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홉 없는 제이홉 거리…허락 못 받아도 ‘만들고 보자’

입력 2023.10.24 (21:44) 수정 2023.10.24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연예인들의 유명세를 이용해 관광 명소를 만드려는 지자체들이 많습니다.

그룹 BTS 멤버 제이홉의 고향인 광주 북구에서도 '제이홉 거리' 만들기에 나섰는데 정작 당사자나 소속사의 허락은 받지 않았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계적인 그룹 BTS의 멤버 제이홉은 광주 지역번호 '062'와 '518'을 딴 노래를 만든 광주광역시 출신입니다.

["나 전라남도 광주 baby..."]

BTS 멤버 제이홉이 졸업한 고등학교 바로 앞 공원입니다.

광주 북구청은 이곳을 포함해 제이홉 출신 학교를 중심으로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광주 북구청이 만든 사업 계획서입니다.

'제이홉'을 연상시키는 사업명에 학교 담장에 제이홉 콘텐츠를 만들고, 모교 후배들과 팬미팅을 추진하겠다고 적었습니다.

특별교부금 17억여 원을 따냈습니다.

구청 예산까지 합쳐 약 20억 원을 투입하겠다는데, 정작 당사자나 소속사 허락은 받지 않았습니다.

소속 기획사는 "아티스트의 초상과 성명을 사용해 추진하는 거리는 허가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소속사의 입장에 광주 북구청은 갑자기 말을 바꿉니다.

[광주광역시 북구청 체육관광과 관계자 : "처음부터 '제이홉 거리'라는 것보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홉(hope) 스트리트 사업에 역점을 두고 시작했기 때문에 아직은 그쪽에 직접적으로 소통해본 적이 없습니다."]

대구 남구는 영화감독 봉준호 거리 조성을 시도했다가 허락을 못 받자 캐릭터 구조물만 설치했습니다.

[한지성/참여자치21 공동대표 : "이 부분 자체가 전문성이 없이 정확한 콘텐츠 개발을 하지 않고 진행하는 형태로 하다보면..."]

연예인과 예술인의 명성에 기댄 자치단체의 밀어붙이기식 사업에 졸속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영상편집:이두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이홉 없는 제이홉 거리…허락 못 받아도 ‘만들고 보자’
    • 입력 2023-10-24 21:44:29
    • 수정2023-10-24 21:55:41
    뉴스 9
[앵커]

연예인들의 유명세를 이용해 관광 명소를 만드려는 지자체들이 많습니다.

그룹 BTS 멤버 제이홉의 고향인 광주 북구에서도 '제이홉 거리' 만들기에 나섰는데 정작 당사자나 소속사의 허락은 받지 않았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계적인 그룹 BTS의 멤버 제이홉은 광주 지역번호 '062'와 '518'을 딴 노래를 만든 광주광역시 출신입니다.

["나 전라남도 광주 baby..."]

BTS 멤버 제이홉이 졸업한 고등학교 바로 앞 공원입니다.

광주 북구청은 이곳을 포함해 제이홉 출신 학교를 중심으로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광주 북구청이 만든 사업 계획서입니다.

'제이홉'을 연상시키는 사업명에 학교 담장에 제이홉 콘텐츠를 만들고, 모교 후배들과 팬미팅을 추진하겠다고 적었습니다.

특별교부금 17억여 원을 따냈습니다.

구청 예산까지 합쳐 약 20억 원을 투입하겠다는데, 정작 당사자나 소속사 허락은 받지 않았습니다.

소속 기획사는 "아티스트의 초상과 성명을 사용해 추진하는 거리는 허가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소속사의 입장에 광주 북구청은 갑자기 말을 바꿉니다.

[광주광역시 북구청 체육관광과 관계자 : "처음부터 '제이홉 거리'라는 것보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홉(hope) 스트리트 사업에 역점을 두고 시작했기 때문에 아직은 그쪽에 직접적으로 소통해본 적이 없습니다."]

대구 남구는 영화감독 봉준호 거리 조성을 시도했다가 허락을 못 받자 캐릭터 구조물만 설치했습니다.

[한지성/참여자치21 공동대표 : "이 부분 자체가 전문성이 없이 정확한 콘텐츠 개발을 하지 않고 진행하는 형태로 하다보면..."]

연예인과 예술인의 명성에 기댄 자치단체의 밀어붙이기식 사업에 졸속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정현덕/영상편집:이두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