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사이버 침해사고 급증…“대응 인력은 제자리”

입력 2023.10.16 (10:03) 수정 2023.10.16 (1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민간 분야에 대한 사이버 침해사고(해킹) 신고 건수는 급증했지만, 대응 인력은 비슷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홍석준 의원실(국민의힘)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 악성코드 감염 및 유포, 시스템 해킹 등 민간분야 사이버 침해사고 접수 건수는 2014년 175건, 2015년 225건, 2016년 247건, 2017년 287건이었다가 2018년부터 급증했습니다.

2018년에 500건을 기록한 뒤, 2019년 418건, 2020년 603건, 2021년 640건, 지난해엔 1,142건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특히 시스템 해킹의 경우 2014년 37건, 2015년엔 9건, 2016년엔 16건, 2017년 64건 수준이었으나 2018년 270건으로 처음 세 자릿수를 기록했고, 2019년 204건, 2020년 250건, 2021년 283건, 지난해엔 673건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처럼 사이버 침해사고 건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이에 대응하는 인력수는 최근 7년간 답보 상태입니다.

KISA 사이버침해대응본부 인력은 2017년 134명에서 2018년 128명, 2019년 116명, 2020년 113명으로 줄었고, 이후 2021년 124명으로 일부 충원된 다음 2022년 123명, 올해 122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회 과방위 홍석준 위원은 "사이버 해킹은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 등 국가 중요 시스템이 마비될 수도 있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다."라며 "해킹 수법 및 대상이 변화하고 첨단화되는 상황에서 사이버 보안에 허점은 없는지 철저한 점검과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홍석준의원실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년간 사이버 침해사고 급증…“대응 인력은 제자리”
    • 입력 2023-10-16 10:03:33
    • 수정2023-10-16 10:05:59
    IT·과학
지난 10년간 민간 분야에 대한 사이버 침해사고(해킹) 신고 건수는 급증했지만, 대응 인력은 비슷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홍석준 의원실(국민의힘)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 악성코드 감염 및 유포, 시스템 해킹 등 민간분야 사이버 침해사고 접수 건수는 2014년 175건, 2015년 225건, 2016년 247건, 2017년 287건이었다가 2018년부터 급증했습니다.

2018년에 500건을 기록한 뒤, 2019년 418건, 2020년 603건, 2021년 640건, 지난해엔 1,142건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특히 시스템 해킹의 경우 2014년 37건, 2015년엔 9건, 2016년엔 16건, 2017년 64건 수준이었으나 2018년 270건으로 처음 세 자릿수를 기록했고, 2019년 204건, 2020년 250건, 2021년 283건, 지난해엔 673건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처럼 사이버 침해사고 건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이에 대응하는 인력수는 최근 7년간 답보 상태입니다.

KISA 사이버침해대응본부 인력은 2017년 134명에서 2018년 128명, 2019년 116명, 2020년 113명으로 줄었고, 이후 2021년 124명으로 일부 충원된 다음 2022년 123명, 올해 122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회 과방위 홍석준 위원은 "사이버 해킹은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 등 국가 중요 시스템이 마비될 수도 있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다."라며 "해킹 수법 및 대상이 변화하고 첨단화되는 상황에서 사이버 보안에 허점은 없는지 철저한 점검과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홍석준의원실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