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공공분양 최고 133대 1…민간시장은 ‘찬바람’

입력 2023.10.20 (21:41) 수정 2023.10.20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값 아파트'로 불리며 큰 기대를 모았던 공공주택이죠.

'뉴홈'의 3차 사전 청약이 마감됐습니다.

6만 명 넘게 몰리면서 일부 지역은 경쟁률이 100대 1을 넘었습니다.

분양가가 비싸지면서 민간 아파트 대신 공공분양으로 사람들이 더 쏠리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도권 지하철 5호선 역 인근의 서울 마곡동 부지 260가구가 공공분양될 예정인데, 사전청약에 만 8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상대적으로 지원 조건 문턱이 낮은 일반공급은 133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입지 조건이 괜찮고, 땅은 빌리고 건물만 분양받을 수 있어 가격부담이 덜 한 점이 선호도를 키웠습니다.

[채상욱/부동산 애널리스트 : "'토지 임대부'로 나왔으니까 분양가가 3억 원밖에 안 돼서요. (시세의) 4분의 1 가격이나 마찬가지처럼 아마 체감이 되지 않았나 싶어요."]

이번 사전청약에선 1, 2차 때보다 많은 3천 2백여 가구를 공급하는데, 신청자는 6만 명이 넘습니다.

3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20대, 4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연이은 공공분양 흥행과 달리, 민간분양 실적은 올해 계획 물량의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

최근 한 수도권 대단지에선 1순위 분양이 미달 됐고, 청약 포기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민간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아 분양가가 치솟는 데다, 시중 금리도 여전히 높기 때문입니다.

[민간 아파트 청약 지원자 : "마음에 드는 아파트 있으면 청약 넣고 했었는데 요즘엔 분양가가 너무 많이 높아져서 요즘은 지원하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체감하기로는 한 20% 정도 높아진 것 같기는 해요."]

공사비가 오르면서 분양가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공공분양 쏠림 현상은 한동안 심화될 거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특히 민간분양 물량 급감으로 주택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 집값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성비’ 공공분양 최고 133대 1…민간시장은 ‘찬바람’
    • 입력 2023-10-20 21:41:25
    • 수정2023-10-20 22:10:39
    뉴스 9
[앵커]

'반값 아파트'로 불리며 큰 기대를 모았던 공공주택이죠.

'뉴홈'의 3차 사전 청약이 마감됐습니다.

6만 명 넘게 몰리면서 일부 지역은 경쟁률이 100대 1을 넘었습니다.

분양가가 비싸지면서 민간 아파트 대신 공공분양으로 사람들이 더 쏠리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도권 지하철 5호선 역 인근의 서울 마곡동 부지 260가구가 공공분양될 예정인데, 사전청약에 만 8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상대적으로 지원 조건 문턱이 낮은 일반공급은 133대 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입지 조건이 괜찮고, 땅은 빌리고 건물만 분양받을 수 있어 가격부담이 덜 한 점이 선호도를 키웠습니다.

[채상욱/부동산 애널리스트 : "'토지 임대부'로 나왔으니까 분양가가 3억 원밖에 안 돼서요. (시세의) 4분의 1 가격이나 마찬가지처럼 아마 체감이 되지 않았나 싶어요."]

이번 사전청약에선 1, 2차 때보다 많은 3천 2백여 가구를 공급하는데, 신청자는 6만 명이 넘습니다.

3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20대, 4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연이은 공공분양 흥행과 달리, 민간분양 실적은 올해 계획 물량의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

최근 한 수도권 대단지에선 1순위 분양이 미달 됐고, 청약 포기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민간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아 분양가가 치솟는 데다, 시중 금리도 여전히 높기 때문입니다.

[민간 아파트 청약 지원자 : "마음에 드는 아파트 있으면 청약 넣고 했었는데 요즘엔 분양가가 너무 많이 높아져서 요즘은 지원하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체감하기로는 한 20% 정도 높아진 것 같기는 해요."]

공사비가 오르면서 분양가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공공분양 쏠림 현상은 한동안 심화될 거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특히 민간분양 물량 급감으로 주택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 집값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왕인흡/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