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경유 보조금 연말까지 연장

입력 2023.10.16 (12:15) 수정 2023.10.16 (1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동의 불안으로 주춤하던 국제유가가 다시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올해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공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오늘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휘발유에 붙는 세금은 25%, 경유와 LPG 부탄은 37% 인하한 조치가 두 달 더 이어집니다.

경유나 천연가스 가격이 기준 금액을 넘어서면 초과액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하는 유가연동보조금도 연말까지 한시 연장합니다.

앞서 유류세 인하 연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던 정부가 연장을 공식화한 배경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무력 충돌로 국제유가가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향후 사태 전개에 따라서는 에너지, 공급망 등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재차 확산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국면이 다소 진정되어가는 상황에서 다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는 이번 전쟁에 이란이 뛰어들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 선을 넘는 이른바 '오일쇼크'가 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은 분쟁이 중동 전역으로 확산하면 세계 무역에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우려했습니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통해 기름값을 억누르면서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에 편승한 가격 인상이 없도록 주유소 현장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또 에너지와 먹거리 중심으로 물가 관리 노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실물경제 및 금융, 외환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24시간 금융 실물 모니터링을 통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류세 인하·경유 보조금 연말까지 연장
    • 입력 2023-10-16 12:15:35
    • 수정2023-10-16 17:28:18
    뉴스 12
[앵커]

중동의 불안으로 주춤하던 국제유가가 다시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올해 연말까지 두 달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공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오늘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휘발유에 붙는 세금은 25%, 경유와 LPG 부탄은 37% 인하한 조치가 두 달 더 이어집니다.

경유나 천연가스 가격이 기준 금액을 넘어서면 초과액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하는 유가연동보조금도 연말까지 한시 연장합니다.

앞서 유류세 인하 연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던 정부가 연장을 공식화한 배경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무력 충돌로 국제유가가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추경호/경제부총리 : "향후 사태 전개에 따라서는 에너지, 공급망 등을 중심으로 리스크가 재차 확산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국면이 다소 진정되어가는 상황에서 다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는 이번 전쟁에 이란이 뛰어들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 선을 넘는 이른바 '오일쇼크'가 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은 분쟁이 중동 전역으로 확산하면 세계 무역에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우려했습니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통해 기름값을 억누르면서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에 편승한 가격 인상이 없도록 주유소 현장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또 에너지와 먹거리 중심으로 물가 관리 노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실물경제 및 금융, 외환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24시간 금융 실물 모니터링을 통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