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9% 은행 적금, 결혼·절약 우대금리도…후한 인심 배경은?

입력 2023.10.19 (21:31) 수정 2023.10.19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기준 금리는 동결됐지만, 시중에서 돈을 맡기고 빌릴 때 접하는 시장 금리는 요즘 전혀 다른 흐름입니다.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며 연 9%까지 주는 적금 상품도 등장했습니다.

왜 이렇게 이자를 많이 주는지,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금, 연 9%인 금리가 눈길을 끕니다.

가입 기간에 결혼하면 우대 금리를 5%p나 얹어주는 조건인데, 예정 물량의 절반이 팔렸습니다.

다른 은행의 적금은 전기를 아끼면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최대 연 7%를 내걸었습니다.

이런 행사성 상품 말고도 금리는 상승 추세입니다.

은행권 정기예금 상품 가운데 절반 이상은 이자가 4%를 넘습니다.

은행이 이 정도니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는 더 높겠죠.

최고 금리 10%대도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이자를 많이 주는 걸까요.

지금이 금융사에서 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1년 전 이맘때, 이른바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탓에 단기자금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었죠.

채권 찍어서 돈 빌리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은 높은 금리를 앞세워 예·적금을 끌어 모았는데, 이렇게 빌린 돈 약 116조 원의 만기가 이달부터 돌아옵니다.

돈이 빠져나가게 하지 않으려면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합니다.

[서성권/서울 영등포구 :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금리가 더 높은 곳으로 찾아다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윳돈이 있다면 지금이 기회지만 돈을 빌리는 입장은 다릅니다.

예·적금 금리가 대출금리를 계산할 때 반영되기 때문인데,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벌써 7% 수준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은행이 채권을 발행해 필요 자금을 조달하라고 유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최근 미국은 물론 주요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은행채를 발행할 때 부담해야 할 이자도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석병훈/이화여대 경제학부 교수 : "은행들이 채권을 발행할 때도 이자율을 높게 제시해야만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은 예금·적금 붙잡아 놓으려고 하는 수요가 더 커지겠죠."]

시장에선 100조 원이 넘는 자금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연말까지는 이런 상황이 이어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중우/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고석훈 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 9% 은행 적금, 결혼·절약 우대금리도…후한 인심 배경은?
    • 입력 2023-10-19 21:31:20
    • 수정2023-10-19 22:08:15
    뉴스 9
[앵커]

이렇게 기준 금리는 동결됐지만, 시중에서 돈을 맡기고 빌릴 때 접하는 시장 금리는 요즘 전혀 다른 흐름입니다.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며 연 9%까지 주는 적금 상품도 등장했습니다.

왜 이렇게 이자를 많이 주는지, 손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금, 연 9%인 금리가 눈길을 끕니다.

가입 기간에 결혼하면 우대 금리를 5%p나 얹어주는 조건인데, 예정 물량의 절반이 팔렸습니다.

다른 은행의 적금은 전기를 아끼면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최대 연 7%를 내걸었습니다.

이런 행사성 상품 말고도 금리는 상승 추세입니다.

은행권 정기예금 상품 가운데 절반 이상은 이자가 4%를 넘습니다.

은행이 이 정도니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는 더 높겠죠.

최고 금리 10%대도 있습니다.

왜 이렇게 이자를 많이 주는 걸까요.

지금이 금융사에서 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1년 전 이맘때, 이른바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 탓에 단기자금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었죠.

채권 찍어서 돈 빌리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들은 높은 금리를 앞세워 예·적금을 끌어 모았는데, 이렇게 빌린 돈 약 116조 원의 만기가 이달부터 돌아옵니다.

돈이 빠져나가게 하지 않으려면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합니다.

[서성권/서울 영등포구 :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금리가 더 높은 곳으로 찾아다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윳돈이 있다면 지금이 기회지만 돈을 빌리는 입장은 다릅니다.

예·적금 금리가 대출금리를 계산할 때 반영되기 때문인데,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벌써 7% 수준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은행이 채권을 발행해 필요 자금을 조달하라고 유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최근 미국은 물론 주요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은행채를 발행할 때 부담해야 할 이자도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석병훈/이화여대 경제학부 교수 : "은행들이 채권을 발행할 때도 이자율을 높게 제시해야만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은 예금·적금 붙잡아 놓으려고 하는 수요가 더 커지겠죠."]

시장에선 100조 원이 넘는 자금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연말까지는 이런 상황이 이어질 거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촬영기자:이중우/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고석훈 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