉장히 호소합니다. 보건복지위원님들 뭐하냐. 제가 많은 질타를 받습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욕창 환자의 간병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연구 용역과 시범 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어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BS가 집중 보도한 욕창 문제가 조명됐는데요.
욕창 치료와 간병을 위한 건강보험 혜택이 부실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류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닥에 닿는 신체 부위를 두 시간마다 바꿔줘야 하는 질병, 욕창.
24시간 돌봄 노동이 필수지만,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는 간병비는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 가정에도 큰 부담입니다.
[욕창 환자 가족 : "간병비에서 죽어나는 거예요. 하루에 15만 원이니까. (한 달) 450만 원 하고 하면 돈이 700만 원 돈 아닙니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욕창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욕창 환자의 90%는 60대 이상으로, 이대로 두면 초고령사회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간병비 본인 부담률을 현행 100%에서 30% 이하로 줄이는 등 적극적인 재정지원 필요성이 언급됐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건강보험 재정 문제를 고려함과 동시에 욕창에 한정해서라도 간병비 일부를 지원한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좀 논의할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또 욕창 치료제와 예방기구가 건강보험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가 많아, 고령 환자의 빈곤율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조명희/국회 보건복지위원/국민의힘 : "주변에도 많습니다. 그런 분들. 아픔을 굉장히 호소합니다. 보건복지위원님들 뭐하냐. 제가 많은 질타를 받습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욕창 환자의 간병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연구 용역과 시범 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류재현입니다.
-
-
류재현 기자 jae@kbs.co.kr
류재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