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급 침수 피해 반복…“대용량포 방사 시스템 늘려야”

입력 2023.10.12 (19:29) 수정 2023.10.12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송 참사와 같은 재난급 침수 피해가 매년 여름철마다 반복되고 있는데요.

침수 현장에서 빠른 구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단시간에 빼낼 수 있는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은 국내에 단 두대 뿐입니다.

장비 확대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대한 물줄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오송 참사현장에서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이 지하차도를 메운 6만 톤의 흙탕물을 뽑아내고 있습니다.

[서정일/충북 청주 서부소방서장/지난 7월 : "지금 대용량 방수포로 작업을 해도 완전배수까지는 8시간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북 포항의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사고 때도 이 장비가 투입돼 분당 최대 7만 5천ℓ의 물을 뽑아냈습니다.

소방 펌프차 26대를 동시에 투입해야 가능한 배수량입니다.

우리나라에 이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은 단 두 대뿐입니다.

지난해 1월 대형화재 진압용으로 도입돼 두 대 모두 화학단지가 밀집한 울산에 배치됐습니다.

이 때문에 예상치 못한 침수 사고 때마다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합니다.

실제, 오송 참사 당일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한 대가 현장에 도착한 시각은 출동 명령이 떨어진 뒤 2시간 20여 분 만인 오후 1시쯤.

배수 작업은 오후 2시 50분쯤 시작됐습니다.

나머지 한 대는 남부 지방 집중 호우 우려에 뒤늦게 이동해 오송 참사 다음 날 가동됐습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권역별로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소방청은 현재, 충청·강원권 등 전국 4개 권역에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난급 침수 피해 반복…“대용량포 방사 시스템 늘려야”
    • 입력 2023-10-12 19:29:43
    • 수정2023-10-12 19:42:08
    뉴스 7
[앵커]

오송 참사와 같은 재난급 침수 피해가 매년 여름철마다 반복되고 있는데요.

침수 현장에서 빠른 구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단시간에 빼낼 수 있는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은 국내에 단 두대 뿐입니다.

장비 확대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송국회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대한 물줄기가 쉴 새 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오송 참사현장에서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이 지하차도를 메운 6만 톤의 흙탕물을 뽑아내고 있습니다.

[서정일/충북 청주 서부소방서장/지난 7월 : "지금 대용량 방수포로 작업을 해도 완전배수까지는 8시간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북 포항의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사고 때도 이 장비가 투입돼 분당 최대 7만 5천ℓ의 물을 뽑아냈습니다.

소방 펌프차 26대를 동시에 투입해야 가능한 배수량입니다.

우리나라에 이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은 단 두 대뿐입니다.

지난해 1월 대형화재 진압용으로 도입돼 두 대 모두 화학단지가 밀집한 울산에 배치됐습니다.

이 때문에 예상치 못한 침수 사고 때마다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합니다.

실제, 오송 참사 당일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한 대가 현장에 도착한 시각은 출동 명령이 떨어진 뒤 2시간 20여 분 만인 오후 1시쯤.

배수 작업은 오후 2시 50분쯤 시작됐습니다.

나머지 한 대는 남부 지방 집중 호우 우려에 뒤늦게 이동해 오송 참사 다음 날 가동됐습니다.

[천준호/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 :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권역별로 대용량포 방사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소방청은 현재, 충청·강원권 등 전국 4개 권역에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그래픽:박소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