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AS 받으려다…가짜 카톡 채널 사기

입력 2023.10.19 (21:49) 수정 2023.10.19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은 가전 제품이 고장나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상담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유명 회사의 AS센터에서 상담을 하는 것처럼 속이고 돈을 가로채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어떤 수법인지,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5살 김 모 씨는 최근 다리미가 고장 나 카카오톡 채널로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제품업체를 검색했더니 똑같은 로고의 'AS센터'가 있었습니다.

응답한 상담사는 기존 제품과 맞교환 방식으로 새 제품을 거저 받으라고 부추겼습니다.

대신 새 제품값을 우선 결제해야 추후 환불받을 수 있는데, 회사 정책이라며 백만 원을 보낼것을 요구했습니다.

입금했지만 확인되지 않는다며 백만 원을 다시 부치라는게 이상해, 진짜 고객센터에 전화했고, 그제서야 사기임을 눈치챘습니다.

돈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가짜 고객센터는 시간만 끌다가 결국 연락을 끊어버렸습니다.

[김 모 씨/사기 피해자 : "아주 똑같아요, 로고도. 그래서 전혀 의심하지 못했어요. 정말로 저 같은 젊은 사람도 당하는데 어르신들은 진짜 많이 당하겠더라고요."]

최근 몇달 사이 똑같은 피해가 잇따르면서 일부 가전업체들은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이같은 사기가 가능한건 카카오톡 채널을 누구나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직접 또 다른 가전업체 이름을 카카오톡 채널에 검색해봤습니다.

공식 채널을 제외하고도 채널 여러 개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는 공식계정에 '인증 마크'를 달고, 검증되지 않은 채널에는 경고 문구를 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증마크가 눈에 잘 띄지 않는데다, 가짜 채널을 신고해도 삭제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립니다.

카카오 측은 인증 절차를 강화해 이용자가 쉽게 구분하고 인지할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건을 접수한 경찰은 채널 운영자 등을 특정하기 위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전제품 AS 받으려다…가짜 카톡 채널 사기
    • 입력 2023-10-19 21:49:20
    • 수정2023-10-19 22:09:42
    뉴스 9
[앵커]

요즘은 가전 제품이 고장나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상담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유명 회사의 AS센터에서 상담을 하는 것처럼 속이고 돈을 가로채는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어떤 수법인지, 김애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5살 김 모 씨는 최근 다리미가 고장 나 카카오톡 채널로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제품업체를 검색했더니 똑같은 로고의 'AS센터'가 있었습니다.

응답한 상담사는 기존 제품과 맞교환 방식으로 새 제품을 거저 받으라고 부추겼습니다.

대신 새 제품값을 우선 결제해야 추후 환불받을 수 있는데, 회사 정책이라며 백만 원을 보낼것을 요구했습니다.

입금했지만 확인되지 않는다며 백만 원을 다시 부치라는게 이상해, 진짜 고객센터에 전화했고, 그제서야 사기임을 눈치챘습니다.

돈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가짜 고객센터는 시간만 끌다가 결국 연락을 끊어버렸습니다.

[김 모 씨/사기 피해자 : "아주 똑같아요, 로고도. 그래서 전혀 의심하지 못했어요. 정말로 저 같은 젊은 사람도 당하는데 어르신들은 진짜 많이 당하겠더라고요."]

최근 몇달 사이 똑같은 피해가 잇따르면서 일부 가전업체들은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이같은 사기가 가능한건 카카오톡 채널을 누구나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직접 또 다른 가전업체 이름을 카카오톡 채널에 검색해봤습니다.

공식 채널을 제외하고도 채널 여러 개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는 공식계정에 '인증 마크'를 달고, 검증되지 않은 채널에는 경고 문구를 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증마크가 눈에 잘 띄지 않는데다, 가짜 채널을 신고해도 삭제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립니다.

카카오 측은 인증 절차를 강화해 이용자가 쉽게 구분하고 인지할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건을 접수한 경찰은 채널 운영자 등을 특정하기 위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