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1주기…서울 도심서 추모대회
입력 2023.10.29 (19:02)
수정 2023.10.29 (1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인 오늘(29일), 서울 도심에서 추모대회가 열렸습니다.
유가족과 참석자들은 희생자 159명을 애도하고, 특별법을 통해 참사 원인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발생 1년을 맞은 오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추모 행사가 서울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참사 현장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선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등 4개 종교의 기도회가 열렸습니다.
기도회를 마친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을 출발해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역을 지나 서울광장까지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딸이 너무 보고 싶어 왔고요. 1년 전에 딸 아이, 우리 희생된 아이들이 그 아스팔트 바닥에 있었다는 생각을 하니까 눈물이 너무 나더라고요."]
오후 5시부터는 서울광장에서 1주기 시민추모대회가 진행됐습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야 4당 대표들과 소속 국회의원이 다수 참석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일부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개인 자격으로 참석해 추모했습니다.
앞서 오전엔 김진표 국회의장이 서울광장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조문했습니다.
[김진표/국회의장 : "다시는 이런 참사가 생기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국회로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서울광장 추모대회에 불참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성북구 교회에서 1주기 추도 예배에 참석해 유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오늘이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하정현/영상편집:김지영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인 오늘(29일), 서울 도심에서 추모대회가 열렸습니다.
유가족과 참석자들은 희생자 159명을 애도하고, 특별법을 통해 참사 원인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발생 1년을 맞은 오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추모 행사가 서울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참사 현장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선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등 4개 종교의 기도회가 열렸습니다.
기도회를 마친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을 출발해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역을 지나 서울광장까지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딸이 너무 보고 싶어 왔고요. 1년 전에 딸 아이, 우리 희생된 아이들이 그 아스팔트 바닥에 있었다는 생각을 하니까 눈물이 너무 나더라고요."]
오후 5시부터는 서울광장에서 1주기 시민추모대회가 진행됐습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야 4당 대표들과 소속 국회의원이 다수 참석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일부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개인 자격으로 참석해 추모했습니다.
앞서 오전엔 김진표 국회의장이 서울광장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조문했습니다.
[김진표/국회의장 : "다시는 이런 참사가 생기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국회로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서울광장 추모대회에 불참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성북구 교회에서 1주기 추도 예배에 참석해 유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오늘이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하정현/영상편집:김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참사 1주기…서울 도심서 추모대회
-
- 입력 2023-10-29 19:02:15
- 수정2023-10-29 19:09:56

[앵커]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인 오늘(29일), 서울 도심에서 추모대회가 열렸습니다.
유가족과 참석자들은 희생자 159명을 애도하고, 특별법을 통해 참사 원인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발생 1년을 맞은 오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추모 행사가 서울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참사 현장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선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등 4개 종교의 기도회가 열렸습니다.
기도회를 마친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을 출발해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역을 지나 서울광장까지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딸이 너무 보고 싶어 왔고요. 1년 전에 딸 아이, 우리 희생된 아이들이 그 아스팔트 바닥에 있었다는 생각을 하니까 눈물이 너무 나더라고요."]
오후 5시부터는 서울광장에서 1주기 시민추모대회가 진행됐습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야 4당 대표들과 소속 국회의원이 다수 참석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일부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개인 자격으로 참석해 추모했습니다.
앞서 오전엔 김진표 국회의장이 서울광장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조문했습니다.
[김진표/국회의장 : "다시는 이런 참사가 생기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국회로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서울광장 추모대회에 불참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성북구 교회에서 1주기 추도 예배에 참석해 유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오늘이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하정현/영상편집:김지영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인 오늘(29일), 서울 도심에서 추모대회가 열렸습니다.
유가족과 참석자들은 희생자 159명을 애도하고, 특별법을 통해 참사 원인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 발생 1년을 맞은 오늘,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추모 행사가 서울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참사 현장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선 개신교, 불교, 원불교, 천주교 등 4개 종교의 기도회가 열렸습니다.
기도회를 마친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을 출발해 용산 대통령실과 서울역을 지나 서울광장까지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딸이 너무 보고 싶어 왔고요. 1년 전에 딸 아이, 우리 희생된 아이들이 그 아스팔트 바닥에 있었다는 생각을 하니까 눈물이 너무 나더라고요."]
오후 5시부터는 서울광장에서 1주기 시민추모대회가 진행됐습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을 애도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통과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야 4당 대표들과 소속 국회의원이 다수 참석했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일부 지도부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개인 자격으로 참석해 추모했습니다.
앞서 오전엔 김진표 국회의장이 서울광장 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조문했습니다.
[김진표/국회의장 : "다시는 이런 참사가 생기지 않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국회로서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서울광장 추모대회에 불참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성북구 교회에서 1주기 추도 예배에 참석해 유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오늘이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하정현/영상편집:김지영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