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수중비경 ‘형제섬 수중 아치’ 아시나요

입력 2023.10.13 (21:46) 수정 2023.10.13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제주 바다 속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두 개의 섬 사이로 일출을 볼 수 있는 명소 제주 형제섬은 바닷 속 풍광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합니다.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수중 아치들이 천혜의 비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문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 남서쪽 끝자락.

크고 작은 두 섬이 사이 좋게 마주 보고 있는 형제섬입니다.

형제섬의 바닷속, 거대한 수중 아치가 모습을 드러내고, 엄청난 양의 점동갈돔 떼가 불청객을 맞이합니다.

아치 안으로 펼쳐지는 형형색색의 연산호 군락, 자리돔 떼 사이로 부채꼴 모양의 유착진총산호가 황홀한 자태를 뽐냅니다.

바닷속 소나무라 불리는 긴가지해송이 살랑이는가 싶더니, 또다른 수중아치가 나옵니다.

제주에서 다금바리라 불리는 자바리가 유유히 헤엄쳐 나옵니다.

아치 인근에 있는 바위에는 큰 광어 한 마리가 떡하니 붙어 있습니다.

주둥이를 살살 문지르자 사람의 손길이 신기한 듯 도망가지 않고 자리를 지킵니다.

[박한나/스쿠버다이빙 강사 : "산호도 국내 바다 치고 되게 화려하게 예쁘고요. 그리고 대형 광어랑 혹돔도 정말 큰 게 있어서 한국 바다 같지 않고 좋았어요. 외국 같아요."]

형제섬은 마그마가 바닷물 만나 폭발해 만들어진 수성화산체입니다.

극히 일부분만 물 위에 드러났는데, 수중 아치 7개는 물에 잠긴 형제섬 분화구 안에 있습니다.

[전용문/지질학 박사 : "분화구 내부를 만들었던 단단한 용암이 분출해서 분화구 내부를 채웠고, 파도의 작용으로 단단했던 암석 일부가 깎여나가서 아치를 만들고, 지금은 해수면이 더 높아져서 물속에 잠겨 있는 상태로."]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형제섬의 수중아치, 수천 년의 세월을 간직한 채 천혜의 비경을 가득 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수중촬영:김건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혜의 수중비경 ‘형제섬 수중 아치’ 아시나요
    • 입력 2023-10-13 21:46:57
    • 수정2023-10-13 21:58:33
    뉴스 9
[앵커]

이번에는 제주 바다 속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두 개의 섬 사이로 일출을 볼 수 있는 명소 제주 형제섬은 바닷 속 풍광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합니다.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수중 아치들이 천혜의 비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문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 남서쪽 끝자락.

크고 작은 두 섬이 사이 좋게 마주 보고 있는 형제섬입니다.

형제섬의 바닷속, 거대한 수중 아치가 모습을 드러내고, 엄청난 양의 점동갈돔 떼가 불청객을 맞이합니다.

아치 안으로 펼쳐지는 형형색색의 연산호 군락, 자리돔 떼 사이로 부채꼴 모양의 유착진총산호가 황홀한 자태를 뽐냅니다.

바닷속 소나무라 불리는 긴가지해송이 살랑이는가 싶더니, 또다른 수중아치가 나옵니다.

제주에서 다금바리라 불리는 자바리가 유유히 헤엄쳐 나옵니다.

아치 인근에 있는 바위에는 큰 광어 한 마리가 떡하니 붙어 있습니다.

주둥이를 살살 문지르자 사람의 손길이 신기한 듯 도망가지 않고 자리를 지킵니다.

[박한나/스쿠버다이빙 강사 : "산호도 국내 바다 치고 되게 화려하게 예쁘고요. 그리고 대형 광어랑 혹돔도 정말 큰 게 있어서 한국 바다 같지 않고 좋았어요. 외국 같아요."]

형제섬은 마그마가 바닷물 만나 폭발해 만들어진 수성화산체입니다.

극히 일부분만 물 위에 드러났는데, 수중 아치 7개는 물에 잠긴 형제섬 분화구 안에 있습니다.

[전용문/지질학 박사 : "분화구 내부를 만들었던 단단한 용암이 분출해서 분화구 내부를 채웠고, 파도의 작용으로 단단했던 암석 일부가 깎여나가서 아치를 만들고, 지금은 해수면이 더 높아져서 물속에 잠겨 있는 상태로."]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형제섬의 수중아치, 수천 년의 세월을 간직한 채 천혜의 비경을 가득 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수중촬영:김건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