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장 “육사에 그대로 둬야”…홍범도 흉상 이전 등 공방

입력 2023.10.13 (21:20) 수정 2023.10.14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을 철거하겠다면서 국방부는 이걸 독립기념관으로 옮기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독립기념관장이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의 이전 장소는 독립기념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돼 왔습니다.

그동안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독립기념관장은 사견을 전제로 흉상 이전을 반대했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군) 지도자들이 그런 정신을 가르치려고 하면 흉상은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이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여당 의원들은 홍 장군의 소련 공산당 가입 이력을 들어 육사와의 부적합성을 지적했지만, 윤봉길 의사의 손녀인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은 지지를 표했습니다.

[윤주경/국회 정무위원/국민의힘 : "홍범도 장군을 육사에서 그리고 우리 군에서 어떻게 예우해야 되는지를 명확하게 말씀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최근 보훈부가 중국에서 혁명음악가로 알려진 정율성 기념사업 중단을 권고하고, 백선엽 장군의 현충원 안장 기록에서 '친일' 문구를 삭제하기로 한 데 대해서도 여야 의원들의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한홍/국회 정무위원/국민의힘 : "공산주의 운동하고 공산당에 가입했던 사람들을 굉장히 치켜세우고 떠받드는 분위기가 지난 정권부터 지금 이루어진 것 아닙니까. 그것을 보훈처가 보훈부가 됐으면 바로잡아야 되는 거예요."]

[최종윤/국회 정무위원/더불어민주당 : "이런 이념 논쟁과 갈등 논쟁에 왜 장관이 이렇게 나섰냐고 하는 굉장히 큰 우려가 있고요. 보훈부가 무슨 이념이라든지 아니면 지금 국가 정체성 논란에 핵심이다라는 건 아니었지 않습니까."]

한편, 병무청 국감에서는 최근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한 경기도 뛰지 않은 선수가 병역 특례를 받은 데 대한 문제가 제기됐고, 병무청장은 병역 특례 제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윤대민/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립기념관장 “육사에 그대로 둬야”…홍범도 흉상 이전 등 공방
    • 입력 2023-10-13 21:20:15
    • 수정2023-10-14 08:14:13
    뉴스 9
[앵커]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을 철거하겠다면서 국방부는 이걸 독립기념관으로 옮기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독립기념관장이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의 이전 장소는 독립기념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돼 왔습니다.

그동안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독립기념관장은 사견을 전제로 흉상 이전을 반대했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군) 지도자들이 그런 정신을 가르치려고 하면 흉상은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이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여당 의원들은 홍 장군의 소련 공산당 가입 이력을 들어 육사와의 부적합성을 지적했지만, 윤봉길 의사의 손녀인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은 지지를 표했습니다.

[윤주경/국회 정무위원/국민의힘 : "홍범도 장군을 육사에서 그리고 우리 군에서 어떻게 예우해야 되는지를 명확하게 말씀해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최근 보훈부가 중국에서 혁명음악가로 알려진 정율성 기념사업 중단을 권고하고, 백선엽 장군의 현충원 안장 기록에서 '친일' 문구를 삭제하기로 한 데 대해서도 여야 의원들의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윤한홍/국회 정무위원/국민의힘 : "공산주의 운동하고 공산당에 가입했던 사람들을 굉장히 치켜세우고 떠받드는 분위기가 지난 정권부터 지금 이루어진 것 아닙니까. 그것을 보훈처가 보훈부가 됐으면 바로잡아야 되는 거예요."]

[최종윤/국회 정무위원/더불어민주당 : "이런 이념 논쟁과 갈등 논쟁에 왜 장관이 이렇게 나섰냐고 하는 굉장히 큰 우려가 있고요. 보훈부가 무슨 이념이라든지 아니면 지금 국가 정체성 논란에 핵심이다라는 건 아니었지 않습니까."]

한편, 병무청 국감에서는 최근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한 경기도 뛰지 않은 선수가 병역 특례를 받은 데 대한 문제가 제기됐고, 병무청장은 병역 특례 제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윤대민/영상편집:김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